목차
머리말 --------------------------------------------------- 2
제 1장 육상의 도약경기 ----------------------------------- 4
제 2장 높이뛰기 [high jump] ------------------------------ 4
1.개요
2.역사
3.경기방법
(1)경기규칙
(2)실격
4.장비규격
5.체격 및 체력
6.도약 기술
7.현재 세계신기록 [남/여]
제 3장 그 밖의 도약경기 ---------------------------------- 8
1. 멀리뛰기 [long jump] 7
2. 세단뛰기 [triple jump] 8
3. 장대높이뛰기 [pole vault] 9
참고문헌 ------------------------------------------------ 12
제 1장 육상의 도약경기 ----------------------------------- 4
제 2장 높이뛰기 [high jump] ------------------------------ 4
1.개요
2.역사
3.경기방법
(1)경기규칙
(2)실격
4.장비규격
5.체격 및 체력
6.도약 기술
7.현재 세계신기록 [남/여]
제 3장 그 밖의 도약경기 ---------------------------------- 8
1. 멀리뛰기 [long jump] 7
2. 세단뛰기 [triple jump] 8
3. 장대높이뛰기 [pole vault] 9
참고문헌 ------------------------------------------------ 12
본문내용
별개의 종목으로 실시되었으나 제자리멀리뛰기는 이미 주요경기에서 제외되었다. 도움닫기는 BC 708년 올림픽 대회의 종목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멀리뛰기를 하기 위해서는 45m 이상의 조주로, 도움닫기길 끝에서 1m 이상 떨어진 곳에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한 발구름판, 너비가 2.75m이고 길이가 9m인 도약용 모래사장 등의 기본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선수는 보통 발구름판에서 약 30m 떨어진 곳에서 도움닫기를 시작해 될 수 있는 대로 구름판 끝 가까이에 한 발이 닿을 수 있도록 보폭을 계산하면서 최대속력으로 구름판을 향해 뛴다. 만약 선수가 구름판의 한계선(출발선)을 밟으면 실격이고 선수가 출발선에 훨씬 못 미치는 곳에서 뛴다면 그만큼 손해를 보는 것이다. 멀리뛰기의 공중동작으로는 두 무릎을 가슴 쪽으로 올리는 다리모아뛰기와 공중에서 걸어가듯이 두 발을 앞뒤로 빠르게 움직이는 가위뛰기가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 착지할 때는 두 발을 앞으로 힘껏 내뻗는다. 뛴 거리는 구름판 끝에서 몸의 어느 부분이든 모래사장에 닿은 부분 중 구름판과 가장 가까운 곳까지를 측정하므로 선수가 보다 나은 기록을 남기기 위해서는 가급적 앞으로 넘어져야 한다.
국제경기에서는 예선에서 3차례의 시기를 통해 가장 멀리 뛴 8명의 선수들이 결승전에서 다시 3번의 시기를 갖는다. 이 결승전에서 가장 멀리 뛴 선수가 우승자이다.
멀리뛰기 현재 세계신기록 [남/여]
SEX
Mark (/m)
Athlete
Nation
DOB
Pos
Venue
Date
Man
8.95
Mike Powell
USA
10/11/1963
1
Tokyo
30/08/1991
Women
7.52
Galina Chistyakova
URS
26/07/1962
1
Leningrad
11/06/1988
2. 삼단뛰기 [triple jump]
3가지의 서로 다른 뜀뛰기 동작을 연속적으로 펼쳐 그 거리를 겨룬다. 첫 번 째 동작인 홉(hop)에서는 한 발로 뛰어올라 그 발로 착지한다. 2번째 동작인 스텝(step)에서는 홉 동작에서 착지한 발로 뛰어올라 다른 발로 착지한다. 3번째 동작인 점프(jump)에서는 어떤 식으로 착지해도 좋지만, 대개는 두 발을 모아서 착지한다. 규정에 어긋난 발이 땅에 닿으면 그 뜀뛰기는 인정되지 않는다. 나머지 규칙은 멀리뛰기와 비슷하다.
삼단뛰기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지만, 고대 어린이들의 놀이인 돌차기 놀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단뛰기는 제1회 근대 올림픽 대회 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는데, 제1회 대회 때는 홉 동작이 2번이었고, 그다음부터는 홉 동작이 1번으로 줄었다. 삼단뛰기에 필요한 장비는 도움닫기 길과 구름판이다. 구름판이 착지점에서 적어도 11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는 점만 제외하면 삼단뛰기의 장비는 멀리뛰기에서 사용하는 것과 똑같다
삼단뛰기 현재 세계신기록 [남/여]
SEX
Mark (/m)
Athlete
Nation
DOB
Pos
Venue
Date
Man
17.62
Christian Taylor
USA
18/06/1990
1
Eugene, OR
01/06/2012
Women
15.50
Inessa Kravets
UKR
05/10/1966
1
Goteborg
10/08/1995
3. 장대높이뛰기 [pole vault]
처음에는 도랑·시냇물·담장과 같은 방해물을 넘기 위한 실제적인 수단으로써 행해졌으며, 19세기 중반에 운동 경기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남성들만 하는 스포츠이다. 각각의 경기자에게는 지정된 높이에 대해 3번의 기회가 주어진다. 바는 건드리면 쉽게 떨어지도록 2개의 지주(支柱) 위에 살짝 올려놓는다. 바의 높이는 탈락의 과정을 통해 우승자가 나타날 때까지 점진적으로 올라간다. 동점자가 나올 경우에는 마지막 높이에서 실수를 적게 한 횟수, 전체 경기에서 실수를 적게 한 횟수, 또는 전체 경기를 통틀어서 얼마나 적은 횟수의 시도를 했느냐에 기초한 역산으로 우승자가 결정된다. 폴의 재료·굵기·길이에는 제한이 없으나 1960년대 초부터는 유리섬유가 폴의 재료로 가장 널리 인정되어 쓰이게 되었다. 박스(box)라고 불리는 활사로는 그 뒷부분이 바의 바로 아래쪽에 오도록 땅에 묻혀 있다. 도약자는 지면을 박차고 솟아오를 때 폴을 이 박스에 찌른다. 도약자의 낙하를 위해 바 뒤에 부드럽고 탄력성이 있는 물질로 된 최소 5m 이상의 매트를 마련해야 한다.
선수에게는 타이밍, 스피드, 체조 능력을 고도로 조화시키는 기술이 요구된다. 현대의 장대높이뛰기 선수는 폴을 들고 30~45m의 거리를 달리고 대단히 빠른 속도로 이륙을 준비한다. 도약을 위한 질주가 끝나면 선수는 이륙을 한다. 이때 선수는 폴이 활주로 쪽으로 향하도록 앞으로 잡고, 동시에 폴을 잡은 아래쪽 손이 미끄러져서 위쪽 손에 닿게 하며, 이륙하기 전에 두 손을 가능한 한 머리 위로 높이 올린다. 이렇게 양팔의 잡아당기는 힘을 완전히 이용하여 몸을 들어 올리고 다리를 젓는다. 박스에 폴을 확실히 꽂았을 때 땅에서 발을 떼고 위로 오르게 되나 점프를 하는 것은 아니다. 너무 빨리 당기지 않으면서 가능한 한 오랫동안 손으로 폴을 잡고서 도약을 한다. 유리섬유로 된 폴은 투석기와 같이 세게 내던지는 성질이 있으므로 타이밍이 특히 중요하다. 다리를 폴 옆으로 하고 다리를 저어 bar 위로 다리를 차올리면서 몸을 틀어서 얼굴이 아래로 향하게 한다. 질주에 의해서 얻어진 전진 속도인 캐리에 의해서 몸이 바를 넘어서 날아가게 된다.
장대높이뛰기 현재 세계신기록 [남/여]SEX
Mark (/m)
Athlete
Nation
DOB
Pos
Venue
Date
Man
6.14
Sergey Bubka
UKR
04/12/1963
1
Sestriere
31/07/1994
Women
5.06
Elena Isinbaeva
RUS
03/06/1982
1
Zurich
28/08/2009
참고문헌
1. [육상경기-이론과 실제-] 박준기 저 금광출판 2008
2. [체육학대사전] 이태신 저 민중서관출판 2011
3. 대한육상경기연맹 http://www,kaaf.or.kr/
4. 국제육상경기연맹 http://www.iaaf.org/
5. NATE 백과사전
멀리뛰기를 하기 위해서는 45m 이상의 조주로, 도움닫기길 끝에서 1m 이상 떨어진 곳에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한 발구름판, 너비가 2.75m이고 길이가 9m인 도약용 모래사장 등의 기본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선수는 보통 발구름판에서 약 30m 떨어진 곳에서 도움닫기를 시작해 될 수 있는 대로 구름판 끝 가까이에 한 발이 닿을 수 있도록 보폭을 계산하면서 최대속력으로 구름판을 향해 뛴다. 만약 선수가 구름판의 한계선(출발선)을 밟으면 실격이고 선수가 출발선에 훨씬 못 미치는 곳에서 뛴다면 그만큼 손해를 보는 것이다. 멀리뛰기의 공중동작으로는 두 무릎을 가슴 쪽으로 올리는 다리모아뛰기와 공중에서 걸어가듯이 두 발을 앞뒤로 빠르게 움직이는 가위뛰기가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 착지할 때는 두 발을 앞으로 힘껏 내뻗는다. 뛴 거리는 구름판 끝에서 몸의 어느 부분이든 모래사장에 닿은 부분 중 구름판과 가장 가까운 곳까지를 측정하므로 선수가 보다 나은 기록을 남기기 위해서는 가급적 앞으로 넘어져야 한다.
국제경기에서는 예선에서 3차례의 시기를 통해 가장 멀리 뛴 8명의 선수들이 결승전에서 다시 3번의 시기를 갖는다. 이 결승전에서 가장 멀리 뛴 선수가 우승자이다.
멀리뛰기 현재 세계신기록 [남/여]
SEX
Mark (/m)
Athlete
Nation
DOB
Pos
Venue
Date
Man
8.95
Mike Powell
USA
10/11/1963
1
Tokyo
30/08/1991
Women
7.52
Galina Chistyakova
URS
26/07/1962
1
Leningrad
11/06/1988
2. 삼단뛰기 [triple jump]
3가지의 서로 다른 뜀뛰기 동작을 연속적으로 펼쳐 그 거리를 겨룬다. 첫 번 째 동작인 홉(hop)에서는 한 발로 뛰어올라 그 발로 착지한다. 2번째 동작인 스텝(step)에서는 홉 동작에서 착지한 발로 뛰어올라 다른 발로 착지한다. 3번째 동작인 점프(jump)에서는 어떤 식으로 착지해도 좋지만, 대개는 두 발을 모아서 착지한다. 규정에 어긋난 발이 땅에 닿으면 그 뜀뛰기는 인정되지 않는다. 나머지 규칙은 멀리뛰기와 비슷하다.
삼단뛰기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지만, 고대 어린이들의 놀이인 돌차기 놀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단뛰기는 제1회 근대 올림픽 대회 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는데, 제1회 대회 때는 홉 동작이 2번이었고, 그다음부터는 홉 동작이 1번으로 줄었다. 삼단뛰기에 필요한 장비는 도움닫기 길과 구름판이다. 구름판이 착지점에서 적어도 11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는 점만 제외하면 삼단뛰기의 장비는 멀리뛰기에서 사용하는 것과 똑같다
삼단뛰기 현재 세계신기록 [남/여]
SEX
Mark (/m)
Athlete
Nation
DOB
Pos
Venue
Date
Man
17.62
Christian Taylor
USA
18/06/1990
1
Eugene, OR
01/06/2012
Women
15.50
Inessa Kravets
UKR
05/10/1966
1
Goteborg
10/08/1995
3. 장대높이뛰기 [pole vault]
처음에는 도랑·시냇물·담장과 같은 방해물을 넘기 위한 실제적인 수단으로써 행해졌으며, 19세기 중반에 운동 경기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남성들만 하는 스포츠이다. 각각의 경기자에게는 지정된 높이에 대해 3번의 기회가 주어진다. 바는 건드리면 쉽게 떨어지도록 2개의 지주(支柱) 위에 살짝 올려놓는다. 바의 높이는 탈락의 과정을 통해 우승자가 나타날 때까지 점진적으로 올라간다. 동점자가 나올 경우에는 마지막 높이에서 실수를 적게 한 횟수, 전체 경기에서 실수를 적게 한 횟수, 또는 전체 경기를 통틀어서 얼마나 적은 횟수의 시도를 했느냐에 기초한 역산으로 우승자가 결정된다. 폴의 재료·굵기·길이에는 제한이 없으나 1960년대 초부터는 유리섬유가 폴의 재료로 가장 널리 인정되어 쓰이게 되었다. 박스(box)라고 불리는 활사로는 그 뒷부분이 바의 바로 아래쪽에 오도록 땅에 묻혀 있다. 도약자는 지면을 박차고 솟아오를 때 폴을 이 박스에 찌른다. 도약자의 낙하를 위해 바 뒤에 부드럽고 탄력성이 있는 물질로 된 최소 5m 이상의 매트를 마련해야 한다.
선수에게는 타이밍, 스피드, 체조 능력을 고도로 조화시키는 기술이 요구된다. 현대의 장대높이뛰기 선수는 폴을 들고 30~45m의 거리를 달리고 대단히 빠른 속도로 이륙을 준비한다. 도약을 위한 질주가 끝나면 선수는 이륙을 한다. 이때 선수는 폴이 활주로 쪽으로 향하도록 앞으로 잡고, 동시에 폴을 잡은 아래쪽 손이 미끄러져서 위쪽 손에 닿게 하며, 이륙하기 전에 두 손을 가능한 한 머리 위로 높이 올린다. 이렇게 양팔의 잡아당기는 힘을 완전히 이용하여 몸을 들어 올리고 다리를 젓는다. 박스에 폴을 확실히 꽂았을 때 땅에서 발을 떼고 위로 오르게 되나 점프를 하는 것은 아니다. 너무 빨리 당기지 않으면서 가능한 한 오랫동안 손으로 폴을 잡고서 도약을 한다. 유리섬유로 된 폴은 투석기와 같이 세게 내던지는 성질이 있으므로 타이밍이 특히 중요하다. 다리를 폴 옆으로 하고 다리를 저어 bar 위로 다리를 차올리면서 몸을 틀어서 얼굴이 아래로 향하게 한다. 질주에 의해서 얻어진 전진 속도인 캐리에 의해서 몸이 바를 넘어서 날아가게 된다.
장대높이뛰기 현재 세계신기록 [남/여]SEX
Mark (/m)
Athlete
Nation
DOB
Pos
Venue
Date
Man
6.14
Sergey Bubka
UKR
04/12/1963
1
Sestriere
31/07/1994
Women
5.06
Elena Isinbaeva
RUS
03/06/1982
1
Zurich
28/08/2009
참고문헌
1. [육상경기-이론과 실제-] 박준기 저 금광출판 2008
2. [체육학대사전] 이태신 저 민중서관출판 2011
3. 대한육상경기연맹 http://www,kaaf.or.kr/
4. 국제육상경기연맹 http://www.iaaf.org/
5. NATE 백과사전
추천자료
육상경기
체조의 역사와 종류
체조의 종류 및 역사
체조에 관한 이해
핸드복학습지도안(세안)
5학년 체육 지도안 - 육상 활동 기능중심 세안 (이어달리기)
[줄넘기][음악줄넘기][음악줄넘기 탄생][음악줄넘기 운동량][음악줄넘기 효과]줄넘기의 기원...
놀이및 교사의 역할 및 연령별 운동능력의 발달 특징
기계체조의 종류 (남, 여)
유아기 신체놀이의 필요성에 대해서 설명
[체조] 기계체조의 종류
[신체운동, 신체운동과 스트레칭, 신체운동과 걷기, 신체운동과 달리기, 신체운동과 태권도, ...
[고누놀이][고누놀이 교육적 효과][고누놀이와 전통놀이 사례][민속놀이][고누놀이 방법]고누...
아동 발달 영역에 대한 신체 인지 사회정서 등 각 영역에 대한 설명 및 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