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토의
결론
(그래프 참조)
결론
(그래프 참조)
본문내용
다른 모형의 도체를 사용했을 때의 모형을 이해하는 것이다. 실험을 하고 난후 점들이 너무 규칙적이지 않아 등위 전선을 찾기가 힘들었다. 또한 중심점에서도 검류계가 0을 가르키고 있지 않아 실험이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결과로 나온 점들을 연결해보고 이해 할 수 있었다. 막대모양과 원형모양으로 실험을 관찰할 때 막대 쪽으로 길게 뻗은 등전위선을 볼 수 있었다. 막대도체 위주로 3줄이 생겼고 원형도체 위주로 굽어가는 한 개의 등전위선이 나타났다. 이 결과를 보고 막대가 더 전류에 더 큰 자기장을 띄고 있다고 생각했다. 나머지 한가지실험은 구멍이 뚫린 도체와 원형도체의 실험 이였다. 겉 크기는 뚫린 도체가 커서 실험결과 값도 구멍 뚫린 도체 위주에 등전위선이 많이 생길 것이라생각했다. 하지만 결과는 달랐다. 원형 도체 두 개를 가져다 실험한 결과 값과 비슷하게 나왔다. 차이가 있다면 뚫린 원형 모양위주에 등전위선은 완만하게 굽어들어 갔다. 크기와 상관없이 원형도체가 자기장의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이다.
이번실험은 전기장과 등전위선의 성질을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이를 통해 각 전극별로 어 떤 모양의 등전위선이 생성되는지 알 수 있었다. 일단 등전위선은 서로 만나거나 교차 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원형전극을 사용하였을 때, 전극 주변은 거의 원형모양의 등전위선이 나타났고 전극에서 멀어질수록 등전위선의 곡률도 작아짐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전극 안쪽의 등전위선이 전극의 양 바깥쪽보다 조밀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전극사이에 전기장의 세기가 크기 때문에 전기력선의 밀도가 조밀해지기 때문이다.
이번실험은 전기장과 등전위선의 성질을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이를 통해 각 전극별로 어 떤 모양의 등전위선이 생성되는지 알 수 있었다. 일단 등전위선은 서로 만나거나 교차 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원형전극을 사용하였을 때, 전극 주변은 거의 원형모양의 등전위선이 나타났고 전극에서 멀어질수록 등전위선의 곡률도 작아짐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전극 안쪽의 등전위선이 전극의 양 바깥쪽보다 조밀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전극사이에 전기장의 세기가 크기 때문에 전기력선의 밀도가 조밀해지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물리실험 - 힘과 가속도 - 결과보고서
자료의 처리 및 분석, 조사연구계획서 및 결과보고서 작성
저항기 색 코드와 저항값 측정(결과보고서)
실험 19. 카운터 회로(결과보고서)
[물리][1주차]결과보고서
[마케팅 설문조사] (결과보고서) 멀티플렉스
동영상 장비를 이용한 물리진자 (결과보고서)
3 기체상수의 결정 및 탄산염 분석(결과보고서, 결보)
[물리학 및 실험] (결과보고서) 에어트랙 2
[물리학 및 실험] (결과보고서) 에어트랙 1
[대학 물리학 실험] 관성모멘트 결과보고서
일반물리학 실험 - 일과 에너지 결과보고서
전류와 자기장, 지구자기장 (결과보고서)
UV-VIS 흡수 분광법에 의한 정성분석 (결과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