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마크 트웨인의 생애와 당시의 미국사회
제도화 된 ‘양심’과 건강한 본성의 대결
자연 속에서 자유를 찾는다
제도화 된 ‘양심’과 건강한 본성의 대결
자연 속에서 자유를 찾는다
본문내용
닫게 만든다. 트웨인 자신도 훗날 이러한 자기 의도를 부각시키면서 “건강한 마음과 왜곡된 양심이 투쟁하며, 그 투쟁에서 왜곡된 양심이 패하는 것”이 이 작품의 중심적인 아이러니라고 설명한다. 즉 우리가 양심이라고 믿는 것이 선천적인 본성이 아니라, 사회규범을 내면화한 것일 수도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양심에도 사회제도의 모순이 반영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무조건 따르지 말고 항상 점검해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자연 속에서 자유를 찾는다
그런데 짐이 사기꾼 왕과 공작의 흉계로 어느 농장으로 팔려가는 부분에서 지나친 우연의 일치가 작용한다. 짐이 팔려간 펠프스 농장의 안주인이 바로 톰 소여의 친척인 샐리 아줌마였던 것이다. 헉이 짐을 구하기 위해 그곳으로 가자, 마침 톰을 기다리고 있던 샐리 아줌마는 헉을 톰으로 착각한다. 그래서 샐리 아줌마는 그를 환영하고 헉은 임기응변으로 톰 행세를 하면서, 톰이 농장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만나서 자초지종을 말해준다. 그러자 톰은 자기 동생 시드 행세를 하고, 둘은 함께 짐의 구출을 모의한다. 그런데 헉이 그냥 자물쇠를 부수고 구출해 내자고 하자, 톰은 그것이 너무 단순한 방법이라고 반대한다. 톰은 모험담에서 읽은 복잡하고 아슬아슬한 방법을 계획하며, 그들은 그런 쓸데없는 준비를 하느라고 3주일을 보낸다. 결국 거사 날 짐을 탈출에 성공하지만, 톰이 다리에 총을 맞는 바람에 짐은 톰을 위해 스스로 모습을 드러내고 잡힌다.
그 후 몸을 회복한 톰은 미스 왓슨이 두 달 전에 죽으면서 유언으로 짐을 해방시켰다고 밝힌다. 그리고 짐의 구출작전은 단지 재미를 위한 것이었다고 하면서 짐에게 수고비로 40달러를 준다. 그러자 짐은 헉에게 잭슨 섬에서 둘이 지낼 때, 강물에 떠내려 온 오두막집에서 헉 아버지의 시체를 보았다고 밝힌다. 그리고 헉은 샐리 아줌마가 자신을 양자로 삼겠다고 하자 그 집에서 떠날 결심을 한다. 이제 작품은 다음과 같은 헉의 독백으로 결말을 맺는다.
그렇지만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먼저 인디언 구역으로 가지 않으면 안 되겠다. 샐리 아줌마가 나를 양자로 삼아 교화하려는데, 나는 그걸 참을 수가 없으니까. 그건 이미 이전에 해보지 않았는가.
주인공이 문명사회에 남지 않고 자연 속으로 들어가는 결말은 미국 문학의 주요한 특징이기도 하다. 즉 미국문학의 주인공들은 인공적인 문명보다는 자연을, 이성이나 체계적인 사고보다는 타고난 본능이나 감정을, 좌절과 불안을 안겨주는 복잡한 사회구조보다는 단순하고 자연적인 사회를 선호한다. <허클베리 핀의 모험>의 결말 역시 자연 속에서 자유, 순수함, 단순성을 찾으려 하는 미국적 사고를 보여준다.
그러나 문명을 거부하고 홀로 황야로 들어가는 헉의 뒷모습은, 그가 아무리 도덕적으로 성장했어도 그렇게는 기존의 문명사회 안에서 살아갈 수 없다는 것을 보여 준다. 짐의 해방이 결국 짐이나 헉과 같은 개인의 투쟁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미스 왓슨의 유언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여기에서도 드러나듯이 문명사회는 여전히 개인을 지배하는 사회인 것이다.
자연 속에서 자유를 찾는다
그런데 짐이 사기꾼 왕과 공작의 흉계로 어느 농장으로 팔려가는 부분에서 지나친 우연의 일치가 작용한다. 짐이 팔려간 펠프스 농장의 안주인이 바로 톰 소여의 친척인 샐리 아줌마였던 것이다. 헉이 짐을 구하기 위해 그곳으로 가자, 마침 톰을 기다리고 있던 샐리 아줌마는 헉을 톰으로 착각한다. 그래서 샐리 아줌마는 그를 환영하고 헉은 임기응변으로 톰 행세를 하면서, 톰이 농장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만나서 자초지종을 말해준다. 그러자 톰은 자기 동생 시드 행세를 하고, 둘은 함께 짐의 구출을 모의한다. 그런데 헉이 그냥 자물쇠를 부수고 구출해 내자고 하자, 톰은 그것이 너무 단순한 방법이라고 반대한다. 톰은 모험담에서 읽은 복잡하고 아슬아슬한 방법을 계획하며, 그들은 그런 쓸데없는 준비를 하느라고 3주일을 보낸다. 결국 거사 날 짐을 탈출에 성공하지만, 톰이 다리에 총을 맞는 바람에 짐은 톰을 위해 스스로 모습을 드러내고 잡힌다.
그 후 몸을 회복한 톰은 미스 왓슨이 두 달 전에 죽으면서 유언으로 짐을 해방시켰다고 밝힌다. 그리고 짐의 구출작전은 단지 재미를 위한 것이었다고 하면서 짐에게 수고비로 40달러를 준다. 그러자 짐은 헉에게 잭슨 섬에서 둘이 지낼 때, 강물에 떠내려 온 오두막집에서 헉 아버지의 시체를 보았다고 밝힌다. 그리고 헉은 샐리 아줌마가 자신을 양자로 삼겠다고 하자 그 집에서 떠날 결심을 한다. 이제 작품은 다음과 같은 헉의 독백으로 결말을 맺는다.
그렇지만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먼저 인디언 구역으로 가지 않으면 안 되겠다. 샐리 아줌마가 나를 양자로 삼아 교화하려는데, 나는 그걸 참을 수가 없으니까. 그건 이미 이전에 해보지 않았는가.
주인공이 문명사회에 남지 않고 자연 속으로 들어가는 결말은 미국 문학의 주요한 특징이기도 하다. 즉 미국문학의 주인공들은 인공적인 문명보다는 자연을, 이성이나 체계적인 사고보다는 타고난 본능이나 감정을, 좌절과 불안을 안겨주는 복잡한 사회구조보다는 단순하고 자연적인 사회를 선호한다. <허클베리 핀의 모험>의 결말 역시 자연 속에서 자유, 순수함, 단순성을 찾으려 하는 미국적 사고를 보여준다.
그러나 문명을 거부하고 홀로 황야로 들어가는 헉의 뒷모습은, 그가 아무리 도덕적으로 성장했어도 그렇게는 기존의 문명사회 안에서 살아갈 수 없다는 것을 보여 준다. 짐의 해방이 결국 짐이나 헉과 같은 개인의 투쟁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미스 왓슨의 유언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여기에서도 드러나듯이 문명사회는 여전히 개인을 지배하는 사회인 것이다.
추천자료
【자연법과 실정법의 비교를 통한 자연법의 고찰과 비판】
제자 훈련을 통한 현대 기독교 교육 서평
'만세전'을 통한 지식인 사회 고찰 - 주인공 이인화를 중심으로
[나쁜사마리아인들] 나쁜 사마리아인들 서평 - 작품 내용요약, 신자유주의의 문제점과 한계, ...
나쁜사마리아인들 독후감,서평- 2009년 한국사회 어디로 가는가?.
아랍인의 눈으로 본 십자군 전쟁 - 서평-
[서평]디케의 눈
[서평, 독서 감상문] 비판적 현대적 관점으로 바라본 <별주부전 (鼈主簿傳)>
[지역사회교육론 공통] 방송대 성인학습자가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교육 발전을 위해 참여...
문화전파 양상을 지도로 한눈에!.. - 『지도로 보는 문화사 (Cultures in Motion)』 _ 피터.N...
(교육사회학) 라이머 학교는죽었다 내용 요약 & 소감 느낀점 -2016년 방송통신대학교 교...
<<감자 독후감 및 분석>>감자 독후감,감자 독서감상문,김동인 감자 줄거리,감자 분석,단편소...
<<최서해의 탈출기 독후감 및 분석>>탈출기 독후감,탈출기 독서감상문,탈출기 줄거리,탈출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