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계획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 뇌의 구조(2)
(기능을 기준으로)
* 뇌간(brain stem): 뇌간(중심핵)은 모든 척추 동물에게 있는 것으로, 신체의 내부 상태를 조절하는 구조들을 포함한다. 연수, 뇌교(교), 망상체, 시상, 소뇌를 포함한다.
* 번연계(limbic system): 번연계는 동기화된 행동, 정서 상태 및 기억과정을 매개하며, 체온, 혈압 및 혈당 수준을 조절하고, 또한 기타 관리 활동을 수행한다. 해마, 편도체, 그리고 시상하부를 포함한다.
* 대뇌(cerebrum): 앞에 ‘대뇌’부분 참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 반구 전문화
* 좌반구는 청각의 인식과 언어기능을 담당하므로 언어뇌라 할 수 있다. 말하는 일, 읽기, 쓰기, 계산, 논리적 사고, 소리나 음의 인식 등을 관장한다.
* 우반구는 감정표현같은 풍부한 표현력 등을 관장하므로 감성뇌라 할 수 있다. 그림구성, 음악, 표정을 읽는 일, 시작적 정보를 종합하여 공간인식의 기능을 담당한다.
* 좌반구는 분석적인 경향이 있어서 정보를 조각 단위로 처리하는 반면, 우반구는 통합적인 경향이 있어서 정보를 전체 패턴의 측면에서 처리한다. 세부사항들에 집중하는 좌반구가 대부분 형태의 문제해결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우반구는 창조적인 해결책이나 불현 듯 떠오르는 통찰이 요구되는 문제에서 더 잘 드러난다.
* 이런 논의는 두 반구가 독립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반구들은 전문화된 기능에서는 다르지만, 자신들의 활동을 계속적으로 통합한다. 각 반구의 전문적인 기여보다 더 중요하고 상이한 심적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바로 이 상호작용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 내분비계
* 내분비계(endocrine system): 내분비계는 호르몬(hormone)이라는 화학적 전달자를 제조하여 혈류로 분비하는 분비선들의 조직망이다. 신경계의 작용을 보완하는 두 번째 조절체계이다. 호르몬은 신체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즉 일차 및 이차 성징을 시작시키고 유지시키고 중지시키며, 각성 및 자각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기분 변화의 기초가 되며, 신진대사를 조절한다. 내분비계는 감염 및 질병과 싸우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유기체의 생존을 촉진한다. 또한 성적 각성을 조절하고 생식세포를 만들어 내며 어미에게서 젖이 생산되게 함으로써 종의 생존을 촉진한다.
* 뇌하수체(pituitary gland)는 흔히 주 분비선으로 불리는데, 왜냐하면 성장을 조절하는 호르몬뿐 아니라 다른 내분비선들의 작용에 영향을 주는 대략 열 종류의 호르몬들을 분비하기 때문이다. 남성에게서 뇌하수체 호르몬들은 고환을 활성화시켜 정자 생산을 자극하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분비되게 만든다. 테스토스테론은 공격성이나 성적 욕망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뇌하수체 호르몬이 여성에게서는 에스트로겐(estrogen)의 생산을 자극하는데, 이 호르몬은 난소에서 난자의 방출을 유발하는 호르몬 연쇄작용에 필수적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 뇌의 구조(2)
(기능을 기준으로)
* 뇌간(brain stem): 뇌간(중심핵)은 모든 척추 동물에게 있는 것으로, 신체의 내부 상태를 조절하는 구조들을 포함한다. 연수, 뇌교(교), 망상체, 시상, 소뇌를 포함한다.
* 번연계(limbic system): 번연계는 동기화된 행동, 정서 상태 및 기억과정을 매개하며, 체온, 혈압 및 혈당 수준을 조절하고, 또한 기타 관리 활동을 수행한다. 해마, 편도체, 그리고 시상하부를 포함한다.
* 대뇌(cerebrum): 앞에 ‘대뇌’부분 참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 반구 전문화
* 좌반구는 청각의 인식과 언어기능을 담당하므로 언어뇌라 할 수 있다. 말하는 일, 읽기, 쓰기, 계산, 논리적 사고, 소리나 음의 인식 등을 관장한다.
* 우반구는 감정표현같은 풍부한 표현력 등을 관장하므로 감성뇌라 할 수 있다. 그림구성, 음악, 표정을 읽는 일, 시작적 정보를 종합하여 공간인식의 기능을 담당한다.
* 좌반구는 분석적인 경향이 있어서 정보를 조각 단위로 처리하는 반면, 우반구는 통합적인 경향이 있어서 정보를 전체 패턴의 측면에서 처리한다. 세부사항들에 집중하는 좌반구가 대부분 형태의 문제해결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우반구는 창조적인 해결책이나 불현 듯 떠오르는 통찰이 요구되는 문제에서 더 잘 드러난다.
* 이런 논의는 두 반구가 독립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반구들은 전문화된 기능에서는 다르지만, 자신들의 활동을 계속적으로 통합한다. 각 반구의 전문적인 기여보다 더 중요하고 상이한 심적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바로 이 상호작용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 내분비계
* 내분비계(endocrine system): 내분비계는 호르몬(hormone)이라는 화학적 전달자를 제조하여 혈류로 분비하는 분비선들의 조직망이다. 신경계의 작용을 보완하는 두 번째 조절체계이다. 호르몬은 신체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즉 일차 및 이차 성징을 시작시키고 유지시키고 중지시키며, 각성 및 자각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기분 변화의 기초가 되며, 신진대사를 조절한다. 내분비계는 감염 및 질병과 싸우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유기체의 생존을 촉진한다. 또한 성적 각성을 조절하고 생식세포를 만들어 내며 어미에게서 젖이 생산되게 함으로써 종의 생존을 촉진한다.
* 뇌하수체(pituitary gland)는 흔히 주 분비선으로 불리는데, 왜냐하면 성장을 조절하는 호르몬뿐 아니라 다른 내분비선들의 작용에 영향을 주는 대략 열 종류의 호르몬들을 분비하기 때문이다. 남성에게서 뇌하수체 호르몬들은 고환을 활성화시켜 정자 생산을 자극하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분비되게 만든다. 테스토스테론은 공격성이나 성적 욕망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뇌하수체 호르몬이 여성에게서는 에스트로겐(estrogen)의 생산을 자극하는데, 이 호르몬은 난소에서 난자의 방출을 유발하는 호르몬 연쇄작용에 필수적이다.
추천자료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Wundt와 Hall
『과학혁명의 구조』에 대한 심리학적 재해석
과학적 심리학의 유형
심리학을 배우는자세,과학으로서의 심리학도의 자세,심리학에대한나의생각,심리학의비판과나...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유아교육개론 A형] 발달심리학적 측면에서 유아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육기관...
[인지심리학의 정의와 역사] 인지심리학 개념정의(의의), 인지심리학의 역사(발전과정-구조주...
교육사상 - 현대의 교육 ( 신교육운동의 전개, 아동해방 운동, 교육의 과학화와 교육심리학의...
(유아교육개론 A형) 발달심리학적 측면에서 유아교육의 중요성,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역...
[유아교육개론 A형] 발달심리학적 측면에서 유아교육의 중요성,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역...
[유아교육개론-A형] 발달심리학적 측면에서 유아교육의 중요성,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역...
유아교육개론A형 2017년 -발달심리학적 측면에서 유아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육...
(방통대 생활과학 인간행동과사회환경3A)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