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James Joyce의 작품 세계
1.James Joyce에 대해서,,,,
2.James Joyce의 일생
3. 제임스 조이스의 부재의 수사학
4. James Joyce의 탈식민의식
5. 결론
1.James Joyce에 대해서,,,,
2.James Joyce의 일생
3. 제임스 조이스의 부재의 수사학
4. James Joyce의 탈식민의식
5. 결론
본문내용
있는 아일랜드 사회를 묘사하면서 두 나라가 완전히 다른 정체성을 가진 국가임을 보여줍니다. 이렇게 조이스의 글쓰기에 있어 민족이란 개념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조이스는 아일랜드 작가 아서 파우어(Arther Power)에게 쓴 편지에서 “투르게네프(Turgenev)처럼 모든 위대한 작가들은 먼저 민족주의자가 되어야 하고, 그들의 민족주의의 강렬함이 그들을 전세계주의자로 만든다”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Letter II 505). 조이스는 장년기를 보낸 유럽에서의 생활은 거의 작품소재로 하지 않고, 정치적 갈등상황에 처해 있는 아일랜드만을 소재로 함으로 아일랜드 민족주의 운동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5. 결론
“당신은 아일랜드 사람이므로 당신 자신의 전통에 따라서 글을 써야 합니다. 모방한 문체는 좋지 않아요. 당신의 피 속에 있는 것을 써야지 머릿속에 있는 것을 써서는 안 됩니다”라고 조이스는 단호하게 말했다. 파워(Arthur Power)가 민족주의에는 진저리가 났고 모든 위대한 작가들처럼 국제적이고 싶다며 한때 조이스 자신도 말했을 법한 반대 의견을 내세우자 조이스는 이렇게 주장했다. “그들도 처음에는 민족주의자들이었습니다. 뚜르게네프(Turgenev)가 예증하듯이 궁극적으로 그들을 국제적으로 만든 것은 그들이 지닌 민족주의의 강렬성입니다. … 내 경우에 나는 언제나 더블린을 쓰고 있는데 더블린의 핵심에 도달할 수 있다면 세계 모든 도시의 핵심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특수성에는 보편성이 들어 있습니다.
“더블린의 핵심”을 올곧게 재현하려는 조이스의 욕망은 자연주의적인 세밀한 묘사가 두드러지는 더블린 사람들(Dubliners)만이 아니라 율리씨즈(Ulysses)나 피네건즈 웨이크(Finnegans Wake)에서도 확인됩니다. 조이스는 그의 현실 자체였던 “더블린의 핵심”에 도달하려고 애썼습니다. 조이스 작품의 인물은 “현실을 도외시한” 채 자신만의 세계에 침잠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조이스의 작품에서도 루카치가 딱지 붙이려는 것과는 달리 어떤 무시간적인 인간 자체가 아니라 극히 역사적인 인간이 기반을 이룹니다. 비록 아일랜드의 민속적인 요인들을 훌륭하게 보여주기는 해도 조이스는 자기가 묘사한 세계의 피안에 존재하는 어떤 신화를 꾸며놓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이 세계 자체를, 오늘날의 루카치가 경시하는 문체의 기교를 통해 신화화함으로써 그 세계의 본질 혹은 나쁜 본질을 보여주려고 합니다.
5. 결론
“당신은 아일랜드 사람이므로 당신 자신의 전통에 따라서 글을 써야 합니다. 모방한 문체는 좋지 않아요. 당신의 피 속에 있는 것을 써야지 머릿속에 있는 것을 써서는 안 됩니다”라고 조이스는 단호하게 말했다. 파워(Arthur Power)가 민족주의에는 진저리가 났고 모든 위대한 작가들처럼 국제적이고 싶다며 한때 조이스 자신도 말했을 법한 반대 의견을 내세우자 조이스는 이렇게 주장했다. “그들도 처음에는 민족주의자들이었습니다. 뚜르게네프(Turgenev)가 예증하듯이 궁극적으로 그들을 국제적으로 만든 것은 그들이 지닌 민족주의의 강렬성입니다. … 내 경우에 나는 언제나 더블린을 쓰고 있는데 더블린의 핵심에 도달할 수 있다면 세계 모든 도시의 핵심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특수성에는 보편성이 들어 있습니다.
“더블린의 핵심”을 올곧게 재현하려는 조이스의 욕망은 자연주의적인 세밀한 묘사가 두드러지는 더블린 사람들(Dubliners)만이 아니라 율리씨즈(Ulysses)나 피네건즈 웨이크(Finnegans Wake)에서도 확인됩니다. 조이스는 그의 현실 자체였던 “더블린의 핵심”에 도달하려고 애썼습니다. 조이스 작품의 인물은 “현실을 도외시한” 채 자신만의 세계에 침잠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조이스의 작품에서도 루카치가 딱지 붙이려는 것과는 달리 어떤 무시간적인 인간 자체가 아니라 극히 역사적인 인간이 기반을 이룹니다. 비록 아일랜드의 민속적인 요인들을 훌륭하게 보여주기는 해도 조이스는 자기가 묘사한 세계의 피안에 존재하는 어떤 신화를 꾸며놓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이 세계 자체를, 오늘날의 루카치가 경시하는 문체의 기교를 통해 신화화함으로써 그 세계의 본질 혹은 나쁜 본질을 보여주려고 합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최인호의 <타인의 방>을 통해 본 현대인의 소외의식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나는 구보의 의식연구
김춘수 시인의 초기시 분석을 통한 시의식의 지향성과 의의
이인직의 '혈의 누' - 근대의식및 친일의식 연구
현대적 재구성 과정에서 계승된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비판의식 - 송경아의 「바리-길 위에서...
초정 박제가(朴齊家)의 미의식과 시론
김현승의 시 세계를 세 시기로 나누고 작품을 분석 주제의식을 논하시오jo
중국고전소설 [홍루몽] - 지기(知己)의 죽음을 통한 가보옥의 의식흐름 변화 양상
[현대시론]김현승 시의 주제의식이 변모 발전되어가는 양상에 대하여
16세기(16C) 문화 도가, 제례의식, 18세기(18C) 문화 연극, 발레, 감상희극, 19세기(19C) 문...
<최척전(崔陟傳)>의 작가의식 (줄거리, 이본, 한문본과 국문본의 대비, 사상 및 서사적 특성,...
현대소설에 나타나는 생태위기에 대한 인식 - 생태위기에 대한 일반적 고찰과 생태위기에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