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저자 및 사회적 배경
2. 저자의 역사인식 및 사학사적 의의
3. 서술상의 방법
2. 저자의 역사인식 및 사학사적 의의
3. 서술상의 방법
본문내용
정확의 정의 할 수 없으며 저자 개인의 관심에 따라 자유로이 주제를 선택할 수 있고 왕력, 기이, 흥법, 탑상, 의해, 신주, 감통, 피은, 효선의 9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지론지, 의왈, 찬 등으로 자신의 의견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삼국사기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삼국유사의 체계가 중국의 삼고승전과 유사성이 있다고 보기도 한다.
일연은 삼국유사를 통해서 민족 자주적 입장에 서서 우리나라가 중국에 버금 갈만한 유구한 역사 민족임을 들어내려 했으며 찬왈, 서왈, 그리고 마지막에 시 한편으로 산만한 체계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집필하였다. 또 사실을 사실그대로 집필하였던 삼국사기와는 다르게 역사적 사실을 있는 그대로 서술하거나 아무런 비평 없이 서술하는 방식을 취하지 않고 자신이 느낀 바를 분명하게 지적하여 전통적 서술방식에서 탈해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연은 개인의 감정을 억누르는 기존의 역사 서술 방식을 버리기 위해 스스로 방법을 재 창조하여 선택 했다는 것이다. 또 일연은 자신의 출신답게 지나치게 불교식으로 시대를 구분하여 비판을 받기도 하였으며 삼국사기에서는 다루지 않은 많은 사실을 다루며 비교적 상세한 자료를 취급하기도 하였다.
일연은 삼국유사를 통해서 민족 자주적 입장에 서서 우리나라가 중국에 버금 갈만한 유구한 역사 민족임을 들어내려 했으며 찬왈, 서왈, 그리고 마지막에 시 한편으로 산만한 체계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집필하였다. 또 사실을 사실그대로 집필하였던 삼국사기와는 다르게 역사적 사실을 있는 그대로 서술하거나 아무런 비평 없이 서술하는 방식을 취하지 않고 자신이 느낀 바를 분명하게 지적하여 전통적 서술방식에서 탈해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연은 개인의 감정을 억누르는 기존의 역사 서술 방식을 버리기 위해 스스로 방법을 재 창조하여 선택 했다는 것이다. 또 일연은 자신의 출신답게 지나치게 불교식으로 시대를 구분하여 비판을 받기도 하였으며 삼국사기에서는 다루지 않은 많은 사실을 다루며 비교적 상세한 자료를 취급하기도 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