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도입
요약
결어
요약
결어
본문내용
문서답 식 답을 하고 있다.
기업 성과에 따라 보수가 결정된다는 이 책의 주장은 그럴듯하다. 그러나 그렇다고 300-400배나 더 높다는 것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지난 몇 십 년 사이 근로자의 평균 생산성보다 기업가의 평균 생산성이 10배 이상 더 높은 근거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기본급의 비중은 24-30%인 반면 성과급은 54-58%에 달한다고 주장하지만, 기본급 25%는 비율이 아닌 절대적 금액으로 환산해 봐도 적지 않은 금액일 뿐더러, 이는 2.5배의 생산성 향상을 의미해야 하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지 설명이 없다. 생산성의 결과가 아니라면 장하준이 말한 정치력이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기업가 정신에 있어 이 책에서 주장하는 바에 공감이 간다. 후진국의 자영업자들이 겪는 생존경쟁과 선진국의 기업가들이 생존경쟁은 질적으로 차이가 난다. 후진국의 자영업자들의 삶이 더 고단한 것은 분명하지만, 현상 유지적 경쟁과 발전 지향적 경쟁의 결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금융 상품의 규제에 대해 이 책은 금융 상품의 거래는 허용하되, 그 위험은 관리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관리가 안 됐기 때문에 금융 위기가 발생했고 그래서 규제를 해야 하는데, 이 책은 관리가 가능하다고 믿는 것 같다. 즉, 이 책은 위기의 발생은 관리를 안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지, 관리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은 아니라는 생각을 내비친다. 마음만 먹으면 머든 잘할 수 있다는 말처럼 공허한 말이다. 설사 가능한 일이라고 해도, 그 마음을 언제 먹을 줄 알고 마냥 기다려야 할까? 그리고 전문 서비스 시장이, 제한된 합리성을 해소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하지만, 제한된 합리성은 전문가는 예외로 두는 개념이 아니다.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이다. 전문 서비스라고 할 수 있는 신용평가기관의 과거 실패를 봐도 알 수 있다.
장하준이, 우리는 계획경제에서 살고 있다는 말은 계획이라는 말이 곧 공산주의라는 인식이 강하게 박혀있는 레드 콤플렉스에 사로잡힌 사회에 대해, 공산주의자는 뿔이 달려 있다는 편견만큼의, 계획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한 언사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 책은 마치 장하준이 공산주의 식 계획 경제를 신봉하는 사람이란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정치에만 색깔론이 있는 줄 알았는데, 경제학에도 색깔론이 있는 줄은 몰랐다. 과연 이 책은 장하준의 그런 의도를 모르는 것인가? 애써 외면하려는 것인가?
경제는 선택의 문제라고 한다. 기회비용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선택을 하는 것이다. 어떤 선택이든 비용이 따른다는 것이 경제학의 기본원리다. 모든 것을 다 가질 수 있는 선택은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복지를 선택하든 성장을 선택하든, 선택의 주체들이 보기에는 기회비용보다 그러한 선택의 편익이 더 크다고 믿고 결정한 것이다. 따라서 반대쪽에서 왈가왈부할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미국이 선택권이 있는 나라이듯이 북유럽 또한 마찬가지다. 북유럽 국가들이 복지를 선택했다면 이미 그들은 실업률을 감수할 각오를 한 것이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북유럽 국가에서 실업률을 고민한다고 해서 그것이 바로 복지정책을 폐기해야 할 이유는 아니다.
신고전파 경제학의 문제점에 대해 금융위기 이후 비판이 거세다. 이 책에서 케인스 경제학이 정부의 방만한 통화 및 재정 정책을 유도했기 때문에, 70년대의 스태그플레이션을 초래했다고 말한다. 케인스 경제학이 정부의 방만함을 유도하기 위해 만든 경제학은 아닐 것이다. 따라서 케인스 경제학이 신고전파로부터 비판받을 당시로 돌아가 본다면, 케인스 경제학은, 정부의 방만함은 케인스 경제학의 원칙을 지키지 못했기 때문에 나온 결과이지, 케인스 경제학 때문은 아니라고 항변했을 것이다. 물론 그 항변이 주목받았다면 신고전파가 득세하지 않았을 것이다. 현재로 돌아오면, 시장친화적 정부 개입을 주장하는 신고전파 경제학이 반시장적 정부개입을 유도해 금융 위기가 초래됐다고 비판한다면 신고전파 경제학은 뭐라고 할까? 잘되면 내 탓이요, 못 되면 조상 탓이라는 말이 어울릴 법하다.
한 쪽은 장점은 부각하고, 단점은 미미하여 장점에 상쇄된다고 말한다. 반대쪽은 단점을 부각하고, 장점은 미미하다고 말한다. 이 책의 논쟁 중 상당 부분이 이런 모습이다. 비전문가들이 이들의 의견을 읽게 되면, 읽을 때마다 생각이 바뀌게 된다. 둘 다 그럴듯해 보이기 때문이다. 공부하지 않으면 독자 노릇조차 하기 참 힘들다는 생각이 든다.
양자 간 논쟁의 옳고 그름을 떠나 먼저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는 태도에 대한 아쉬움을 느낀다. 100% 팩트만 가지고 감정의 개입 없이 논쟁하는 것이 불가능하겠지만, 겉으로는 서로 상대방의 주장에 대해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듯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상대에게는 어떤 (불순한)의도가 있다고 생각하고, 이 의도를 만천하에 드러내기 위해 논쟁 아닌 논쟁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자신의 생각의 옳음을 말하는 듯 보이지만, 실상은 자신의 감정의 옳음을 이야기하고 싶은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자주 든다.
전문가들은 정말 많은 것들을 알고 있다. 많은 경우 중요한 것들은 빼고 사소한 것들만 잔뜩. 그리고 그것들을 비전문가들인 독자에게 설명해 준다. 너무 많은 변수들이 존재하고, 그 변수들을 고려해서 실험을 해 볼 수 없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지만, 경제학의 경우는 많고 많은 학문 분야 중에 유독 이런 것이 더 심한 것 같다.
과학이 아니라 이데올로기에 가깝다는 생각마저 들게 한다.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서로 자기 생각이 옳다고만 주장한다. 서로 경제 현상의 일부만 보고 말하는 경우에도, 자신은 옳다고 주장할 수 있는 그 자신감은 어디에서 나오는지 궁금하다. 자신만큼 경제학을 공부한 상대의 연구에 대한 인정의 태도는 찾기 어렵다. 전적으로 태도의 문제다. 그렇다고 이런 아쉬움이 이 책을 염두에 두고 하는 말은 아니다. 논쟁적 책을 읽을 경우 느껴지는 것들을 두서없이 이야기한 것이다.
경제학은 신이 아니다. 경제학의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감히 말하자면 경제학은 지금보다 더 겸손해야 한다. 물리학이 수학이 경제학을 보고 비웃고 있는지도 모른다.
기업 성과에 따라 보수가 결정된다는 이 책의 주장은 그럴듯하다. 그러나 그렇다고 300-400배나 더 높다는 것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지난 몇 십 년 사이 근로자의 평균 생산성보다 기업가의 평균 생산성이 10배 이상 더 높은 근거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기본급의 비중은 24-30%인 반면 성과급은 54-58%에 달한다고 주장하지만, 기본급 25%는 비율이 아닌 절대적 금액으로 환산해 봐도 적지 않은 금액일 뿐더러, 이는 2.5배의 생산성 향상을 의미해야 하는데, 그 근거가 무엇인지 설명이 없다. 생산성의 결과가 아니라면 장하준이 말한 정치력이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기업가 정신에 있어 이 책에서 주장하는 바에 공감이 간다. 후진국의 자영업자들이 겪는 생존경쟁과 선진국의 기업가들이 생존경쟁은 질적으로 차이가 난다. 후진국의 자영업자들의 삶이 더 고단한 것은 분명하지만, 현상 유지적 경쟁과 발전 지향적 경쟁의 결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금융 상품의 규제에 대해 이 책은 금융 상품의 거래는 허용하되, 그 위험은 관리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관리가 안 됐기 때문에 금융 위기가 발생했고 그래서 규제를 해야 하는데, 이 책은 관리가 가능하다고 믿는 것 같다. 즉, 이 책은 위기의 발생은 관리를 안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지, 관리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은 아니라는 생각을 내비친다. 마음만 먹으면 머든 잘할 수 있다는 말처럼 공허한 말이다. 설사 가능한 일이라고 해도, 그 마음을 언제 먹을 줄 알고 마냥 기다려야 할까? 그리고 전문 서비스 시장이, 제한된 합리성을 해소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하지만, 제한된 합리성은 전문가는 예외로 두는 개념이 아니다.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이다. 전문 서비스라고 할 수 있는 신용평가기관의 과거 실패를 봐도 알 수 있다.
장하준이, 우리는 계획경제에서 살고 있다는 말은 계획이라는 말이 곧 공산주의라는 인식이 강하게 박혀있는 레드 콤플렉스에 사로잡힌 사회에 대해, 공산주의자는 뿔이 달려 있다는 편견만큼의, 계획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한 언사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 책은 마치 장하준이 공산주의 식 계획 경제를 신봉하는 사람이란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정치에만 색깔론이 있는 줄 알았는데, 경제학에도 색깔론이 있는 줄은 몰랐다. 과연 이 책은 장하준의 그런 의도를 모르는 것인가? 애써 외면하려는 것인가?
경제는 선택의 문제라고 한다. 기회비용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선택을 하는 것이다. 어떤 선택이든 비용이 따른다는 것이 경제학의 기본원리다. 모든 것을 다 가질 수 있는 선택은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복지를 선택하든 성장을 선택하든, 선택의 주체들이 보기에는 기회비용보다 그러한 선택의 편익이 더 크다고 믿고 결정한 것이다. 따라서 반대쪽에서 왈가왈부할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미국이 선택권이 있는 나라이듯이 북유럽 또한 마찬가지다. 북유럽 국가들이 복지를 선택했다면 이미 그들은 실업률을 감수할 각오를 한 것이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북유럽 국가에서 실업률을 고민한다고 해서 그것이 바로 복지정책을 폐기해야 할 이유는 아니다.
신고전파 경제학의 문제점에 대해 금융위기 이후 비판이 거세다. 이 책에서 케인스 경제학이 정부의 방만한 통화 및 재정 정책을 유도했기 때문에, 70년대의 스태그플레이션을 초래했다고 말한다. 케인스 경제학이 정부의 방만함을 유도하기 위해 만든 경제학은 아닐 것이다. 따라서 케인스 경제학이 신고전파로부터 비판받을 당시로 돌아가 본다면, 케인스 경제학은, 정부의 방만함은 케인스 경제학의 원칙을 지키지 못했기 때문에 나온 결과이지, 케인스 경제학 때문은 아니라고 항변했을 것이다. 물론 그 항변이 주목받았다면 신고전파가 득세하지 않았을 것이다. 현재로 돌아오면, 시장친화적 정부 개입을 주장하는 신고전파 경제학이 반시장적 정부개입을 유도해 금융 위기가 초래됐다고 비판한다면 신고전파 경제학은 뭐라고 할까? 잘되면 내 탓이요, 못 되면 조상 탓이라는 말이 어울릴 법하다.
한 쪽은 장점은 부각하고, 단점은 미미하여 장점에 상쇄된다고 말한다. 반대쪽은 단점을 부각하고, 장점은 미미하다고 말한다. 이 책의 논쟁 중 상당 부분이 이런 모습이다. 비전문가들이 이들의 의견을 읽게 되면, 읽을 때마다 생각이 바뀌게 된다. 둘 다 그럴듯해 보이기 때문이다. 공부하지 않으면 독자 노릇조차 하기 참 힘들다는 생각이 든다.
양자 간 논쟁의 옳고 그름을 떠나 먼저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는 태도에 대한 아쉬움을 느낀다. 100% 팩트만 가지고 감정의 개입 없이 논쟁하는 것이 불가능하겠지만, 겉으로는 서로 상대방의 주장에 대해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듯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상대에게는 어떤 (불순한)의도가 있다고 생각하고, 이 의도를 만천하에 드러내기 위해 논쟁 아닌 논쟁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자신의 생각의 옳음을 말하는 듯 보이지만, 실상은 자신의 감정의 옳음을 이야기하고 싶은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자주 든다.
전문가들은 정말 많은 것들을 알고 있다. 많은 경우 중요한 것들은 빼고 사소한 것들만 잔뜩. 그리고 그것들을 비전문가들인 독자에게 설명해 준다. 너무 많은 변수들이 존재하고, 그 변수들을 고려해서 실험을 해 볼 수 없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지만, 경제학의 경우는 많고 많은 학문 분야 중에 유독 이런 것이 더 심한 것 같다.
과학이 아니라 이데올로기에 가깝다는 생각마저 들게 한다.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서로 자기 생각이 옳다고만 주장한다. 서로 경제 현상의 일부만 보고 말하는 경우에도, 자신은 옳다고 주장할 수 있는 그 자신감은 어디에서 나오는지 궁금하다. 자신만큼 경제학을 공부한 상대의 연구에 대한 인정의 태도는 찾기 어렵다. 전적으로 태도의 문제다. 그렇다고 이런 아쉬움이 이 책을 염두에 두고 하는 말은 아니다. 논쟁적 책을 읽을 경우 느껴지는 것들을 두서없이 이야기한 것이다.
경제학은 신이 아니다. 경제학의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감히 말하자면 경제학은 지금보다 더 겸손해야 한다. 물리학이 수학이 경제학을 보고 비웃고 있는지도 모른다.
키워드
추천자료
'유대인 이야기' 책요약정리
'제인 에어'의 내용요약과 페미니즘적 성격분석 및 독후감
(서평) '좀머씨 이야기'에 대한 내용요약 및 분석과 작품서평(A+독후감)
[책요약]미래를 경영하라(톰 피터스 지음)
소명에 대한 요약
기본간호 요약정리
장하준의 나쁜 사마리아인들 에 대한 서평(A+독후감)
한상복의 배력에 대한 내용요약 및 독후감
교육심리학 중간고사 요약정리
C/ C++ 프로그래밍 요약 레포트
최근 다양해지고 있는 가족형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설명하고, 정보화 사회가 가족에 미...
(KNU) 경영과 조직 요약
[요약] 바보상자의 역습 _ 스티븐 존슨 (Steven Johnson) 저
[서비스 달인의 비밀노트 3 CEO] 우수 독후감 요약 정리,칩 R. 벨, 론 젬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