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땅따먹기, 자치기, 비석치기의 순입니다.
본문내용
던진 후 외발로 두 번 가서 밟고 돌을 주워 던져 쓰러 뜨린다.
4. 4단계:돌을 한 번 던진 후 외발로 세 번 가서 밟고 돌을 주워 던져 쓰러 뜨린다.
밀어 까기:외 발로 세 번 뛰고 네 발 째 발로 차면서 쓰러뜨린다.한 발씩 뛸 때 마다 “밀” “어”“까”“기”하면서 “기”에서 찬다.
5. 도둑발:오른 발 위에 돌을 얹고 세 발째 발로 던져서 쓰러 뜨린다.
6. 왼발까기:도둑발처럼 왼발 위에 돌을 얹고 세 발 째 발로 던져 쓰러 뜨린다.
▶ 도둑발과 왼발까기에서는 입을 벌리거나 말하지 못하고 뒷짐을 져야 한다.
7. 토끼뜀:두 발 사이에 돌을 끼우고 가서 쓰러 뜨린다.
8. 무릎팍:두 무릎 사이에 돌을 끼우고 가서 쓰러 뜨린다.
9. 가랭이:가랑이 사이에 돌을 끼우고 가서 쓰러 뜨린다.
10. 배사장:배위에 얹고 가서 쓰러 뜨린다.
11. 똥차:등위에 얹고 뒷걸음질하여 가서 쓰러 뜨린다.
12. 호떡(고구마):왼손과 오른손 번갈아 가며 돌을 까부르 듯이 가서 돌을 쓰러 뜨린다.
13. 커피잔:왼손 바닥 위에 오른손 주먹을 올리고 그 위에 돌을 얹고 가서 쓰러 뜨린다.이 때 “앗! 뜨거워”라고 말하면서 쓰러 뜨린다.)
14. 신문사려:오른쪽(왼쪽) 겨드랑 사이에 돌을 끼우고 가서 쓰러 뜨린다.
15. 훈장(계급장):오른쪽(왼쪽) 어깨위에 얹고 가서 쓰러 뜨린다.
16. 목걸이:돌을 턱과 목사이에 끼우고 걸어가 쓰러 뜨린다.
17. 인사(메밀묵):머리 위에 얹고 가서 쓰러 뜨린다.
18. 장님 : 눈을 감고 비석을 들고 가다가 어림짐작으로 비석을 쓰러뜨린다.
* 놀이의 재미를 위한 팁
비석을 옮겨 가는 동안 비석을 옮겨 가는 편이 비석을 떨어뜨리도록 상대편이 온갖 재미있는 말과 표정,익살,노래,소리 등을 낸다.
예를 들어“사장님 왠 배가 그렇게 불룩해요,”떡 사세요? 안 사요?“,”신문 사세요?”“얼마요” 등등...
⑤ 이 비석치기는 모든 과정을 다 한다면 2~3시간 걸리는 놀이이다. 여러 가지 단계중 재미있는 몇 가지만을 선택하여 놀이를 한다.
3. 유의점
① 아동의 수준에 따라 돌 던지는 거리를 조정하여 놀도록 한다.
② 아동에게 위 놀이 방법 모두를 지도하려고 하기 보다는 단계별로 선택하여 놀이에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③ 위의 여러 단계 이외에도 아이들 나름대로 재미있는 방법을 생각해보도록 하여 창의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4. 놀이 효과
공간지각력과 균형감각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4. 4단계:돌을 한 번 던진 후 외발로 세 번 가서 밟고 돌을 주워 던져 쓰러 뜨린다.
밀어 까기:외 발로 세 번 뛰고 네 발 째 발로 차면서 쓰러뜨린다.한 발씩 뛸 때 마다 “밀” “어”“까”“기”하면서 “기”에서 찬다.
5. 도둑발:오른 발 위에 돌을 얹고 세 발째 발로 던져서 쓰러 뜨린다.
6. 왼발까기:도둑발처럼 왼발 위에 돌을 얹고 세 발 째 발로 던져 쓰러 뜨린다.
▶ 도둑발과 왼발까기에서는 입을 벌리거나 말하지 못하고 뒷짐을 져야 한다.
7. 토끼뜀:두 발 사이에 돌을 끼우고 가서 쓰러 뜨린다.
8. 무릎팍:두 무릎 사이에 돌을 끼우고 가서 쓰러 뜨린다.
9. 가랭이:가랑이 사이에 돌을 끼우고 가서 쓰러 뜨린다.
10. 배사장:배위에 얹고 가서 쓰러 뜨린다.
11. 똥차:등위에 얹고 뒷걸음질하여 가서 쓰러 뜨린다.
12. 호떡(고구마):왼손과 오른손 번갈아 가며 돌을 까부르 듯이 가서 돌을 쓰러 뜨린다.
13. 커피잔:왼손 바닥 위에 오른손 주먹을 올리고 그 위에 돌을 얹고 가서 쓰러 뜨린다.이 때 “앗! 뜨거워”라고 말하면서 쓰러 뜨린다.)
14. 신문사려:오른쪽(왼쪽) 겨드랑 사이에 돌을 끼우고 가서 쓰러 뜨린다.
15. 훈장(계급장):오른쪽(왼쪽) 어깨위에 얹고 가서 쓰러 뜨린다.
16. 목걸이:돌을 턱과 목사이에 끼우고 걸어가 쓰러 뜨린다.
17. 인사(메밀묵):머리 위에 얹고 가서 쓰러 뜨린다.
18. 장님 : 눈을 감고 비석을 들고 가다가 어림짐작으로 비석을 쓰러뜨린다.
* 놀이의 재미를 위한 팁
비석을 옮겨 가는 동안 비석을 옮겨 가는 편이 비석을 떨어뜨리도록 상대편이 온갖 재미있는 말과 표정,익살,노래,소리 등을 낸다.
예를 들어“사장님 왠 배가 그렇게 불룩해요,”떡 사세요? 안 사요?“,”신문 사세요?”“얼마요” 등등...
⑤ 이 비석치기는 모든 과정을 다 한다면 2~3시간 걸리는 놀이이다. 여러 가지 단계중 재미있는 몇 가지만을 선택하여 놀이를 한다.
3. 유의점
① 아동의 수준에 따라 돌 던지는 거리를 조정하여 놀도록 한다.
② 아동에게 위 놀이 방법 모두를 지도하려고 하기 보다는 단계별로 선택하여 놀이에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③ 위의 여러 단계 이외에도 아이들 나름대로 재미있는 방법을 생각해보도록 하여 창의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4. 놀이 효과
공간지각력과 균형감각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추천자료
한국의 전래놀이[1]
민속놀이지도(전통놀이학습, 전래놀이교육)의 목적, 민속놀이지도(전통놀이학습, 전래놀이교...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지도(전통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의의와 기대효과, 전래놀이지도(...
[민속놀이교육][전래놀이학습]전통놀이교육(전래놀이지도, 민속놀이학습) 교육적 가치와 특성...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특성과 배경,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
전래놀이교육(전통놀이학습, 민속놀이지도)의 의미, 전래놀이교육(전통놀이학습, 민속놀이지...
민속놀이지도(전래놀이학습, 전통놀이교육) 의의와 현실, 민속놀이지도(전래놀이학습, 전통놀...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필요성,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
[유아전통놀이][유아전래놀이][유아역할놀이][유아표현놀이][풍물놀이][민속놀이][사회가상놀...
전래놀이교육 : 유아전래놀이교육의 적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