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상 심장박동
2. 심박조율기의 기능
3. 심박조율기가 필요한 심장질환
4. 심박조율기 수술방법
5. 심박조율기 수술 후의 생활
6. 심박조율기의 교환
2. 심박조율기의 기능
3. 심박조율기가 필요한 심장질환
4. 심박조율기 수술방법
5. 심박조율기 수술 후의 생활
6. 심박조율기의 교환
본문내용
취하에 심박조율기를 교환합니다. 교환시 전극선의 기능이 정상이면 심박발생기만 교환합니다. 맥박수를 측정함으로 심박조율기의 기능을 간단히 알 수 있습니다. 맥박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쉽게 측정됩니다. 중지와 검지 두 손가락으로 반대편 손목밖부분을 적당히 누르면 맥박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때 초침이 있는 시계를 이용하여 1분간의 맥박수를 측정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중지와 검지 두 손가락을 목 중간부분의 약간 바깥쪽을 눌러 보십시오. 이곳의 맥박은 아주 강하게 뛰므로 쉽게 박동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역시 1분간의 맥박수를 측정합니다.
7. 정기 및 응급 진찰
수술후 외래나 응급실을 통해 정기진찰 및 응급진찰을 받게 됩니다.
1) 정기진찰 : 심박조율기 기능이나 전지의 상태를 알기 위해 퇴원후 2주, 1개월 및 3개월후에 외래를 통하여 진찰 받으며, 이후 6개월 내지 1년마다 진찰을 받다가 전지 교환시기가 가까워 오면 1개월마다 진찰을 받습니다.
2) 응급진찰 :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① 심박조율기 수술받기 전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② 수술부위에 염증이 나타나는 경우
③ 맥박수가 느려지는 경우
7. 정기 및 응급 진찰
수술후 외래나 응급실을 통해 정기진찰 및 응급진찰을 받게 됩니다.
1) 정기진찰 : 심박조율기 기능이나 전지의 상태를 알기 위해 퇴원후 2주, 1개월 및 3개월후에 외래를 통하여 진찰 받으며, 이후 6개월 내지 1년마다 진찰을 받다가 전지 교환시기가 가까워 오면 1개월마다 진찰을 받습니다.
2) 응급진찰 :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① 심박조율기 수술받기 전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② 수술부위에 염증이 나타나는 경우
③ 맥박수가 느려지는 경우
추천자료
신생아소생술
부정맥의 종류와 치료
울혈성 심부전 약물요법
Cardioversion(심부정맥 전환법)과 Defibrillation(제세동법)의 비교
태아전자감시
[고혈압의 정의][고혈압의 원인][고혈압의 진단][고혈압의 합병증][고혈압의 예방법][고혈압...
임신에 대한 해부 생리적 적응 - 심맥 관계( Bolgre),전자 태아 감시 ( Fetal Monitoring)
부정맥, 관상동맥 질환
UAP (unstable angina pectoris) case study
[금연][담배][흡연][금단증상][금단현상]금연의 경과, 금연의 어려움, 담배(흡연) 금단증상(...
심혈관계에 작용하는 약물에 대하여
노인의 변화 (심혈관계 변화, 호흡기계 변화, 소화기계 변화, 내분비계 변화, 신경계 및 감각...
CHF case study (울혈성 심부전)
산전 태아검진 태아건강사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