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륜과 정도전의 생애 및 차이점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해당 자료는 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하륜과 정도전의 생애 및 차이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여러 외적의 침입을 받고 권문세족의 횡포로 국력이 날이갈수록 쇠퇴해가던 고려말. 공민왕은 신돈과 신진사대부들을 앞세워 개혁을 통해 고려를 살리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막강한 권문세족의 권력 앞에서 공민왕의 노력은 물거품이 되고 결국 암살까지 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서도 개혁의 꿈을 잃지 않은 부류가 있었으니 바로 신진사대부들이였다. 이들은 성리학을 바탕으로 그 당시의 고려사회를 비판하면서 개혁을 꿈꾸었다. 그중에서도 정몽주와 정도전이 주도적인 인물이었다. 하지만 이들은 온건파와 급진파 신진사대부로 나뉘면서 서로 대립을 하게 된다. 정도전은 개혁을 주장하면서 신흥무인세력인 이성계를 앞세워 역성혁명을 일으켜 지금의 고려를 밀어내고 새 왕조를 창조하려하였다. 반면 정몽주는 개혁을 주장하면서도 역성혁명에는 반대했기 때문이다. 이 대립은 스승과 제자사이였던 이색과 정도전의 사이도 갈라놓을 만큼 큰 대립이었다.
정도전은 무서운 사람이었다. 그는 치밀하게 역성혁명을 준비하면서 자신의 권력을 점점 쌓아갔고 또 자신이 원하는 대로 개혁을 차근차근 실현해나갔다. 심지어는 자신의 스승이었던 이색마저도 자신과 뜻을 달리하자 제거하려고까지 했다. 그렇게 해서 세상에는 정도전의 적수가 아무도 없는것처럼보였다. 하지만 반대파들이 궁지에 몰리자 마지막 반격을 시도했다. 공양왕에게 정도전을 탄핵해 귀양을 보내고, 이성계가 부상을 당한틈을타 정도전을 탄핵하는 상소를 계속 올려 결국에는 정도전을 보주의 감옥에까지 가두게 된다. 만약 여기서 더 나아가 정도전을 죽이고 이성계의

본문내용

제대로 분석하기 어렵다. 하륜은 단순한 변절자가 아닌 정도전의 재상중심국가의 주장을 몰아내고 강력한 왕권국가를 조선 초기의 통치체제로 확립하는 결정적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정도전과 더불어 하륜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짐으로서 우리가 조선 건국과 더불어 조선 초기의 역사를 더욱 정확하게 바라볼 수 있게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 가격1,000
  • 페이지수2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71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