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것이었다.
이것은 곧 거듭난 교회의 정식 멤버는 하나님과 은혜언약을 맺고 있는 사람들이고 이들을 통하여 대표자들을 선출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가 투표하는 하나님의 자녀들을 통하여 정부 관리에게 전단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따라서 선거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하나님의 뜻을 이룬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겼다.
선출된 관리들을 국민이 하나님과의 언약을 잘 이행하도록 다스리는 것이 그들의 사명 Ibid. 190-191.
이었고, 아울러 국민들에게는 정부 관리들이나 통치자들이 하나님과의 언약을 잘 이행하는가를 살필 의무가 주어졌다.
결국 통치자와 국민 사이의 언약관계는 국민의 정치참여 의식을 필수불가결하게 만들었고 사회공동체 건설의 참여는 성도들에게 막중한 책임을 수반했는데 이것은 사회공동체를 통하여 개인의 경건을 도모하고 공동체의 집합적 언약 이행을 통하여 하나님의 축복을 받는다는 사상이 근본에 있었기 때문이다 원종천 저, 청교도 언약사상: 개혁운동의 힘,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246.
.
뉴잉글랜드의 사회공동체는 신정제도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사회 전체가 하나님에 의해 다스려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영적, 세상적 모든 것이 하나님의 통치 하에서, 그리고 하나님과의 언약 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모두 교회의 정식 회원에게만 주어졌다는 것은 이들이 사회언약에서도 하나님의 은혜언약이 그 중심이 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 6장. 현대교회를 위한 제언
성경 창세기에서 요한계시록까지를 관통하는 주제들 중 하나는 바로 언약사상이다. 그러했기에 언약사상은 교회사 속에서 줄곧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이것은 오늘날 교회들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그러나 다양한 신학적 주제들과 사상들이 발전한 현대 교회들에 있어 언약사상은 다소 소외를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교회들은 다시금 언약사상을 가르쳐야 한다. 그리고 성도들이 삶 가운데서 하나님과의 은혜언약 안에서 살아가도록 끊임없이 동기부여를 해야 한다. 범람하는 반기독교적 사상들에 맞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합당한 삶을 살아가게 하는 힘은 바로 하나님과의 언약 안에 있는 백성임을 성도들의 생각 속에 강하게 심어주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현대 그리스도인의 심각한 병폐 중의 하나인 신앙 따로, 삶 따로인 삶을 신앙과 삶이 함께 하는 삶으로 일치시킬 뿐만 아니라, 교회는 그들의 삶 속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끼치도록 만들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을 또한 언약사상에서 찾을 수 있다.
내가 하나님의 언약 안에 있다는 강력한 확신과 신앙은 바로 오늘날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잃어가는 빛으로서, 소금으로서의 사명을 다시금 충실하게 감당하게 하는 강한 원동력이 되어 줄 것이기 때문이다.
결론
언약사상에는 하나님의 은혜와 주권과 아울러 인간의 쌍방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하다. 언약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상호 계약으로 그 안에는 하나님의 약속과 인간의 의무가 핵심을 이루고 있다.
하나님의 약속은 그분의 주권과 은혜에서 우러나오는 것이고, 인간의 의무는 인간의 책임을 수반하는 것이다.
이런 언약사상은 초대교회에서부터 종교개혁자들을 거쳐 청교도 운동의 가장 중요한 사상적 틀이었고, 이것은 오늘의 교회에도 여전히 밑바탕에 흐르고 있다.
언약사상은 중세의 암흑시대에 종교개혁자들에게 개혁의 기치를 드높이게 하는 정신적 원동력이 되어 주었고, 청교도들에 있어서는 바로 삶 그 자체였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청교도의 언약사상은 그 가르침을 통해 사람들의 자발적 참여의식을 가져왔으며, 이러한 자발적 참여의식은 개혁을 진행시키는 힘이 되어왔다.
언약사상은 언제나 교회가 암울한 시기에서는 그것을 타파하는 정신적 바탕이자 요인이자 원동력이 되어왔고 이것은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인간이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 안에 있다는 이 단순한 사실은 오랜 세월동안 교회사 안에서 교회를 지탱해온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왔고 이것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현대의 교회가 여전히 언약사상을 붙들고 있는 한 현대의 교회는 세속주의라는 세상의 도전과 다양한 이단사상들이라는 외부의 도전을 넘어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패와 타락 이라는 내부적 도전들에 대해서도 그것을 넉넉하게 극복해 갈 수 있는 힘이 되어 줄 것이다.
교회사 안에서 청교도들이 가졌던 언약사상은 바로 이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참고 도서
1. 서요한 저, 언약사상사,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4년)
2. 송제근 저, 오경과 구약의 언약신학, (서울: 두란노. 2003)
3. 오덕교 저, 언덕 위의 도시, (수원: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2004)
4. 원종천 저, 청교도 언약사상: 개혁운동의 힘,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5. 임희완 저, 청교도 삶,운동,사상, (서울: 아가페문화사, 1999)
6. 데스몬드 알렉산더, 브라이언 로즈너 편저, IVP 성경신학사전. (서울: IVP. 2004)
7. 데이비드 L. 닐랜즈 저, 성경과 언약, 김성웅 역, (서울: 기독지혜사. 1992)
8. 마틴로이드 존스 저, 청교도 신앙 그 기원과 계승자들, 서문강 역,(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2)
9. 아더 핑크 저, 하나님의 언약, 김의원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2)
10. 알렌 카든 저, 청교도 정신, 박영효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4)
11. 앤드류 머레이 저, 언약, 하나님과 나를 묶는 띠, 문효미 역,(서울: 아가페 출판사. 1993)
12. 얼 케이른즈 저, 세계교회사2, 엄성옥 역, (서울: 은성출판사, 1995)
13. 제임스 헤론 저, 청교도 역사, 박영호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6)
14. John Norman Davidson Kelly. 고대 기독교 교리사. 박희석 역.(경기: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4)
15. O. Palmer Robertson 저, 언약이란 무엇인가, 오광만 역, (서울: 그리심. 2002)
16. W.J.둠브렐 저, 언약과 창조, 최우성 역, (서울: 크리스챤 서적. 1991)
이것은 곧 거듭난 교회의 정식 멤버는 하나님과 은혜언약을 맺고 있는 사람들이고 이들을 통하여 대표자들을 선출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가 투표하는 하나님의 자녀들을 통하여 정부 관리에게 전단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따라서 선거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하나님의 뜻을 이룬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겼다.
선출된 관리들을 국민이 하나님과의 언약을 잘 이행하도록 다스리는 것이 그들의 사명 Ibid. 190-191.
이었고, 아울러 국민들에게는 정부 관리들이나 통치자들이 하나님과의 언약을 잘 이행하는가를 살필 의무가 주어졌다.
결국 통치자와 국민 사이의 언약관계는 국민의 정치참여 의식을 필수불가결하게 만들었고 사회공동체 건설의 참여는 성도들에게 막중한 책임을 수반했는데 이것은 사회공동체를 통하여 개인의 경건을 도모하고 공동체의 집합적 언약 이행을 통하여 하나님의 축복을 받는다는 사상이 근본에 있었기 때문이다 원종천 저, 청교도 언약사상: 개혁운동의 힘,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246.
.
뉴잉글랜드의 사회공동체는 신정제도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사회 전체가 하나님에 의해 다스려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영적, 세상적 모든 것이 하나님의 통치 하에서, 그리고 하나님과의 언약 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모두 교회의 정식 회원에게만 주어졌다는 것은 이들이 사회언약에서도 하나님의 은혜언약이 그 중심이 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 6장. 현대교회를 위한 제언
성경 창세기에서 요한계시록까지를 관통하는 주제들 중 하나는 바로 언약사상이다. 그러했기에 언약사상은 교회사 속에서 줄곧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이것은 오늘날 교회들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그러나 다양한 신학적 주제들과 사상들이 발전한 현대 교회들에 있어 언약사상은 다소 소외를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교회들은 다시금 언약사상을 가르쳐야 한다. 그리고 성도들이 삶 가운데서 하나님과의 은혜언약 안에서 살아가도록 끊임없이 동기부여를 해야 한다. 범람하는 반기독교적 사상들에 맞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합당한 삶을 살아가게 하는 힘은 바로 하나님과의 언약 안에 있는 백성임을 성도들의 생각 속에 강하게 심어주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현대 그리스도인의 심각한 병폐 중의 하나인 신앙 따로, 삶 따로인 삶을 신앙과 삶이 함께 하는 삶으로 일치시킬 뿐만 아니라, 교회는 그들의 삶 속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끼치도록 만들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을 또한 언약사상에서 찾을 수 있다.
내가 하나님의 언약 안에 있다는 강력한 확신과 신앙은 바로 오늘날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잃어가는 빛으로서, 소금으로서의 사명을 다시금 충실하게 감당하게 하는 강한 원동력이 되어 줄 것이기 때문이다.
결론
언약사상에는 하나님의 은혜와 주권과 아울러 인간의 쌍방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하다. 언약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상호 계약으로 그 안에는 하나님의 약속과 인간의 의무가 핵심을 이루고 있다.
하나님의 약속은 그분의 주권과 은혜에서 우러나오는 것이고, 인간의 의무는 인간의 책임을 수반하는 것이다.
이런 언약사상은 초대교회에서부터 종교개혁자들을 거쳐 청교도 운동의 가장 중요한 사상적 틀이었고, 이것은 오늘의 교회에도 여전히 밑바탕에 흐르고 있다.
언약사상은 중세의 암흑시대에 종교개혁자들에게 개혁의 기치를 드높이게 하는 정신적 원동력이 되어 주었고, 청교도들에 있어서는 바로 삶 그 자체였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청교도의 언약사상은 그 가르침을 통해 사람들의 자발적 참여의식을 가져왔으며, 이러한 자발적 참여의식은 개혁을 진행시키는 힘이 되어왔다.
언약사상은 언제나 교회가 암울한 시기에서는 그것을 타파하는 정신적 바탕이자 요인이자 원동력이 되어왔고 이것은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인간이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 안에 있다는 이 단순한 사실은 오랜 세월동안 교회사 안에서 교회를 지탱해온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왔고 이것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현대의 교회가 여전히 언약사상을 붙들고 있는 한 현대의 교회는 세속주의라는 세상의 도전과 다양한 이단사상들이라는 외부의 도전을 넘어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패와 타락 이라는 내부적 도전들에 대해서도 그것을 넉넉하게 극복해 갈 수 있는 힘이 되어 줄 것이다.
교회사 안에서 청교도들이 가졌던 언약사상은 바로 이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참고 도서
1. 서요한 저, 언약사상사,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4년)
2. 송제근 저, 오경과 구약의 언약신학, (서울: 두란노. 2003)
3. 오덕교 저, 언덕 위의 도시, (수원: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2004)
4. 원종천 저, 청교도 언약사상: 개혁운동의 힘,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5. 임희완 저, 청교도 삶,운동,사상, (서울: 아가페문화사, 1999)
6. 데스몬드 알렉산더, 브라이언 로즈너 편저, IVP 성경신학사전. (서울: IVP. 2004)
7. 데이비드 L. 닐랜즈 저, 성경과 언약, 김성웅 역, (서울: 기독지혜사. 1992)
8. 마틴로이드 존스 저, 청교도 신앙 그 기원과 계승자들, 서문강 역,(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2)
9. 아더 핑크 저, 하나님의 언약, 김의원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2)
10. 알렌 카든 저, 청교도 정신, 박영효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4)
11. 앤드류 머레이 저, 언약, 하나님과 나를 묶는 띠, 문효미 역,(서울: 아가페 출판사. 1993)
12. 얼 케이른즈 저, 세계교회사2, 엄성옥 역, (서울: 은성출판사, 1995)
13. 제임스 헤론 저, 청교도 역사, 박영호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6)
14. John Norman Davidson Kelly. 고대 기독교 교리사. 박희석 역.(경기: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4)
15. O. Palmer Robertson 저, 언약이란 무엇인가, 오광만 역, (서울: 그리심. 2002)
16. W.J.둠브렐 저, 언약과 창조, 최우성 역, (서울: 크리스챤 서적. 199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