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과 순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운동과 순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유지하려고 합니다.
혈압의 변화
: 유산소 운동을 할 때는 수축기 혈압은 상승하게 됩니다. 보통 수축기 혈압이 190~220mmHg정도까지는 올라갑니다. 대부분 올라가더라도 260mmHg를 넘는 경우는 적습니다. 그리고, 이완기 혈압은 휴식 상태와 비교해서 변화가 없거나 약간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폐 환기량
: 이것은 1분 동안 폐에서 교환되는 공기의 양을 뜻합니다. 보통 1분에 6ℓ 정도의 공기를 교환하게 됩니다. 운동을 할 경우에는 15~25배 정도까지 증가하게 됩니다. 가벼운 운동 강도에서 호흡횟수를 높이지 않고, 1회 환기량을 늘려서 해결합니다. 하지만, 운동 강도가 높아지면 호흡횟수를 높여서 문제를 해결하게 됩니다.
보통 폐 환기량은 운동 능력에 큰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최대 산소 소비량에 영향을 별로 미치지 않습니다...)
2) 운동을 계속해서 생기는 생리학적인 변화
최대 산소 섭취량(VO2 max - maximal MET) : ↑
휴식시 맥박수 : ↓
운동시 맥박수(최대 맥박수가 아닌 경우) : ↓
최대 맥박수 : ↔(또는 약간 ↓)
동-정맥 산소 농도 차이 : ↑
1회 심박출량 : ↑
심박출량 : ↑
수축기 혈압 : ↔(또는 약간 ↑)
근육의 산소 이용능력 : ↑
혈액 내 젖산 농도 : ↑
최대 폐 환기량 : ↑
운동을 꾸준히 해서 생기는 변화는 대부분은 운동에 익숙해지는 과정입니다. 위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운동에 유리하게 변화가 생깁니다. 혈액 내 젖산 농도가 높아지는 것에 약간의 의아함이 있을 지도 모릅니다. 이것은 젖산 내성이라고 하는 것인데, 보통 어느 정도 혈액 내의 젖산 농도가 높아지면 운동 능력을 유지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운동을 꾸준히 해서 훈련이 된 사람은 혈액 내의 젖산 농도가 높아져도 운동 능력을 유지할 수가 있습니다. 젖산 내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한번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그리고, 폐 환기량은 운동 능력에 그다지 큰 역할을 하지 않는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운동을 하면 최대 폐 환기량이 늘어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이 운동 능력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지는 아직은 분명하지 않습니다. 보통의 경우 폐 환기량(보통 폐활량이라고 하지요...) 때문에 최대 산소 섭취량이 제한을 받는 경우는 드뭅니다. 아주 엘리트 운동 선수인 경우에 폐 환기량 때문에 최대 산소 섭취량이 제한 되는 경우도 있다고는 합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90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