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때문에 언어습득 or 학습이 용이하다. 정의적 요소 中 또 다르게 고려해 볼만한 요소가 1.2 언어 학습에 대한 attitudes(태도)문제다. 목표언어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성공적인 언어학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때, 아동은 인종, 문화, 인종 집단, 계층, 언어에 대한 attitudes를 미처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목표언어에 대한 부정적 태도(negative attitudes)를 취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언어를 성인보다 훨씬 쉽게 배운다.
마지막으로, peer pressure(동료 압력)은 Type 2(아동-외국어/ 성인-외국어),3(아동-모국어/ 성인-외국어) Comparison에서 아주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 Peer pressure 측면에서 보면, 아동은 언어 학습 時 주위 동요들을 많이 의식하기 때문에 or 주위 동요들이 날카로운 비판을 가해 오기 때문에 2 언어습득을 완전히 하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그러나 성인들은 주위 성인들이 언어간의 차이를 기본적으로 인식해 주고 몇 가지의 실수는 용납해 줘 버리기 때문에 목표언어를 완전히 통달하지 않아도 되는 환경이 설정되어, 아동만큼 목표언어를 철저히 소화하려는 압력을 주위 동료들로부터 받지 않는다.
◈ Linguistic Considerations
여기에서는 2 언어 학습에서의 성인과 아동이 취하는 서로 다른 언어적 과정(linguistic process)을 살펴보자. 특히, 여기서는 Type1 Comparison(아동-모국어/ 성인-외국어) 內 아동의 2 언어습득 時 取하는 linguistic process에 主 초점을 맞춰보자.
동시에 두 개의 언어를 학습(습득)하는 아동은 두 언어에 대한 유사한 전략을 가지며, 두 언어에 대해 각기 다른 상황(context)을 통해 성공적으로 두 언어를 습득한다. cf) bilingual에는 coordinate bilinguals들(각기 분리된 언어 상황 or en 개의 의미 체계를 취하는 경우)과 compound bilinguals(하나의 의미 체계 下에서 두 개 언어가 운용되는 경우)가 있다. 어린 시절의 bilingualism은 아동의 인지 능력에 지대한 도움을 준다. 두 개의 언어를 동시에 학습하지 않는 아동의 경우는 linguistic process를 규명하기 힘들다. 어떤 경우 1 언어습득을 시작한 직후(3-4살)에 2 언어학습을 시작, 또 다른 경우 10살 정도나 後에 2 언어학습을 시작한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아동의 2 언어 학습 時 언어적(linguistic) & 인지적(cognitive) 과정은 1 언어습득 과정과 유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예로, Dulay와 Burt는 Spanish-speaking 아동이 English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저지른 500개의 실수 中 86%가 intra-lingual strategies의 오류결과로 판명되었다.
즉, 보다 상세히 예를 들자면,
미숙이(4살)가 영어를 배운다.→ 미숙이는 I goed to Pusan과 같은 실수(영어를 공부할 때 미국 얘들이 저지르는 것처럼 과거분사 -ed를 확대 적용하는 실수⇒intra-lingual적 실수)를 범하지 I Pusan to goed라는 실수를 범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영어를 공부하는데 국어 어순을 적용시킨 실수 →inter-lingual적 실수.
성인의 2 언어 습득 時 取하는 linguistic process는 규명하기가 정말 힘들다. 왜냐면 자연스런 환경 下에서 2 언어를 학습하는 성인들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확실한 것은 성인들이 활용 가능한 모든 언어적 정보를 바탕으로 2 언어를 체계적으로 접근하며, 언어적 규칙을 형성하려는 시도를 한다는 것이다. ― 성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적 정보는 모국어와 2 언어 자체에서 나온다. 이렇게 말한다고 해서, 1 언어의 Interference가 성인의 2 언어학습에 가장 중요하고 결정적인 요소를 뜻한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아동에 비해 인지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성인은 자신이 습득했던 1 언어의 확고한 기초로부터 2 언어를 학습하기 때문에 아동보다 많은 2 언어 Interference가 존재한다는 것은 명확하다.
Heidi Dulay와 Marina Burt에 의하면 2 언어를 학습하는 아동은 creative construction process(창조적 구조 과정)을 거친다. 성인들도 2 언어를 창조적으로 지각하고 1 언어의 규칙들과 다른 언어 규칙들을 발견하기 위하여 노력하면 나올 수 있는 결과인 아동과 같은 실수(I goed to Pusan)를 저질렀다. 그러나 성인들에게 있어 1 언어는 그들이 2 언어 內에서의 일반화로 다 충족시킬 수 없는 gap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 점에서 1 언어는 2 언어 습득에 있어 단지 Interfering factors로 작용하는 게 아니라 facilitating factor로도 사용된다고 할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다음과 같은 Comparison을 네 개의 영역에 비추어 논해 보았다. 외국어 교사가 되려는 우리는 앞에서 제시한 매개 변수들(4개의 영역 下 여러 factors들)을 통해서 1 언어 습득과 2 언어습득 間에 어떤 관계가 있는 지에 대한 나름의 이해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런 이해를 통해 2 언어 교수에서 효과적인(유용한) 암시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Child
Adult
L1
C1
A1
부분은 성인기(or 사춘기에 해당)
L2
C2
A2
C1-C2: Type 1.
C2-A2: Type 2. Comparisons.
C1-A2: Type 3.
위의 도표를 바탕으로 ‘Affective Considerations’, ‘Cognitive Considerations’, ‘Neurological Considerations’, ‘Psycho-motor Considerations’, ‘Linguistic Considerations’ .이 가능하고 +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의 可/否 결정을 할 수 있다.
위의 도식이 Chapter 3의 핵심 내용이다. 다시 말해서, 교과 교육론의 의의가 여기에 놓여 있다 하겠다.
마지막으로, peer pressure(동료 압력)은 Type 2(아동-외국어/ 성인-외국어),3(아동-모국어/ 성인-외국어) Comparison에서 아주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 Peer pressure 측면에서 보면, 아동은 언어 학습 時 주위 동요들을 많이 의식하기 때문에 or 주위 동요들이 날카로운 비판을 가해 오기 때문에 2 언어습득을 완전히 하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그러나 성인들은 주위 성인들이 언어간의 차이를 기본적으로 인식해 주고 몇 가지의 실수는 용납해 줘 버리기 때문에 목표언어를 완전히 통달하지 않아도 되는 환경이 설정되어, 아동만큼 목표언어를 철저히 소화하려는 압력을 주위 동료들로부터 받지 않는다.
◈ Linguistic Considerations
여기에서는 2 언어 학습에서의 성인과 아동이 취하는 서로 다른 언어적 과정(linguistic process)을 살펴보자. 특히, 여기서는 Type1 Comparison(아동-모국어/ 성인-외국어) 內 아동의 2 언어습득 時 取하는 linguistic process에 主 초점을 맞춰보자.
동시에 두 개의 언어를 학습(습득)하는 아동은 두 언어에 대한 유사한 전략을 가지며, 두 언어에 대해 각기 다른 상황(context)을 통해 성공적으로 두 언어를 습득한다. cf) bilingual에는 coordinate bilinguals들(각기 분리된 언어 상황 or en 개의 의미 체계를 취하는 경우)과 compound bilinguals(하나의 의미 체계 下에서 두 개 언어가 운용되는 경우)가 있다. 어린 시절의 bilingualism은 아동의 인지 능력에 지대한 도움을 준다. 두 개의 언어를 동시에 학습하지 않는 아동의 경우는 linguistic process를 규명하기 힘들다. 어떤 경우 1 언어습득을 시작한 직후(3-4살)에 2 언어학습을 시작, 또 다른 경우 10살 정도나 後에 2 언어학습을 시작한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아동의 2 언어 학습 時 언어적(linguistic) & 인지적(cognitive) 과정은 1 언어습득 과정과 유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예로, Dulay와 Burt는 Spanish-speaking 아동이 English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저지른 500개의 실수 中 86%가 intra-lingual strategies의 오류결과로 판명되었다.
즉, 보다 상세히 예를 들자면,
미숙이(4살)가 영어를 배운다.→ 미숙이는 I goed to Pusan과 같은 실수(영어를 공부할 때 미국 얘들이 저지르는 것처럼 과거분사 -ed를 확대 적용하는 실수⇒intra-lingual적 실수)를 범하지 I Pusan to goed라는 실수를 범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영어를 공부하는데 국어 어순을 적용시킨 실수 →inter-lingual적 실수.
성인의 2 언어 습득 時 取하는 linguistic process는 규명하기가 정말 힘들다. 왜냐면 자연스런 환경 下에서 2 언어를 학습하는 성인들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확실한 것은 성인들이 활용 가능한 모든 언어적 정보를 바탕으로 2 언어를 체계적으로 접근하며, 언어적 규칙을 형성하려는 시도를 한다는 것이다. ― 성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적 정보는 모국어와 2 언어 자체에서 나온다. 이렇게 말한다고 해서, 1 언어의 Interference가 성인의 2 언어학습에 가장 중요하고 결정적인 요소를 뜻한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아동에 비해 인지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성인은 자신이 습득했던 1 언어의 확고한 기초로부터 2 언어를 학습하기 때문에 아동보다 많은 2 언어 Interference가 존재한다는 것은 명확하다.
Heidi Dulay와 Marina Burt에 의하면 2 언어를 학습하는 아동은 creative construction process(창조적 구조 과정)을 거친다. 성인들도 2 언어를 창조적으로 지각하고 1 언어의 규칙들과 다른 언어 규칙들을 발견하기 위하여 노력하면 나올 수 있는 결과인 아동과 같은 실수(I goed to Pusan)를 저질렀다. 그러나 성인들에게 있어 1 언어는 그들이 2 언어 內에서의 일반화로 다 충족시킬 수 없는 gap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 점에서 1 언어는 2 언어 습득에 있어 단지 Interfering factors로 작용하는 게 아니라 facilitating factor로도 사용된다고 할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다음과 같은 Comparison을 네 개의 영역에 비추어 논해 보았다. 외국어 교사가 되려는 우리는 앞에서 제시한 매개 변수들(4개의 영역 下 여러 factors들)을 통해서 1 언어 습득과 2 언어습득 間에 어떤 관계가 있는 지에 대한 나름의 이해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런 이해를 통해 2 언어 교수에서 효과적인(유용한) 암시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Child
Adult
L1
C1
A1
부분은 성인기(or 사춘기에 해당)
L2
C2
A2
C1-C2: Type 1.
C2-A2: Type 2. Comparisons.
C1-A2: Type 3.
위의 도표를 바탕으로 ‘Affective Considerations’, ‘Cognitive Considerations’, ‘Neurological Considerations’, ‘Psycho-motor Considerations’, ‘Linguistic Considerations’ .이 가능하고 +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의 可/否 결정을 할 수 있다.
위의 도식이 Chapter 3의 핵심 내용이다. 다시 말해서, 교과 교육론의 의의가 여기에 놓여 있다 하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