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만다라의 제작
2. 만다라의 해석
3. 만다라에 나타나는 색상
4. 색의 의미
5. 숫자의 형태
6. 일원상의 만다라
1) 공백
2) 낙원
3) 미로 혹은 나선형
4) 시작
5) 과녘
6) 이율배반적 분리/용과의 투쟁
7) 원 속의 사각형
8) 기능하는 자아
9) 투명화 단계
10) 죽음의 문
11) 분열
12) 신성력적인 무아경지
2. 만다라의 해석
3. 만다라에 나타나는 색상
4. 색의 의미
5. 숫자의 형태
6. 일원상의 만다라
1) 공백
2) 낙원
3) 미로 혹은 나선형
4) 시작
5) 과녘
6) 이율배반적 분리/용과의 투쟁
7) 원 속의 사각형
8) 기능하는 자아
9) 투명화 단계
10) 죽음의 문
11) 분열
12) 신성력적인 무아경지
본문내용
리 내면의 요구를 낙원상태의 유아기에 넘겨주는 것이다.
6) 이율배반적 분리/용과의 투쟁
원형적인 부모의 영향은 내면화된 우리의 실제적인 부모들의 모습과 같이 우리 속에 존재한다. 우리의 갈등은 부모들의 세계관의 모형으로부터 개인적인 의식성의 전수자인 자아를 분리시키는 것에 있다. 용의 투쟁 단계 중에 흔히 두렵고 외롭다는 느낌으로 우울해 하다가 금방 의기양양해지고 행복해 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 단계는 갈등의 시기로서 우리의 인간관계에서도 이러한 것이 나타날 때가 있다. 용의 투쟁 단계를 통하여 우리는 우리들의 내면의 성품을 분별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새로운 감각을 가진 자기가 탄생하게 된다. 이는 에너지, 열정, 그리고 변화로 가득 찬 자극적인 시기이다.
7) 원 속의 사각형
전면적인 자아가 설립되는 단계이다. 이 시기에는 자율적이 되려는 강한 느낌이 잇다. 개인의 자아가 자기와 가깝게 일치하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개인은 배울 수 있는 능력과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단계가 취하는 사고의 측면은 정오의 태양을 방불케 하는 밝고 강렬한 의식성으로 사고는 최고의 경지에 달하게 되고 지적인 것을 좋게 보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단계에서 해야 할 작업은 소명감을 확인하고, 영혼의 동반자를 찾으며 일생을 통해 해야 할 일을 찾아내고, 우리의 양 어깨를 끊임없이 돌아가는 원형적인 바퀴에 맡기는 등 자신의 탐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7단계에서 우리의 의식적인 자세는 원형적인 자기에 의하여 가장 강력한 영향을 받게 된다. 우리가 자기에 의하여 힘을 얻게 되면 진정한 영웅이 될 수 있는 용기를 갖게 되고 높은 이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게 될 것이다.
8) 기능하는 자아
개인들이 그들의 사회집단 내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시기에 해당된다. 비록 홀로 있더라도 더 이상 외롭지 않고 현실에 능동적으로 개입하게 됨으로써 일하는 것이 즐겁게 느껴지게 된다. 이 단계에 있는 개인들의 만다라에는 다섯 개의 꼭지점을 가진 별이나 다섯 개의 잎새를 가진 꽃들로 성격 지워지는 형태가 나타난다. 이 단계는 부성적인 세계에서 가장 생산적인 시기라고 할 수 있다.
9) 투명화 단계
새로운 사업이나 정원을 만드는 작업 혹은 새로운 가족 형성을 시작하는 것과 같다. 이 단계동안 우리의 사고는 매우 맑아져서 이 세상과 우리가 있는 곳에 대하여 지적으로 이해하게 된다. 이 단계는 흔히 조화에서 오는 만족감과 성취감을 가져다준다. 우리의 자아는 성취를 하였다는 자존감에 의하여 보다 강화되며 이러한 구체화는 인간의 일생 중에 중년기를 연상시킨다. 이 단계에서 해야 할 작업은 성공에 연연하지 않고 현실에서 마음껏 즐기는 것이다. 그래야만 물러나야 할 시간이 왔을 때 고상하게 그것을 내어주고 물러날 수 있게 될 것이다.
10) 죽음의 문
이 단계는 어떤 주기의 마감을 나타낸다. 이 단계는 마지막이라는 점에서 일시적으로 정신의 중심으로 대우받던 자아가 그 자리를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이 단계는 자기를 정신적인 진정한 중심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 단계동안 개인은 한 때 완벽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더 이상 옳다고 생각할 수 없게 됨으로써 죽음과 공허와 무상함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자아와 자기 사이의 연결이 멀어짐에 따라 의기소침해진다. 중년기의 위기는 이 시기의 전형적인 형태이며 상실감, 우우라, 무력감은 이 단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다. 이 단계에서 해야 할 작업은 우리가 누구인가를 생각하면서 삶의 목표를 다시 설정하고 바깥세상에 연연하던 생각을 버림으로써 야기되는 아픔을 감수하는 것이다.
11) 분열
삶의 의미상실과 혼동으로 두려움을 느끼게 되는 단계로서 분영단계라 부른다. 이 단계는 진실로 영혼의 어두운 밤을 나타내는 단계이다.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냉혹한 힘에 의하여 모든 것이 좌우되는 것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세상사가 부질없이 보이게 된다. 이 단계에 있는 개인이 해야 할 작업은 주어진 현실에 굴복하는 것, 자신의 어두운 면인 그림자를 대면하는 것. 내면의 짓궂은 사기꾼에게 귀를 기울이는 것 등으로 이것은 지난 날의 질서를 해체해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 단계의 만다라에 나타나는 색상은 어둡고 칙칙한 것이 보통이지만 지나치게 밝고 현란한 색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이 단계를 통하여 우리는 모성의 세계로 다시금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태모에게 수용되어지고 새로운 세대를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적이며 오묘한 자연적인 단계라는 것을 기억한다면 그다지 슬퍼할 이유는 없다. 심오한 질서에 대한 우리의 확신은 이 단계를 인내하고 있는 우리에게 피어나는 꽃과 같은 꿋꿋함을 가져다 줄 것이다.
12) 신성력적인 무아경지
분열되어 있던 자아가 합해져서 새로운 연결을 설립하여 낙원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나타내는 시기로서 신성력적인 무아지경이라고 부른다. 우리의 정신적인 세계는 자기를 중심으로 구조화되고 자아는 역동적인 자기를 표현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강력한 힘이 자아에 의하여 열리게 되고 신성력적인 무아경지가 가끔 극치의 경험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이 단계동안 우리는 즐거움과 조화로움, 그리고 축복을 받는다는 성스러운 느낌을 경험하게 된다. 이율배반적으로 한 때 거슬리던 것이 비논리적인 차원인 은혜로써 해결된다. 이 단계에서 만들어진 만다라는 빛의 분수를 연상시키며 가끔 포도주 잔이나 항아리에 그들 위에 있는 빛을 주입하는 것이 나타난다. 팔을 뻗힌 인간의 몸이나 하늘을 향해 날아오르는 새들 역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들이다. 중심적인 상징이 있을 수 있으며 그런 경우 만다라의 꼭대기 지점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다. 이 단계에서 그려진 만다라는 상승되고 빛나고 있다는 느낌과 경이롭고 영감에 찬 느낌을 가져다준다. 이 단계에서 해야 할 작업은 열매 맺는 삶을 사는 것을 은혜의 선물로 생가하고 감사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받아들여야 하며 어둠 속에서 반짝이는 씨앗과 같은 경험들을 기억하고 전승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는 것으로 우리는 새로운 주기를 예비하기 위한 씨를 뿌릴 수 있게 된다.
6) 이율배반적 분리/용과의 투쟁
원형적인 부모의 영향은 내면화된 우리의 실제적인 부모들의 모습과 같이 우리 속에 존재한다. 우리의 갈등은 부모들의 세계관의 모형으로부터 개인적인 의식성의 전수자인 자아를 분리시키는 것에 있다. 용의 투쟁 단계 중에 흔히 두렵고 외롭다는 느낌으로 우울해 하다가 금방 의기양양해지고 행복해 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 단계는 갈등의 시기로서 우리의 인간관계에서도 이러한 것이 나타날 때가 있다. 용의 투쟁 단계를 통하여 우리는 우리들의 내면의 성품을 분별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새로운 감각을 가진 자기가 탄생하게 된다. 이는 에너지, 열정, 그리고 변화로 가득 찬 자극적인 시기이다.
7) 원 속의 사각형
전면적인 자아가 설립되는 단계이다. 이 시기에는 자율적이 되려는 강한 느낌이 잇다. 개인의 자아가 자기와 가깝게 일치하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개인은 배울 수 있는 능력과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단계가 취하는 사고의 측면은 정오의 태양을 방불케 하는 밝고 강렬한 의식성으로 사고는 최고의 경지에 달하게 되고 지적인 것을 좋게 보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단계에서 해야 할 작업은 소명감을 확인하고, 영혼의 동반자를 찾으며 일생을 통해 해야 할 일을 찾아내고, 우리의 양 어깨를 끊임없이 돌아가는 원형적인 바퀴에 맡기는 등 자신의 탐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7단계에서 우리의 의식적인 자세는 원형적인 자기에 의하여 가장 강력한 영향을 받게 된다. 우리가 자기에 의하여 힘을 얻게 되면 진정한 영웅이 될 수 있는 용기를 갖게 되고 높은 이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게 될 것이다.
8) 기능하는 자아
개인들이 그들의 사회집단 내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시기에 해당된다. 비록 홀로 있더라도 더 이상 외롭지 않고 현실에 능동적으로 개입하게 됨으로써 일하는 것이 즐겁게 느껴지게 된다. 이 단계에 있는 개인들의 만다라에는 다섯 개의 꼭지점을 가진 별이나 다섯 개의 잎새를 가진 꽃들로 성격 지워지는 형태가 나타난다. 이 단계는 부성적인 세계에서 가장 생산적인 시기라고 할 수 있다.
9) 투명화 단계
새로운 사업이나 정원을 만드는 작업 혹은 새로운 가족 형성을 시작하는 것과 같다. 이 단계동안 우리의 사고는 매우 맑아져서 이 세상과 우리가 있는 곳에 대하여 지적으로 이해하게 된다. 이 단계는 흔히 조화에서 오는 만족감과 성취감을 가져다준다. 우리의 자아는 성취를 하였다는 자존감에 의하여 보다 강화되며 이러한 구체화는 인간의 일생 중에 중년기를 연상시킨다. 이 단계에서 해야 할 작업은 성공에 연연하지 않고 현실에서 마음껏 즐기는 것이다. 그래야만 물러나야 할 시간이 왔을 때 고상하게 그것을 내어주고 물러날 수 있게 될 것이다.
10) 죽음의 문
이 단계는 어떤 주기의 마감을 나타낸다. 이 단계는 마지막이라는 점에서 일시적으로 정신의 중심으로 대우받던 자아가 그 자리를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이 단계는 자기를 정신적인 진정한 중심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 단계동안 개인은 한 때 완벽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더 이상 옳다고 생각할 수 없게 됨으로써 죽음과 공허와 무상함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자아와 자기 사이의 연결이 멀어짐에 따라 의기소침해진다. 중년기의 위기는 이 시기의 전형적인 형태이며 상실감, 우우라, 무력감은 이 단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다. 이 단계에서 해야 할 작업은 우리가 누구인가를 생각하면서 삶의 목표를 다시 설정하고 바깥세상에 연연하던 생각을 버림으로써 야기되는 아픔을 감수하는 것이다.
11) 분열
삶의 의미상실과 혼동으로 두려움을 느끼게 되는 단계로서 분영단계라 부른다. 이 단계는 진실로 영혼의 어두운 밤을 나타내는 단계이다.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냉혹한 힘에 의하여 모든 것이 좌우되는 것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세상사가 부질없이 보이게 된다. 이 단계에 있는 개인이 해야 할 작업은 주어진 현실에 굴복하는 것, 자신의 어두운 면인 그림자를 대면하는 것. 내면의 짓궂은 사기꾼에게 귀를 기울이는 것 등으로 이것은 지난 날의 질서를 해체해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 단계의 만다라에 나타나는 색상은 어둡고 칙칙한 것이 보통이지만 지나치게 밝고 현란한 색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이 단계를 통하여 우리는 모성의 세계로 다시금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태모에게 수용되어지고 새로운 세대를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적이며 오묘한 자연적인 단계라는 것을 기억한다면 그다지 슬퍼할 이유는 없다. 심오한 질서에 대한 우리의 확신은 이 단계를 인내하고 있는 우리에게 피어나는 꽃과 같은 꿋꿋함을 가져다 줄 것이다.
12) 신성력적인 무아경지
분열되어 있던 자아가 합해져서 새로운 연결을 설립하여 낙원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나타내는 시기로서 신성력적인 무아지경이라고 부른다. 우리의 정신적인 세계는 자기를 중심으로 구조화되고 자아는 역동적인 자기를 표현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강력한 힘이 자아에 의하여 열리게 되고 신성력적인 무아경지가 가끔 극치의 경험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이 단계동안 우리는 즐거움과 조화로움, 그리고 축복을 받는다는 성스러운 느낌을 경험하게 된다. 이율배반적으로 한 때 거슬리던 것이 비논리적인 차원인 은혜로써 해결된다. 이 단계에서 만들어진 만다라는 빛의 분수를 연상시키며 가끔 포도주 잔이나 항아리에 그들 위에 있는 빛을 주입하는 것이 나타난다. 팔을 뻗힌 인간의 몸이나 하늘을 향해 날아오르는 새들 역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들이다. 중심적인 상징이 있을 수 있으며 그런 경우 만다라의 꼭대기 지점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다. 이 단계에서 그려진 만다라는 상승되고 빛나고 있다는 느낌과 경이롭고 영감에 찬 느낌을 가져다준다. 이 단계에서 해야 할 작업은 열매 맺는 삶을 사는 것을 은혜의 선물로 생가하고 감사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받아들여야 하며 어둠 속에서 반짝이는 씨앗과 같은 경험들을 기억하고 전승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는 것으로 우리는 새로운 주기를 예비하기 위한 씨를 뿌릴 수 있게 된다.
추천자료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발생빈도, 특징, 관련장...
치료특수교육(치료교육)의 개념과 유형, 치료특수교육(치료교육)의 배경과 변천사, 치료특수...
[특수치료]치료특수교육(치료교육)의 유형과 운영, 치료특수교육(치료교육)과 미술치료, 치료...
미술치료 대상자와 미술치료에 요구되는 조건, 미술치료사의 태도와 자세
[미술치료] 미술 치료의 상식적 견해
[유아교육] 미술치료 (발달배경, 개념, 치료적 가치, 치료실과 치료도구, 치료자의 역할, 치...
[유아심리치료] 유아치료 - 여러가지 치료법 (음악치료, 드라마치료, 미술치료, 언어치료, 심...
지적 장애mentally handicapped 아동의 주의집중과 발달 미술치료 - 지적 장애 아동(지적 장...
★평가우수자료★[현대인의 정신건강] 미술치료 - 미술치료 개념, 미술치료 종류, 미술치료 방...
[★발표자료★][미술치료 Art Therapy] 미술치료의 개념과 미술치료의 특징 및 절차와 미술치료...
[미술치료] 미술치료의 준비 - 미술치료의 이론적 구성(정신분석적, 인본주의적, 행동주의적 ...
미술치료기법의 활용 - 진단도구 및 치료도구로서의 미술, 미술진단기법 및 미술치료방법
[노인미술치료] 노년기 가족관계와 미술치료(노년기 부부관계, 자녀관계, 형제자매 및 사회적...
[미술치료이론] 미술치료의 정의와 치료적 가치, 아동의 그리기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