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악기와 종류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전통악기와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은 오동나무가 좋으나 소나무를 쓰기도 합니다.
꽹과리
금부에 속하는 타악기의 하나. 꽹매기라고도 하며 주로 농악에 쓰입니다. 모양은 징과 같으나, 그보다 훨씬 작으며, 소리가 높다는 것이 특징이에요. 농악을 연주할 때는 상쇠와 부쇠로 구분되며 시작과 마침, 리듬의 장단 등을 조절하고 이끌어갑니다. 1번을 쳐서 여러 가지의 파상음을 낼 수 있는 것도 특징입니다.
소고
사당패·선소리패·농악대들이 치는 작은 북. 크기는 지방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개 지름이 약 20㎝, 높이 4∼5㎝입니다. 체테로 만든 통에 개가죽을 양쪽에 대고 개가죽 끈이나 노끈으로 꿰매어 만들며, 채는 1뼘 길이에 손가락만한 굵기의 나무로 만듭니다. 사당패·선소리패의 소고는 좀 큰 편이고, 농악대의 소고는 지방에 따라 일정하지 않습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55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