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화성음에 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화성음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先行音; anticipation) -앞선음 이라고도 한다.두 개의 화음 중 나중 화음의 구성음이 앞 화음의 약박자에서 순차적으로 미리 나타난다.(물론 그 음이 앞 화음에서 비화성음이 되어야 한다.) 일종의 장식적인 음이지만 선율에 특별한 율동이나 생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베토벤의 초기와 중기작품에 잘 나타나 있다. 재즈에서는 당김음(syncopation)이라고 하여 중요한 리듬적 악센트 가운데 하나이다.
6) 도피음(逃避音; escape tone) -반도음(反跳音)으로 부르기도 한다.약 박자에서 순차진행으로 위 또는 아래에 나타나며 반대방향으로 도약진행 하여 화성음으로 간다.(다음 화성음과 반대방향)

7) 도입음(跳入音) -캄비아타(cambiata) 또는, 예비 없는 도움음이라고도 한다.약 박자에서 도약진행으로 위 또는 아래에 나타나며 순차진행 하여 화성음으로 간다.(다음 화성음과 같은방향)

8) 이중 경과음(二重經過音; double passing tone)약 박자에서 단2도로 두개의 음이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여 화성음에 도달한다. 장3도에서의 이중 경과음은 각각 단2도, 장2도로 된다.
9) 이중 보조음(double auxiliary tone)단순 보조 음 두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겹쳐서 나타나고 화성음(본래의 음)으로 진행한다. 비화성음들은 3도관계가 된다. 노타 캄비아타(nota cambiata)라고도 한다. 우측의 악보는 화성적 이중보조음을 나타내고 있다.
10) 자유음(自由音; free tone)위의 비화성음들에 포함되지 않은 비화성음들.-예컨데 도약하고 또다시 도약하는 약진(leap) 등


※ 보속음(保續音; pedal point)도 비화성음에 속하지만 멜로디 라인에서 장식적으로 쓰여지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언급을 보류한다.※ 비화성음은 하나의 주제나 패턴에 동시적(중복)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비화성음들의 기호는 모든 비화성음에 일괄로 해당 음표의 상, 하에 「+」표시를 하므로서 나타낼 수도 있으나 비화성음의 학습의 단계에서는 위와 같이 규정된 기호로서 각 비화성음들을 세분하여 구분한다.※ 참고로 5음음계(pentatonic scale)등 처럼 주어진 음계가 순차진행이 아닐 경우의 비화성음들은 순차진행이 확대된 개념으로 생각하면 된다. 아래의 악보처럼 도·레·미·솔·라의 5음계에서의 미·솔·라의 선율 중 「솔」은 경과음으로 해석해야 하며 도·라·도의 「라」는 보조음으로 취급하면 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7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