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양반관료제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의 양반관료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 체아직은 그 직과의 7할은 군병(軍兵)에게 주어졌으며, 이밖에 공신적장(功臣嫡長)·습독관(習讀官)·의원(醫員) 등 다양한 대상자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서반의 체아직은 중기 이후 점차 양반관료층의 대기발령 또는 예비관직과 같은 성격으로 바뀌었다. 이밖에 잡직이 있는데, 동반잡직 144인은 공장(工匠)·마원(馬員)·악사(樂師)·액례(掖隷)·화원(畵員)등 거의 천류에게 주어졌고, 서반잡직 1,607인도 팽배(彭排)·대졸(隊卒)·파진군(破陣軍) 등 천인화한 사람으로 구성된 병종(兵種)의 군사에게 주어졌다. 이런것들을 종합해볼 때, 조선시대의 관직구조는 동반직과 서반직의 양반 위주에 중인과 양인·천인이, 토관직에는 평안도·함경도의 토착유력자까지 관직을 받을 수 있는 다양성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73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