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류시장 현황과 전망(고추장,간장 중심)장유 산업 현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미리보기 및 내용확인요~

본문내용

계시키고 있다.
설탕제조업체인 대한제당은 그동안 B2B형식으로 유통되던 장류제품들을 `예담'이란 브랜드로 일반 소비자시장 침투를 노리고 있다. 대한제당은 중앙연구소가 가지고있는 환경이나 생명공학에 관련된 노하우를 제품에 반영해 기존 제품들과 차별성을 갖게 할 예정이다. 이달 중 선보일 `예담' 고추장은 우선 홈플러스를 통해 판매한 뒤 유통망을 계속 넓혀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각 기업들의 고추장 시장 확보를 위한 경쟁은 수요확대에 힘입어 앞으로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 시장 전망
지난 2002년부터 시작된 대상식품, 샘표식품 및 해찬들 등 선두 업체들의 HACCP 인증 획득으로 올해도 장류 업체의 HACCP 인증 획득 열기는 지속될 전망이다. 또한 보다 안전한 식품을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무방부제, 무색소 등을 표시한 장류 제품들이 주류로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된장, 쌈장 및 고추장에서 해찬들과 치열한 선두 다툼을 하는 대상은 앞으로 양조간장 시장에서 샘표식품과 접전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샘표식품은 기존의 간장 사업에 고추장, 된장 등 새로운 사업을 추가하고 추격전에 나섰다.
지난 2002년 논산에 새로 대규모 고추장 공장을 완공해 본격적으로 안정화된 품질로 대량 생산 체제에 돌입한 해찬들은 고추장 시장은 물론 지난해 하반기부터 근소한 차이로 선두 다툼을 하고 있는 된장과 쌈장 시장에서도 대상과의 접전이 예고되고 있다.
성숙기에 접어든 고추장 시장과 완숙기에 있는 간장 시장과 달리 된장과 쌈장 시장은 지금보다 100~70%의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표2>.
세계 경제가 회복세로 돌아섬에 따라 장류 산업도 세계 시장에 본격적으로 시야를 넓혀야 할 때이다. 수출 시장이 한정돼 있으며 해외 교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더 큰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지인을 대상으로 제품 개발과 마케팅 전략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현지의 다양한 식문화가 존재하는 이상 발효 식품인 장류 식품을 건강식품으로 인식시키고 현지 음식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제품 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주요 수출국 중의 한 국가인 일본은 식품 첨가물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여 품목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고추장의 예를 들면 식품 첨가물 규정에 의하여 다른 나라에 비해 한층 높은 규제를 하고 있다. 이렇듯 강화된 수출 시장의 장벽을 타개하기 위하여 정부 당국과 산업체 및 학계의 유기적인 협력 관계가 요구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95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