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의유형은 기간, 방법,형태,대상 등에 따라 구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담의유형은 기간, 방법,형태,대상 등에 따라 구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아동 상담 기법
Ⅰ. 서론
Ⅱ. 본론
1. 상담의 조건
2. 상담의 과정
3. 상담의 핵심 기법
4. 상담의 핵심 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가족 상담의 기법
Ⅰ. 서론
Ⅱ. 본론
1. 가족상담의 필요성
2. 가족상담의 과정
3. 가족상담의 배우자 선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個性)을 병들게 한다. 그는 남들에게 인상적으로 보이고 싶을 때에는 낮은 자존심을 감춘다. 그의 낮은 자존심은 자신의 성(性)이 이성과의 관계에서 좋다는 것을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경험하지 못한 때문이다. 그는 부모에게서 진정으로 독립하지 못했다. 즉, 그는 부모와 동등한 관계를 맺을 수 없었다.
2) 자존심이 낮은 사람은 남들에게 크게 기대하나, 기대한 것을 얻을 수 없을까봐 크게 두려워하고, 기대한 것을 얻지 못하면 실망하게 되고, 사람들을 불신하게 될 것에 대비한다. 부와 모가 치료받기 시작하면, 치료자는 부와 모가 연애하였을 때에 서로 무엇을 바랐고(기대), 무엇을 두려워(무의식적 불안) 하였나를 찾아내려고 할 것이다.
3) 아마도 부는 모가 자기에게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았을 것이고, 모는 부가자기에게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부와 모는 각각 내적 감정수준에서 보다도 방어(防禦)수준에서 행동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부는 겉으로는 모에게 강하게 행동하였으나, 속에서는 불확실(不確實), 무력(無力)불안을 느끼었다. 모는 부를 보았을 때에 “여기 나를 보살피어 줄 수 있는 강한 사람이 있다.”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모는 겉으로는 자신 있고, 사교적이고, 말을 많이 하였으나, 속에서는 불확실, 무력불안을 느끼었다. 부가 모를 보았을 때에, “여기 나를 돌보아 줄 수 있는 강한 사람이 있다”라고 말할 수 있었다. 부는 결혼한 다음에, 모가 자신이 바라던 강한 사람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았다. 모도 결혼한 다음에 부가 자신이 바라던 강한 사람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았다. 이 결과로 부와 모는 각각 욕구좌절과 실망과 분노를 느끼었다.
4) 우리는 부와 모가 자존심이 낮고, 자신감이 적었다면, 어떻게 배우자를 찾아낼 수 있었을까를 의심할 수 있다. 부와 모는 사춘기가 되어 성욕이 강해지자 모든 두려움을 무릅쓰고 관계를 맺으려고 하였다. 부와 모는 그들의 자존심을 높여주고, 그들에게 완전 감을 느끼게 해 준 상대자에게 반했다. 부와 모는 서로를 위하여 같이 살기로 결론을 내리었고, 같이 살기로 계약을 맺었다. 부와 모는 각각 낮은 목소리로 자신 있게, “나의 것이 없어지면, 나는 너에게서 받겠다. 너는 비상시(非常時)에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제공할 만큼 충분히 갖고 있다”라고 말했다.
5) 문제는 부와 모가 서로 배우자(配偶者)로 선택하던 때에 두려워한 것을 서로에게 말하지 않은 것이다. 모가 부의 가치를 알았다면, 모는 부를 사랑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부는 생각 하였다. 부가 모의 무가치를 알았다면, 부는 모를 사랑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모는 생각하였다. 그러나 각자는 은밀히 상대방에게서 받을 것을 기대하였고, 겉으로는 자신의 의존심을 위해 상대방에게 줄 것이 많은 것처럼 행동한다. 부와 모는 상대방이 무엇을 기대하고 희망하고, 두려워하는지 물을 수 없다. 왜냐하면 부도 모도 상대방의 마음속에서 무엇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부와 모는 상대방을 기쁘게 하여야 한다는 가정에서 행동하기 때문에, 상대방이 기분 나쁘면 상대방에게 의사를 전달할 수 없고, 이의(異意)나 비판(批判)을 직접 제기할 수 없다. 부와 모는 서로 같아야 하는 것처럼 행동한다. 부와 모는 같은 핏줄에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산다. 부와 모는 같은 생명수도관에 매달려 있는 것처럼 산다. 이런 부부의 예를 들면, 치료 첫 시간과 두 번째 시간에 부부는 서로 팔을 끼고, 자녀는 이 비극(悲劇)을 삼키며, 부부 건너편에 앉아 환상(幻想) 속에 있었다.
6) 부와 모는 무엇인가 ‘얻기’위해 결혼하였다.
- 부와 모는 상대방이 존경하여 주기를 바라고 결혼하였다.
- 부와 모는 자신에게 없는 것이 상대가 갖고 있는 특성이기를 바랐다.
- 부와 모는 상대방이 자기의 연장이기를 바랐다.
- 부와 모는 상대방이 모든 것을 할 수 있고, 모든 것을 아는 이기적이지 않은‘선량한’ 부모이기를 바랐다.
Ⅲ. 결론
‘가족상담 부부의 실망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부부가 서로에게 실망할 때, 그 좌절을 자녀에게서 보상(補償) 받고자 하거나, 또는 좌절(挫折)에 따른 분노(忿怒)를 자녀에게 전이(轉移)시켜 자녀를 병들게 한다. 부와 모의 부부관계는 역기능적(逆機能的)이다. 그들은 둘 다 자존심이 낮다. 부는 모가 자신의 자존심을 높여줄 것이라고 보았고, 모는 부가 자신의 자존심을 높여줄 것이라고 보았다. 이처럼 두 사람은 상대방을 자기의 욕구를 충족 시켜줄 대상으로 보았기 때문에, 서로가 상대에게서 받지 못하였다고 실망한다. 그래서 부와 모의 관계는 자존심을 낮추기만 하고, 그 결과 서로에게 환멸(幻滅)을 느끼고 실망을 하게 되었다. 그러면, 부와 모가 부모로서, 어떻게 행동할 것인 가라는 의문이 일어난다. 이 의문을 풀기위해, 부와 모가 자녀를 어떻게 보는 가를 물어야 한다. 그들은 자녀를 사회에서 자신들의 가치를 나타내고, 자신과 가족에 대한 존중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 볼 것이다. 그들은 자녀를 그들 자신이 계속해서 부모로 존중받기 위한 수단으로 볼 것이다. 부와 모는 자녀가 부모를 좋아한다고 느끼어야 한다. 부와 모는 자녀를 자기의 연장으로 볼 것이다. 부와 모가 자녀를 보는 것은 일반적으로 부와 모가 자녀에게 바라는 것들이다. 문제는 모가 바라는 것을 부가 반대할 때, 부가 바라는 것을 모가 반대할 때에 발생한다. 자녀는 부와 모의 갈등 많은 욕구들 사이에 사로잡힌 자신을 발견한다. 모든 부는 자녀를 모에 대항하는 동맹자로 본다. 모든 모(母)는 자녀를 부에 대항하는 동맹자로 본다. 모든 부는 자녀를 모에 의사 전달할 수 있는 사자(使者)로 본다. 모든 모는 자녀를 부에게 의사전달(意思傳達) 할 수 있는 사자(使者)로 본다. 모든 모는 자녀를 부에게 화해를 제기하는 자로 본다. 모든 부는 자녀를 모에게 화해(和解)를 제기하는 자로 본다. 모든 모는 자녀를 부에게 화해를 제기하는 자로 본다. 다른 말로 하면, 부가 모를 자기의 연장으로 보려는 것과 모가 부를 자기의 연장으로 보려는 것은 부와 모가 서로 자기의 연장으로 보려고 하기 때문에 저지(沮止)되거나, 도전(挑戰) 받는다.
Ⅳ. 참고문헌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04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