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용이 일단 성립되면 언어를 정상적으로 수용할 수도 있다. 어쨌든 자폐아에게 수용언어가 발생하면 자폐아가 변화에 저항하는 비정상적인 표현언어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계속해서 자극을 준다면 언어를 적절하게 해석하는 능력을 갖게 될 것이다. 자폐아는 부적절한 표현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폐아에게 10에서 4를 빼면 얼마냐고 물으면 엉뚱하게도 "난 6각형을 그리고 싶어요" 라고 대답한다. 이것은 아동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가지고는 있었으나 부적절한 표현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자페아는 과거 경험을 각각 다른 상황에서 일반화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언어에 구애되지 않음' 이나 구체성을 예로 들자면 '밑에' 를 '마룻바닥 위에' 로 일반화시키지 못하는 아동을 들 수 있다.
추천자료
대중매체에 나타난 언어사용의 문제점
[아동임상심리] 말-언어장애 정의, 분류, 이론적 배경
[유아교육]유아어의 이해
[아동심리학] 상동증적 운동장애에 대해
[언어치료]아동의 언어습득 장애와 신경학적 언어장애치료
[아동학] 도벽 - 물건을 훔치는 아이
[청각장애][청각장애아동언어발달][청각장애아동언어지도]청각장애의 개념, 청각장애의 원인,...
[부모역할]과학활동을 위한 부모역할, 통합교육을 위한 부모역할, 말더듬아동을 위한 부모역...
뇌성마비(뇌성마비장애인, 뇌성마비아동)와 보치아운동, 뇌성마비(뇌성마비장애인, 뇌성마비...
아동의 투약
언어예절 교육의 이론적 기초
[언어예절 교육의 의미]언어예절 교육의 이론적 기초
인간이 동물과 다르게 사용하는 상징 중 하나인 언어가 없을 경우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에 ...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