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용이 들어갈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리스크를 기회로 바꾸는 방법이 있다. 그것이 ‘롱테일’이라고 불리는 현상, 또는 그 효과를 노린 비즈니스 스타일이다. ‘롱테일’을 직역하면 ‘긴 꼬리’가 된다. 실제의 의미도 직역한 의미와 같아서 세로축을 판매수량, 가로축을 각 상품으로 삼은 그래프를 이용하여 살펴볼 경우, 팔리지 않는 상품이 공룡의 꼬리처럼 길게 늘어서 있는 형태라는 점에서 이렇게 부른다.
그렇다면 이것을 도마뱀의 꼬리처럼 싹둑 잘라 버린다면 비즈니스가 잘될까? 대답은 반대. 이 꼬리를 비즈니스에 도입한 것이 이른바 롱테일을 이용한 비즈니스다. 20%의 상품이 매출의 80%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나머지 80%의 상품을 ‘비즈니스에 어떻게 조합할 것인가’가 롱테일 비즈니스의 정체다. 포인트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비즈니스. 예를 들어, 아마존닷컴처럼 거대한 온라인 서점은 교외에 물류센터를 마련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소매점에서는 진열할 수 없었던 베스트셀러가 아닌 서적도 모두 카탈로그에 올릴 수 있고, 소비자들이 검색기능을 활용하여 서적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아마존은 오프라인 서점에는 없는 장점을 제공하게 되었고, 이것이 큰 인기를 얻은 것이다.
이런 식으로, 그다지 팔리지 않는 상품, 극단적으로 말하면 모든 상품을 갖추는 것으로 성립되는 비즈니스로는 아마존 이외에 애플컴퓨터의 음악 송신서비스 등이 있는데, 그 밖에도 수요와 공급을 대량으로 매치시켜 성립되는 검색엔진 -야후나 구글 같은- 롱테일에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그런 것들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비즈니스도 있다.
그렇다면 이것을 도마뱀의 꼬리처럼 싹둑 잘라 버린다면 비즈니스가 잘될까? 대답은 반대. 이 꼬리를 비즈니스에 도입한 것이 이른바 롱테일을 이용한 비즈니스다. 20%의 상품이 매출의 80%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나머지 80%의 상품을 ‘비즈니스에 어떻게 조합할 것인가’가 롱테일 비즈니스의 정체다. 포인트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비즈니스. 예를 들어, 아마존닷컴처럼 거대한 온라인 서점은 교외에 물류센터를 마련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소매점에서는 진열할 수 없었던 베스트셀러가 아닌 서적도 모두 카탈로그에 올릴 수 있고, 소비자들이 검색기능을 활용하여 서적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아마존은 오프라인 서점에는 없는 장점을 제공하게 되었고, 이것이 큰 인기를 얻은 것이다.
이런 식으로, 그다지 팔리지 않는 상품, 극단적으로 말하면 모든 상품을 갖추는 것으로 성립되는 비즈니스로는 아마존 이외에 애플컴퓨터의 음악 송신서비스 등이 있는데, 그 밖에도 수요와 공급을 대량으로 매치시켜 성립되는 검색엔진 -야후나 구글 같은- 롱테일에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그런 것들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비즈니스도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