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동맹관계를 맺게 된 배경과 우리 안보에 강력한 한미 동맹이 필요한 이유를 안보, 경제 동북아 균형이라는 측면으로 설명하고 주한미군에 대한 잘못된 오해가 진실에 대해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미 동맹관계를 맺게 된 배경과 우리 안보에 강력한 한미 동맹이 필요한 이유를 안보, 경제 동북아 균형이라는 측면으로 설명하고 주한미군에 대한 잘못된 오해가 진실에 대해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한미 동맹의 배경
3. 한미동맹 성공의 배경
4. 한미 동맹 균열의 원인
5. 한미동맹은 다시 강화 되어야만 한다.
6. NSC "한미동맹 건강성 보여준 사례"
7. 주한미군 변화와 한국안보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 한국군에 실탄, 장비 등 각종 보급품 지급 임무를 비롯한 고유임무가 새롭게 구상되고 있는 작전지원사령부급 부대(UEy)에 의해 차질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반 조치들을 취하여야 하며, (2) 주한 미8군사령부의 해체는 주일미군 혹은 하와이 미태평양 육군사령부의 분견대적인 상징적이며 실제적인 지위격하로 인해 그 중요한 임무수행도 차질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본 문제점을 해결하여야만 한다. 주한미군 감군문제와 관련 보완하여야 할 사항은 향후 감군 로드맵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시작전통제권 한국군 단독행사 관련하여 보완하여야 할 사항은 한미양국이 한국의 안보현실을 간과하면서 정치적인 목적달성을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한국의 안보역량을 결정적으로 훼손케 하는 사항이기 때문에 한국의 정치현실을 감안하면서 전략적인 접근을 하면서 보완하여야만 한다.
본 전략적 접근은 (1) 2012년 4월17일 전환일자 합의를 한미간 무효화하고 재합의를 하는 방안, (2) 2012년 4월 17일 전환일자를 인정하고 미흡사항을 보완하기 위해 한미간 새로운 잠정협정을 체결하는 방안 등을 모색할 수 있다. 주한미군 상대적 가치하락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주한미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미흡한 현 참여정부의 인식변화를 위한 안보 담당자들의 끈질긴 노력경주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구영록 외,『 韓國과 美國: 過去·現在·未來』, 박영사, 1983.
김광용,“ 한미동맹의 변화: 위기인가 기회인가?: 주한미군 감축 및 재배치와 제3차 6자회담을 중심으로,”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月刊아태지역동향』(2004년 7월), pp. 13~19.
김귀옥,“ 한국의 냉전문화 극복과 시민사회의 평화문화 형성 노력,”한국국방연구원,『 동북아 신질서와 한반도 평화체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세미나, 2006. 3. 20), pp. 135~60.
김성한,“ 해외주둔 미군 재조정과 한미동맹,”외교안보연구원,『 주요국제문제분석』2003.
김용철ㆍ최 종건,“ 한국인의 반미행동 의도에 대한 인과 분석,”한국국제정치학회,『 國際政治論叢』(Vol. 45, No. 4, 2005), pp. 123~143.
김일영,“ 미국의 주한미군 정책변화와 한국의 대응: 주한미군에 관한 냉전적
합의의 형성과 이탈 그리고 새로운 합의의 모색,”한용섭 펀,『 자주냐 동맹이냐: 21세기 한국 안보외교의 진로』, 오름, 2004, pp. 193~235.

키워드

한미,   동맹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76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