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교사회복지의 연구시작
2. 1990년대 이전의 학교사회복지
3. 1990년대 이후의 학교사회복지
4. 한국 학교사회복지의 전망
참고문헌
2. 1990년대 이전의 학교사회복지
3. 1990년대 이후의 학교사회복지
4. 한국 학교사회복지의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다. 학교 사회복지사들이 학교라는 현장에서 일하고 있다. 극히 일부이지만 어떤 사회복지관들은 독자적으로 학교사회복지사를 선발하고 학교에 파견하여, 학교사회복지를 주요 사업으로 실천하고 있기도 하다. 이 학교 상주 형의 학교사회복지를 실천하고 있는 학교들의 수는 앞으로 시범사업이나 연구사업의 계속 여부와 관련하여 그 숫자가 대폭 늘어날 수도 있고 대폭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또한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울 만큼 대부분의 사회복지관들이 청소년사업을 함에 있어서 학교와 연계하고 있다. 지방교육청에 의해 특수교육이수기관으로 지정된 복지관들은 그 전문성과 효과성을 높이 인정받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아직 학교사회복지사에게 법적으로 보장된 지위가 없다는 것이다. 신분보장이 안된 상태에서 이어지는 시범사업에 투입되다 보면 적절한 대우를 받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전문직으로서의 역할과 정체성 확립에도 큰 진전이 없게 된다. 교육과학기술부의 관심과 더불어 보건복지부가 학교사회복지사의 지위보장을 위해 함께 노력해 준다면 학교사회복지제도화의 전망은 매우 밝을 것이다.
참고문헌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한인영 외 (2004), 학지사
학교사회사업, 학지사
참고문헌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한인영 외 (2004), 학지사
학교사회사업, 학지사
추천자료
지역사회 주민이 기대하는 교회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조사 연구 - 이천시를
사회복지사와의 만남을 통한 가족복지사업에 관한 프로그램의 실태 조사와 앞으로의 방향
정신보건복지사회사업의 문제점과 대책
사회복지사업법의 시행령 제정을 중심으로한 위탁관련 해결 방안
사회복지사업법(민간위탁과정
사회복지프로그램-학교사회사업
사회복지사업 실천에 대한 사회운동적 접근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복지사업법 내용을 요약하시오
지역사회복지사업 사업계획서 작성하기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도록 하기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업법을 통한 삶의 ...
사회복지사업법
사회복지사업법 요약정리
사회보장기본법과 사회복지사업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