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교사회복지의 연구시작
2. 1990년대 이전의 학교사회복지
3. 1990년대 이후의 학교사회복지
4. 한국 학교사회복지의 전망
참고문헌
2. 1990년대 이전의 학교사회복지
3. 1990년대 이후의 학교사회복지
4. 한국 학교사회복지의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수 있다. 학교 사회복지사들이 학교라는 현장에서 일하고 있다. 극히 일부이지만 어떤 사회복지관들은 독자적으로 학교사회복지사를 선발하고 학교에 파견하여, 학교사회복지를 주요 사업으로 실천하고 있기도 하다. 이 학교 상주 형의 학교사회복지를 실천하고 있는 학교들의 수는 앞으로 시범사업이나 연구사업의 계속 여부와 관련하여 그 숫자가 대폭 늘어날 수도 있고 대폭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또한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울 만큼 대부분의 사회복지관들이 청소년사업을 함에 있어서 학교와 연계하고 있다. 지방교육청에 의해 특수교육이수기관으로 지정된 복지관들은 그 전문성과 효과성을 높이 인정받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아직 학교사회복지사에게 법적으로 보장된 지위가 없다는 것이다. 신분보장이 안된 상태에서 이어지는 시범사업에 투입되다 보면 적절한 대우를 받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전문직으로서의 역할과 정체성 확립에도 큰 진전이 없게 된다. 교육과학기술부의 관심과 더불어 보건복지부가 학교사회복지사의 지위보장을 위해 함께 노력해 준다면 학교사회복지제도화의 전망은 매우 밝을 것이다.
참고문헌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한인영 외 (2004), 학지사
학교사회사업, 학지사
참고문헌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한인영 외 (2004), 학지사
학교사회사업, 학지사
추천자료
지역사회 주민이 기대하는 교회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조사 연구 - 이천시를
사회복지사와의 만남을 통한 가족복지사업에 관한 프로그램의 실태 조사와 앞으로의 방향
정신보건복지사회사업의 문제점과 대책
사회복지사업법의 시행령 제정을 중심으로한 위탁관련 해결 방안
사회복지사업법(민간위탁과정
사회복지프로그램-학교사회사업
사회복지사업 실천에 대한 사회운동적 접근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복지사업법 내용을 요약하시오
지역사회복지사업 사업계획서 작성하기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도록 하기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업법을 통한 삶의 ...
[사회복지] 사회복지사업법
사회복지사업법 요약정리
사회보장기본법과 사회복지사업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