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는 반드시 직업이 있어서, 직업을 통해서 가능하므로 '천직(天職)'이라는 것이다.
베버는 청교도들의 생활양식에서 경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몇 가지 이유를 들고 있다.
첫째, 금욕적 생활은 소비를 억제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중세 귀족들의 낭비적 생활에 대한 반항으로 감각적 향락을 거부한다는 것이다. 즉, 근검ㆍ절약의 생활태도가 강조되었던 것이다.
둘째, 이윤획득을 정당화하였다. 이러한 직업관에 힘입어 청교도주의가 직업에 열성적인 활력을 불어 넣어 생산이 크게 증가되었다. 그리고 재산의 축적이나 이윤획득이 정당화되었다. 이리하여 근검ㆍ절약과 저축이 늘어났다.
셋째, 이윤은 소명(召命)의 충실한 이행이며 하느님이 부여하는 은총이라고 보았다. 자본가는 하느님의 은총을 받는 심부름꾼으로서 은총을 받고 축적된 자본은 자기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교회나 사회 전체를 위해서 사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모든 사람을 위해 근면해야 한다.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는 가르침은 소비와 사치의 풍조를 제한하게 되었고 아울러 자본의 증가를 가져온다. 계속적인 노동은 저축을 촉진시켰고 저축의 촉진은 자본의 축적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베버의 천직론은 자본주의 정신과 결합하여 근대적 개념의 직업윤리의 기초가 되고 있다. 베버의 정신은 다음과 같다.
◆ 직업은 하늘이 부여한 '천직'이다.
◆ 직업은 인간으로서 의무요 책임이다.
◆ 직업은 영리를 위한, 재산 축적을 위한 수단이다.
◆ 직업은 공동체에 대한 봉사이다.
◆ 직업은 선택의 자유가 완전히 보장되어 있다.
◆ 직업은 맹목적인 개인의 희생을 요구하지 않는다.
◆ 직업은 자아실현과 개성의 발휘가 보장된다.
◆ 직업활동에서 나태심, 이기심, 무절제, 사치심, 퇴폐와 낭비를 제거한다.
베버의 자본주의적 천직론은 합리적인 생활태도로 하여금 세속적인 금욕생활을 가져왔으며, 이는 금욕적인 직업윤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금욕적인 직업윤리에서 자본주의정신을 발휘하여 시민적 직업윤리의 기초를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부(富)의 증가에 따라서 종교적 금욕정신은 변질을 가져오게 되었지만 금욕적 직업윤리는 근대 시민사회에서 발생한 가장 합리적인 윤리라고 할 수 있다.
직업인은 유교정신, 장인정신, 금욕정신 세 가지 정신에 근본을 두어야 한다. 여기서는 종교를 초월해야 한다. 종교적 편견을 갖는 것은 잘못이다.
출처: 직업 생활과 윤리(개정판) | (주)문학사 | 장삼현 저
베버는 청교도들의 생활양식에서 경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몇 가지 이유를 들고 있다.
첫째, 금욕적 생활은 소비를 억제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중세 귀족들의 낭비적 생활에 대한 반항으로 감각적 향락을 거부한다는 것이다. 즉, 근검ㆍ절약의 생활태도가 강조되었던 것이다.
둘째, 이윤획득을 정당화하였다. 이러한 직업관에 힘입어 청교도주의가 직업에 열성적인 활력을 불어 넣어 생산이 크게 증가되었다. 그리고 재산의 축적이나 이윤획득이 정당화되었다. 이리하여 근검ㆍ절약과 저축이 늘어났다.
셋째, 이윤은 소명(召命)의 충실한 이행이며 하느님이 부여하는 은총이라고 보았다. 자본가는 하느님의 은총을 받는 심부름꾼으로서 은총을 받고 축적된 자본은 자기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교회나 사회 전체를 위해서 사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모든 사람을 위해 근면해야 한다.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는 가르침은 소비와 사치의 풍조를 제한하게 되었고 아울러 자본의 증가를 가져온다. 계속적인 노동은 저축을 촉진시켰고 저축의 촉진은 자본의 축적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베버의 천직론은 자본주의 정신과 결합하여 근대적 개념의 직업윤리의 기초가 되고 있다. 베버의 정신은 다음과 같다.
◆ 직업은 하늘이 부여한 '천직'이다.
◆ 직업은 인간으로서 의무요 책임이다.
◆ 직업은 영리를 위한, 재산 축적을 위한 수단이다.
◆ 직업은 공동체에 대한 봉사이다.
◆ 직업은 선택의 자유가 완전히 보장되어 있다.
◆ 직업은 맹목적인 개인의 희생을 요구하지 않는다.
◆ 직업은 자아실현과 개성의 발휘가 보장된다.
◆ 직업활동에서 나태심, 이기심, 무절제, 사치심, 퇴폐와 낭비를 제거한다.
베버의 자본주의적 천직론은 합리적인 생활태도로 하여금 세속적인 금욕생활을 가져왔으며, 이는 금욕적인 직업윤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금욕적인 직업윤리에서 자본주의정신을 발휘하여 시민적 직업윤리의 기초를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부(富)의 증가에 따라서 종교적 금욕정신은 변질을 가져오게 되었지만 금욕적 직업윤리는 근대 시민사회에서 발생한 가장 합리적인 윤리라고 할 수 있다.
직업인은 유교정신, 장인정신, 금욕정신 세 가지 정신에 근본을 두어야 한다. 여기서는 종교를 초월해야 한다. 종교적 편견을 갖는 것은 잘못이다.
출처: 직업 생활과 윤리(개정판) | (주)문학사 | 장삼현 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