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동규 시인과 정현종의 시세계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황동규 시인과 정현종의 시세계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을 가진 시인이다. 인간의 오관(五官)을 초월하는 '식스 센스'의 소유자인 셈이다. 어떠한 대상이든 가리지 않고 교접하여 질퍽하게 몸을 섞는 정현종 특유의 사랑법이 바로 그의 시적 육감의 실체이다. 바로 이 시적 '육감(六感/肉感)'을 통해 그는 삶의 무거움을 털어 버리고 자유롭게 대상 속으로 스며들어 사물과 쩌릿한 합일을 이룬다. 그리고 시인은 바로 그 순간의 '생의 희열'을 예찬한다.
일찍이 김현이 '바람의 현상학'이란 글에서 포착한 것처럼, 시인은 시적 자아를 무한 확장 ·팽창시켜 '바람'처럼 세상의 구석구석에 두루 번지기를, 퍼지기를 갈망한다. "퍼지고 퍼져/무한 허공과 솔기 없이 이어"('달맞이꽃')지기를, "생명의 저 맹목성을 적시며/한없이 퍼져나"('무슨 슬픔이')가기를 강렬하게 희원하는 것이다. 이렇듯 나와 사물, 나와 세계 사이의 모든 경계가 가뭇없이 사라진 곳에는 "바깥은 가이없고/안도 가이없다/안팎이 같이 움직이며/넓어지고 깊어"('몸이 움직인다')지는 신묘한 시공간이 탄생한다.
가두리가 없는 번짐의 미학, 서로가 서로를 끌어안는 황홀한 친화력, 이 가공할 언어의 전염성! 그래서 그의 시의 언어들은 정해진 의미의 감옥을 견디지 못하고 언제나 요동치고 들썩거린다. 다채로운 사물들과 한바탕 신명나게 몸을 비비며 도취의 '카니발'을 만끽한다. 아마도 시인은 삶과 죽음, 주체와 객체, 인식과 대상이라는 극명한 대립의 칸막이조차 사뿐히 뛰어 넘는 '번짐의 시학'을 온몸으로 체현함으로써 구획과 분별, 질서와 나눔의 근대적 기획이 얼마나 커다란 무명(無明)의 산물인가를 보여주려 했던 모양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17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