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율법을 주신 적극적인 방면
Ⅱ. 창조의 순서
Ⅲ. 창세기-역대기 각장의 핵심
Ⅰ. 율법을 주신 적극적인 방면
Ⅱ. 창조의 순서
Ⅲ. 창세기-역대기 각장의 핵심
본문내용
드(자비 loving-kindness)
'헤세드'라는 히브리 어 단어는 1:8과 2:20과 3:10에 나오는데 그 의미를 한 단어로 나타기는 매우 어렵다. 룻기에서 선택,은혜,인애 등의 뜻을 가진 '헤세드'는 '하나님의 신실한 보호' 뿐만 아니라,하나님과 나누는 교제의 따스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하나님의 '헤세드'를 체험한 사람은 그것에 의해서 변화되어야만 한다. 나오미와 보아스는 그렇게 했다. 그러나 '헤세드'를 베풀었다는 말을 들은 사람은 모압 여인 룻이었다(3:10,'너의 베푼 인애가').
<사무엘상>
(1) 왕정 체제를 수립한 사무엘의 생애와 사역.
(2) 백성들이 요구한 세속적인 왕의 표상인 사울의 생애와 그의 통치하의 이스라엘.
(3) 메시야 왕국을 통치할 의로운 통치자의 표상인 다윗의 생애 및 사역과 그의 통치하의 이스라엘.
본서를 사건별로 요약하면, 사무엘의 출생 기사로 시작하여(1장), 다윗이 진정한 왕으로 부각되면서 사울은 그 일가와 함께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는 장면으로(삼상 31장) 상권은 끝을 맺는다. 이어서 하권은 사울의 사망 소식을 듣는 다윗의 기사로 시작하여 다윗 왕정의 종말에 관한 기사로 끝을 맺는다.
한편, 사무엘서에서 처음으로 메시야('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말이 찬양 내용 중의 하나에 사용되는데(삼상 2:10), 이 말은 헬라 어로는 '그리스도'로 번역된다. 따라서 이 말은 인류의 구세주요 영원하고 진정하며 의로운 통치자를 가리킨다. 구약적인 면에서 메시야의 일차적 의미는, 하나님의 대리자 또는 하나님과 그 백성 사이의 중보작적인 역할을 가리킨다.
사무엘서에서 다윗을 하나님의 기름 부음 받은 자 (삼하 2:4,7;3:39;5:3,17)로 언급한 것은, 하나님이 세우신 신정국 이스라엘을 통치할, 대리자 및 그 백성의 중보자로서의 위치를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윗은 하나님 왕국의 영원한 통치자인 메시야 예수 그리스도의 구약적 표상이다. 하나님께서는 다윗과의 언약을 세워 메시야 왕국의 궁극적인 도래를 소망하도록 역사의 의미와 방향을 가르치고자 한 것이다. 다윗이 건설한 이스라엘 왕국은 거룩한 하나님 나라의 그림자이다. 그리고 메시야인 예수 그리스도께서 세우시고 다스리실 궁극적인 하나님의 나라는 다윗 왕국의 계승으로 묘사되고 있다(암 9:11; 사 11:1-10).
<사무엘하>
본서는 다윗을 비록 불완전하기는 하지만 이상적인 신정 통치의 진정한 대리자로서 묘사한다. 다윗은 일차적으로 유다 지파에 의해 헤브론에서 왕으로 추대된다(1-4장). 그 후 이스보셋이 살해 된 후에는 나머지 모든 지파에 의해서도 왕으로 인정받게 된다(5:1-5). 다윗의 통치력은 확실하고 능력있게 집행된다. 그는 여부스 족으로부터 예루살렘을 탈환하고 그 곳을 왕의 도시로 정한다(5:6-14). 곧이어 법궤를 아비나답의 집에서부터 예루살렘으로 옮기고 모든 백성과 민족 앞에서 자신과 그 백성을 여호아께서 통치하신다고 선포한다(6장;시 132:3-5).
한편 다윗은 하나님의 처소이며 그 백성의 예배 장소인 성전을 건축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선지자 나단을 통하여 오히려 하나님께서 다윗의 집 곧 다윗 왕가의 영원한 존속을 약속하신 내용이다. 사무엘하의(또는 이스라엘 역사의) 클라이막스에 해당하는 이 장은 다윗 언약의 수립을 의미한다(시 89:34-37).
<열왕기상>
열왕기 저자는 이 기록을 통해서 그들에게 임한 참상, 그들의 성전 파괴, 왕가의 굴욕, 그리고 열조의 땅에서 쫓겨나 타국에 포로로 끌려가는 데까지 이른 비운의 원인이, 그들 자신의 죄악과 하나님의 대한 배반의 결과였다는 사실을 동족들에게 가르키려 했던 것이다. 따라서 포로로 잡혀 왔지만 신앙을 저버리지 말고, 이제라도 하나님께로 돌아와 모든 죄악과 우상을 버리고 옛 신앙을 회복하라는 의도로 본서를 기록했다. 열왕기는 그 안에 '하나님 나라' 라는 깊은 신학을 간직하고 있으며, 절망에 빠진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소망을 심어주는 구약 교회사이다.
본서의 저작 목적은 이스라엘의 역사를 근거로 할 때 왕국의 흥망성쇠가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신실함에 달려 있으며, 왕들의 성공 여부도 모세의 법대로 하나님을 얼마나 경외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을 가르치려는 것이었다. 저자의 의도 속에는 민족주의적 동기에서 이스라엘의 영웅들을 영화롭게 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다. 그래서 저자는 세속 역사가들의 눈에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간주될만한 업적들을 전혀 무시하기도 했다. 저자의 주된 관심은 왕들과 백성들이 하나님 앞에서 얼마나 언약에 대하여 순종하느냐 하는 것이었다.
<열왕기하>
[1] 열왕기상
1. 통일 왕국시대(1:1-11:43)
2. 분열 왕국시대(12:1-22:53)
[2] 열왕기하
1. 북조 이스라엘의 멸망(1:1-17:41)
2. 남조 유다의 멸망(18:1-25:30)
<역대상>
역대기 저자는 바벨론 포로로부터 귀환한 회복된 이스라엘 공동체를 일차적인 대상으로 하여 이 역사서를 기록하였다. 따라서 이 역사서의 가장 주된 관심사는 역사의 계속성 곧 과거 역사와의 연결성이다. "과연 하나님께서 아직도 우리의 관심을 가지고 계시는가?" "그의 언약은 아직도 유효한가?" 또는, "지금 우리에게는 다윗과 같은 왕도 없고 오히려 바사(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고 있는 형편인데, 하나님이 다윗에게 하신 약속이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또는 "하나님의 대심판(다윗 왕가의 몰락과 이스라엘 왕국의 멸망, 그리고 예루살렘과 성전의 파괴 및 바벨론의 포로가 됨)을 당하고 있는 판국에 선민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특별한 관계가 무슨 소용인가? 등의 의문에 대한 대답이 역대기 저자에 의해서 주어진 것이다.
<역대하>
역대상.하의 핵심어는 "왕가의 계보"와 "헌신" 등이다. 역대상은 결국 예수 그리스도의 절대 왕권에 이르게 되는 다윗 왕가의 계보를 특별히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윗의 일생은 철저히 하나님께 헌신된 삶으로 묘사된다. 그는 하나님과 깊은 교제를 했으며 언약궤를 예루살렘으로 다시 가져왔고 하나님을 위하여 여호와의 성전을 건축하려 했다.
※ 다 정리했어요. 부족한 부분 있으면 연락주세요 ^^
'헤세드'라는 히브리 어 단어는 1:8과 2:20과 3:10에 나오는데 그 의미를 한 단어로 나타기는 매우 어렵다. 룻기에서 선택,은혜,인애 등의 뜻을 가진 '헤세드'는 '하나님의 신실한 보호' 뿐만 아니라,하나님과 나누는 교제의 따스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하나님의 '헤세드'를 체험한 사람은 그것에 의해서 변화되어야만 한다. 나오미와 보아스는 그렇게 했다. 그러나 '헤세드'를 베풀었다는 말을 들은 사람은 모압 여인 룻이었다(3:10,'너의 베푼 인애가').
<사무엘상>
(1) 왕정 체제를 수립한 사무엘의 생애와 사역.
(2) 백성들이 요구한 세속적인 왕의 표상인 사울의 생애와 그의 통치하의 이스라엘.
(3) 메시야 왕국을 통치할 의로운 통치자의 표상인 다윗의 생애 및 사역과 그의 통치하의 이스라엘.
본서를 사건별로 요약하면, 사무엘의 출생 기사로 시작하여(1장), 다윗이 진정한 왕으로 부각되면서 사울은 그 일가와 함께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는 장면으로(삼상 31장) 상권은 끝을 맺는다. 이어서 하권은 사울의 사망 소식을 듣는 다윗의 기사로 시작하여 다윗 왕정의 종말에 관한 기사로 끝을 맺는다.
한편, 사무엘서에서 처음으로 메시야('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말이 찬양 내용 중의 하나에 사용되는데(삼상 2:10), 이 말은 헬라 어로는 '그리스도'로 번역된다. 따라서 이 말은 인류의 구세주요 영원하고 진정하며 의로운 통치자를 가리킨다. 구약적인 면에서 메시야의 일차적 의미는, 하나님의 대리자 또는 하나님과 그 백성 사이의 중보작적인 역할을 가리킨다.
사무엘서에서 다윗을 하나님의 기름 부음 받은 자 (삼하 2:4,7;3:39;5:3,17)로 언급한 것은, 하나님이 세우신 신정국 이스라엘을 통치할, 대리자 및 그 백성의 중보자로서의 위치를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윗은 하나님 왕국의 영원한 통치자인 메시야 예수 그리스도의 구약적 표상이다. 하나님께서는 다윗과의 언약을 세워 메시야 왕국의 궁극적인 도래를 소망하도록 역사의 의미와 방향을 가르치고자 한 것이다. 다윗이 건설한 이스라엘 왕국은 거룩한 하나님 나라의 그림자이다. 그리고 메시야인 예수 그리스도께서 세우시고 다스리실 궁극적인 하나님의 나라는 다윗 왕국의 계승으로 묘사되고 있다(암 9:11; 사 11:1-10).
<사무엘하>
본서는 다윗을 비록 불완전하기는 하지만 이상적인 신정 통치의 진정한 대리자로서 묘사한다. 다윗은 일차적으로 유다 지파에 의해 헤브론에서 왕으로 추대된다(1-4장). 그 후 이스보셋이 살해 된 후에는 나머지 모든 지파에 의해서도 왕으로 인정받게 된다(5:1-5). 다윗의 통치력은 확실하고 능력있게 집행된다. 그는 여부스 족으로부터 예루살렘을 탈환하고 그 곳을 왕의 도시로 정한다(5:6-14). 곧이어 법궤를 아비나답의 집에서부터 예루살렘으로 옮기고 모든 백성과 민족 앞에서 자신과 그 백성을 여호아께서 통치하신다고 선포한다(6장;시 132:3-5).
한편 다윗은 하나님의 처소이며 그 백성의 예배 장소인 성전을 건축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선지자 나단을 통하여 오히려 하나님께서 다윗의 집 곧 다윗 왕가의 영원한 존속을 약속하신 내용이다. 사무엘하의(또는 이스라엘 역사의) 클라이막스에 해당하는 이 장은 다윗 언약의 수립을 의미한다(시 89:34-37).
<열왕기상>
열왕기 저자는 이 기록을 통해서 그들에게 임한 참상, 그들의 성전 파괴, 왕가의 굴욕, 그리고 열조의 땅에서 쫓겨나 타국에 포로로 끌려가는 데까지 이른 비운의 원인이, 그들 자신의 죄악과 하나님의 대한 배반의 결과였다는 사실을 동족들에게 가르키려 했던 것이다. 따라서 포로로 잡혀 왔지만 신앙을 저버리지 말고, 이제라도 하나님께로 돌아와 모든 죄악과 우상을 버리고 옛 신앙을 회복하라는 의도로 본서를 기록했다. 열왕기는 그 안에 '하나님 나라' 라는 깊은 신학을 간직하고 있으며, 절망에 빠진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소망을 심어주는 구약 교회사이다.
본서의 저작 목적은 이스라엘의 역사를 근거로 할 때 왕국의 흥망성쇠가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신실함에 달려 있으며, 왕들의 성공 여부도 모세의 법대로 하나님을 얼마나 경외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을 가르치려는 것이었다. 저자의 의도 속에는 민족주의적 동기에서 이스라엘의 영웅들을 영화롭게 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다. 그래서 저자는 세속 역사가들의 눈에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간주될만한 업적들을 전혀 무시하기도 했다. 저자의 주된 관심은 왕들과 백성들이 하나님 앞에서 얼마나 언약에 대하여 순종하느냐 하는 것이었다.
<열왕기하>
[1] 열왕기상
1. 통일 왕국시대(1:1-11:43)
2. 분열 왕국시대(12:1-22:53)
[2] 열왕기하
1. 북조 이스라엘의 멸망(1:1-17:41)
2. 남조 유다의 멸망(18:1-25:30)
<역대상>
역대기 저자는 바벨론 포로로부터 귀환한 회복된 이스라엘 공동체를 일차적인 대상으로 하여 이 역사서를 기록하였다. 따라서 이 역사서의 가장 주된 관심사는 역사의 계속성 곧 과거 역사와의 연결성이다. "과연 하나님께서 아직도 우리의 관심을 가지고 계시는가?" "그의 언약은 아직도 유효한가?" 또는, "지금 우리에게는 다윗과 같은 왕도 없고 오히려 바사(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고 있는 형편인데, 하나님이 다윗에게 하신 약속이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또는 "하나님의 대심판(다윗 왕가의 몰락과 이스라엘 왕국의 멸망, 그리고 예루살렘과 성전의 파괴 및 바벨론의 포로가 됨)을 당하고 있는 판국에 선민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특별한 관계가 무슨 소용인가? 등의 의문에 대한 대답이 역대기 저자에 의해서 주어진 것이다.
<역대하>
역대상.하의 핵심어는 "왕가의 계보"와 "헌신" 등이다. 역대상은 결국 예수 그리스도의 절대 왕권에 이르게 되는 다윗 왕가의 계보를 특별히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윗의 일생은 철저히 하나님께 헌신된 삶으로 묘사된다. 그는 하나님과 깊은 교제를 했으며 언약궤를 예루살렘으로 다시 가져왔고 하나님을 위하여 여호와의 성전을 건축하려 했다.
※ 다 정리했어요. 부족한 부분 있으면 연락주세요 ^^
추천자료
기 독 교 윤 리 율법과 예수
정상언어발달 순서
[사업계획][사업계획서]사업계획(사업계획서)의 순서와 절차 및 사업계획(사업계획서)의 내용...
[사업계획서]사업계획서 요약, 사업계획서 순서, 사업계획서 산업분석, 사업계획서 마케팅계...
[웹기획][웹기획자][웹기획 개념][웹기획 순서][실용적 웹기획 전략][웹기획시 고려사항][웹...
[인사][인사예절][악수]인사(인사예절)의 순서, 인사(인사예절)의 9용태(九容態), 인사(인사...
브레인스토밍의 개념, 브레인스토밍의 기본전제, 브레인스토밍의 원리, 브레인스토밍의 규칙,...
[브레인스토밍][고든법]브레인스토밍의 정의, 브레인스토밍의 기본전제, 브레인스토밍의 원칙...
마케팅 전략 - 에이스침대 마케팅 전략 - 경쟁분석, 마케팅 전략 핵심
NEXON 넥슨 국제경영 전략분석과 넥슨 기업분석 및 넥슨 새로운 전략제안 (넥슨 기업소개, 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 모델(문제해결과정) - 통합적 접근 모델로서의...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 모델(문제해결과정) - 통합적 접근 모델로서의...
[놀이치료단계] 놀이치료의 순서(놀이치료절차)
사복음서 사건 순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