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경에 나오는 언약궤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약성경에 나오는 언약궤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규모
2)용도)
3)상징성
4)주요사건
5)성서 고고학적 가치
6)현재 위치

본문내용

스룹바벨과 헤롯 성전에서 지성소는 어떠한 궤도 보관하지 않았다. 그 대신에 유대인들의 전승에 따르면 대제사장이 속죄일에 향단에 놓았던 장소에 돌 하나가 세워져 있었다고 한다(참조. 레 16:12이하).
2) 신약
변화된 정치적 상황 때문에 신약은 언약궤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고 있다. 더욱이 이스라엘의 종교 생활은 결정적인 변화를 갖게 되었다. 히 9장에서 그리스도는 단번에 지성소, 즉 종국적으로는 하늘 그 자체에 들어가신 위대한 대제사장으로 묘사되어 있다. 계 11:19에서 언약궤의 천상의 대응물은 위기의 때에 하나님의 언약의 약속을 성취하는 그의 신실하심을 나타내고 있다.
6. 현재 위치
우리는 과연 그리스도를 중시하고 그리스도를 중심삼았는가 아니면 언약궤 없는 실로의 장막을 유지하고 있는가? 우리는 그리스도를 택하는가 아니면 그리스도 없는 종교의 형식을 택하는가? 우리는 언제나 실로의 장막을 귀하게 여기고 그것을 붙잡고 놓지 않으려 한다. 그것이 성전인 줄, 영원한 성전인 줄 안다. 그러나 예레미아 7장 4절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너희는 이것이 여호와의 전이라, 여호와의 전이라, 여호와의 전이라하는 거짓말을 믿지 말라」 하나님의 전은 하나님이 중심되어야 한다. 만일 하나님이 그 전을 떠나셨다면, 그 전은 하나의 건물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의 문제는 그리스도가 중심이냐, 껍질 뿐인 성막이 중심이냐 하는 것이다. 솔로몬이 얻은 그 계시를 받고 즉시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언약궤 앞에서 경배하고 과거의 열심으로 했던 봉사의 허무함을 알고 언약궤 앞에서 안식과 기쁨을 누리고 참된 봉사와 경배가 있어야 한다.

키워드

  • 가격7,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37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