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의 특징 및 종류와 장단점, 서양 옷의 구조상 차이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복의 특징 및 종류와 장단점, 서양 옷의 구조상 차이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복의 부분적인 장점

2. 한복의 전체적인 장점 / 건강에 좋은 한복

3. 한복의 특징과 종류

4. 한복의 옷감과 배색

5. 한복을 입지 않는 이유

6. 서양 옷과 한복의 구조상 차이점과 한복의 장점

본문내용

는 치마, 남자는 바지를 기본 형태로 하며 그 색상이 화려하고 다양하다는 점이다. 하지만 한, 중, 일의 전통의상을 자세히 관찰하게 되면 그 독특함이 비슷한 듯 하면서도 전혀 다른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을 배우고 알아가면서 가끔은 부러워지는 사실은 그들의 문화 전파방법이다. 그 유래가 어디건, 어느 유형과 유사하냐에 관계없이 그들만의 독자적인 문화로서 세계에 일본을 전파한 것이다. 뒤늦게 그 원형이 우리 것입네 하며 주장해봐야 이미 일본의 것으로 인식 되어버린 사실은 그 힘을 잃을 수밖에 없다. 전 세계에서 일본의 기모노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다른 의미에서 수많은 인구를 바탕으로 다방면에서 문화의 양적공세를 한 중국의 치파오도 있지만 가장 효과적이고 집중적으로 기모노를 세계에 알린 일본은 우리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부러운 모습이다.
일본의 기모노를 보면 일본인이 그들의 문화를 개량 발전시키는 것에 얼마나 많은 노력을 들였는지 알 수 있다. 기모노는 시대를 거듭할수록 화려해지고 시대의 요구를 맞춰왔으며 다양한 악세서리와 독특한 화장법, 용도에 따라 다양한 기모노를 특화시켜왔고 특이한 문양 또한 점점 새로워져, 일 년에 한두 번 있는 명절날이 아니고서는 입기 힘든 한복에 비하여 대중에 익숙하게 전파되어있다. 예전 내가 어릴 때 만 해도 설날이 되면 고운 설빔을 입고 복주머니를 매달고 할머니 댁에 종종걸음으로 놀러가던 기억이 난다. 할머님의 생신날에는 가족들이 모두 한복을 입고, 어린 아이들은 하나같이 꼭 같게 맞춘 한복을 차려입고 만나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은 설날에도 한복 입은 아이들이나 어른들을 찾기 힘들다. 대중성을 겨냥하여 만든 개량한복이 한때 유명세를 치룬 적이 있었지만 젊은 세대의 마음을 잡아끌기에는 부족한듯하다.
자국 내에서의 대중성으로 치자면 기모노가 한복보다 한참 앞서있는 것 같다. 일 년에도 몇 번씩 있는 축제날이 되면 유카타 차림의 대중들이 인산인해를 이루고, 성년의 날에는 점잖게 기모노를 차려입고 형식적이라 하더라도 의식을 치룬다. 대중매체에서도 쉽게 볼 수 있으며, 드라마나 애니메이션, 영화 등에서도 점잖은 중년 부부의 기모노차림은 너무나 쉽게 볼 수 있다.
여담으로 한, 중, 일 미(美)의 기준이 다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현재의 우리모습을 바로 바라보기 위해서 오랜 시간 동안 걸어온 우리의 문화를 보면 알 수가 있습니다. 바로 여성의 미의식은 그 옛날의 우리의 옷을 통해서 알 수가 있습니다.
우리의 한복은 폐쇄적이고 풍성하여 여성의 인체를 모두 가리고 얼굴만을 내놓는 그런 옷차림입니다. 체격이 뚱뚱해도 폭 넓은 치마와 저고리로 커버가 가능할 것입니다. 당연히 얼굴에 치장을 많이 할 수 밖에는 없을 것입니다.
일본 또한 기모노라는 전통옷이 있습니다. 이 기모노를 보면 허리의 띠(오비)를 동여매고 다리는 발목까지 기리나 가슴은 허리춤의 오비에 의해 도드라지게 잘 구현되어 있는 게 특징입니다. 당연히 옷 맵시를 내기위해선 가슴에 신경을 쓸 수 밖에 없습니다.
중국 또한 바로 차이나 드레스라는 치포우라는 것을 입었습니다. 영화에서 보면 밀착된 원피스 옷에 허리의 선으로 부터 다리를 일직선으로 남김없이 표현한 옷입니다(허벅지까지 갈라 놓아 다리의 아름다움 과시). 말 그대로 다리를 자랑하기 위해 만든 옷이랍니다. 당연히 중국에서는 다리와 발에 큰 애착을 갖게 되는 것이지요. 중국에서는 다른 건 못하더라도 신은 좋은 걸로 잘 갖추어 신어야 한다는 생각들을 가지고 있답니다. 이제 삼국의 미인기준이 다른 이유를 조금이나마 알겠습니다. 서로 비슷한 생김새를 가진 삼국이지만. 너무나도 다른 한, 중, 일이기도 합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41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