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편성채널 선정과 방송환경 변화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합편성채널 선정과 방송환경 변화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종합편성채널 선정
2. 종합편성채널의 긍정적 의미
3. 종합편성채널의 부정적 시각
4. 종합편성채널 선정으로 방송환경의 변화
1) 지나친 경쟁 우려
2) 결국 선정적 프로그램 경쟁으로 이어질 것
3) 언론사업자들 ‘종편 부작용’ 우려 심각 <한겨례 2011/01/12>
5.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정체성을 확립하든 각 사업자가 어떤 가치를 중시하느냐에 따라 방향과 결과가 잡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시청자다. 방송 산업을 활성화하는 것도, 보도의 자유를 통해 사회감시를 보장하는 것도, 시청자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주는 것도 결국은 미디어 이용자의 더 나은 환경을 마련하기 위함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Ⅲ. 결론
첫번째로 미디어가 추구하는 진정한 방향의 상실이다. 자극적인 방송 프로그램 예상된다. 방송채널은 광고료를 받아서 운영되고 있다. 현재 188개 채널에 3조정도의 광고시장은 이제 말 그대로 전쟁터이다. 광고업계에서는 시청률이 좋은 프로그램에 광고를 내고 싶어하는게 당연하다. 문제는 여기에서 비롯된다. 시청률이 높은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 선정적이거나 자극적인 방송 편성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교양프로그램이나 유익한 프로그램은 내용 자체의 메리트가 있다. 그러나 시청자들이 선택하는 최고의 프로그램이 되지 못한다. 또한 광고가 많이 붙지도 않다. 시청자들은 조금더 자극적이고 즐겁고 웃긴 방송을 찾아가고 있다. 그 때문에 연일 케이블에서 나오는 막장드라마나, 막장방송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종합 편성채널 역시 이러한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케이블이라는 특성을 살려 초기에 조금 더 자극적인 프로그램을 만들게 될 것이고 다른 지상파 방송에서도 규정내에서 점점 자극적인 프로그램을 만들 것이다. 그렇다. 우리가 정작 알아야 할 내용 미디어의 질은 뒷 전인 상태가 될 것이다.조,중,동은 보수언론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뭐 물론 조중동을 좋아하시는 분들도 있을꺼라 생각 되지만 모든 국민들이 아는것 처럼 현 정부와 조중동은 함께한다는 모습을 가질 수 밖에 없다. 현 정권의 비판과 비난 우리가 알아야 할 공정성있는 기사는 찾아보기 힘들다.언론의 힘이기도 하다. 좋은 쪽으로만 계속 내보내면 사람들은 선동 당할 수 밖에 없다. 그런 언론사가 방송을 장악한다는 뜻은 결과적으로 우리는 현 정부의 좋은 모습만 보게 될 것이라는 이야기 이다. 이 외에도 엄청난 문제점들이 있다. 미디어산업, 타 매체 전반에도 큰 변화의 문제들이 나타날꺼라 생각된다. 좋은 쪽으로 생각하면 이 변화를 통해서 미디어 시장이 더 큰 활기를 띄게 될 지도 모르겠지만 분명 그 뒤에 있는 문제점을 제대로 통찰할 수 있는 시청자들이 되어야겠다. 개인적으로 정부의 손을 드는 언론, 미디어의 공공성을 빼앗아가는 방송사가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참고문헌
방송통신위원회(2005~2010).<방송산업실태조사 보고서>
방송통신위원회(2010).<2010년 방송매체이용행태 조사>
윤석년(2010).<종합편성 PP채널 도입과 정책과제>, 한국방송협회 세미나 자료집
한국콘텐츠진흥원(2010).<방송영상산업실태조사>
한국콘텐츠진흥원(2010).<2010년 3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2010).<2010 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2010).<한국콘텐츠의 미국시장 진출확대를 위한 미국 문화코드 연구>
  • 가격20,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47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