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이코 패스란
2. 사이코 패스의 유형
3. 사이코 패스의 심리학적 분석
4. 사이코 패스가 일으킨 사회문제를 심리학적으로 분석
5. 사이코 패스의 심리학적 분석에 따른 결론
6. 사이코 패스형 범죄의 대응상의 문제점
7. 사이코 패스형 범죄의 효율적 대응방안
8. 결론
참고문헌
2. 사이코 패스의 유형
3. 사이코 패스의 심리학적 분석
4. 사이코 패스가 일으킨 사회문제를 심리학적으로 분석
5. 사이코 패스의 심리학적 분석에 따른 결론
6. 사이코 패스형 범죄의 대응상의 문제점
7. 사이코 패스형 범죄의 효율적 대응방안
8.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안도 찾는다.
④ 또한 프로그램의 제도적 요소들을 갖추어 사회복귀 후에도 엄격한 통제와 관리를 받도록 한다.
⑤ 프로그램의 다양한 치료과정이나 단위가 특정개인에게 효과가 있었는지 여부를 경험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8. 결론
지금까지 사이코패스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사이코패스형 범죄는 다른 범죄와는 달리 조용하면서도 치밀하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사이코패스들은 외형적으로 일반인과 다를 바 없으며 오히려 더 매력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쉽게 용의자가 되지 않고 꾸준한 범죄가 가능하게 된다. 만약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사이코패스적 성향을 지녔을 경우 그 여부를 쉽게 알 수 없기 때문에 범행이 모두 발각 된 후에야 그 사실을 알게 된다. 사이코패스는 치료 효과가 없고 치료 후에 재범률이 더욱 늘어난다고 한다. 심지어 그들은 자신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배우기보다는 타인을 좀 더 잘 조종하는 법을 배우고 출소 후 더 강도 높은 범죄를 저지른다. 또한 그들은 죄의식과 양심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인성교육 등을 통한 교화가 쉽지 않고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럼 이런 사이코패스를 어떻게 찾아내고 어떻게 처벌 해야할 것인가?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도 사이코패스의 정확한 정의도 내리지 않았고, 그로인해 사이코패스에 관한 법 규정도 애매한 실정이다. 특히나 교화 가능성이 없기에 일반인들에게 사이코패스라는 존재들은 무서운 존재로 인식되어 ‘죽여버리자’ ‘무섭다’란 여론이 일어나고 있다. 사이코패스가 사회악이라고 해서 그들을 무조건 사형시켜야 할 것인가? 그것은 극단적인 논리라고 생각된다. 오히려 그들을 따로 관리하고 그들의 성향을 파악하여 그 근본 원인과 해결책을 찾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 한다. 일찍이, 외국에서는 사이코패스에 대한 연구를 하기 시작했고, 이들의 심리상태에 관한 서적, 연구자료, 영상물 등이 만들어지면서 사이코패스에 대한 중요도가 커졌고, 이로 인해 이들을 치료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왔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범법 정신질환자 등을 격리 수용하여 사회불안 요인을 제거하고, 효율적인 치료 및 사회적응훈련을 실시하여 정상인으로서 사회에 복귀시키고자 설립한 기관은 공주치료감호소 한 군데 뿐이다. 이들은 분명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보통의 범법자들과 같이 수용되어 교화 받고 있는 실정이며 그로인해 전혀 교화되지 않고 더욱 악화된 사이코패스로 인해 범죄 발생의 위험성은 더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들은 양심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그들을 죽인다고 해서 죄값을 치러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그들을 처벌하는데 있어서는 일단 좀더 장소적인 면을 구비해야 할 것이며, 그들만의 장소를 만들어서 형벌을 부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n) (DSM-IV). Washington, DC: APA.
Berrios, G.E. (1993). European views on personality disorders: a conceptual history. Comprehensive Psychiatry, 34(1), 14-30.
Cleckley, H. (1976). The Mask of Sanity: An Attempt to Clarify Some Issues About the So Called Psychopathic Personality, 5th edition. St Louis: Mosby (1st edition, 1941)
④ 또한 프로그램의 제도적 요소들을 갖추어 사회복귀 후에도 엄격한 통제와 관리를 받도록 한다.
⑤ 프로그램의 다양한 치료과정이나 단위가 특정개인에게 효과가 있었는지 여부를 경험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8. 결론
지금까지 사이코패스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사이코패스형 범죄는 다른 범죄와는 달리 조용하면서도 치밀하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사이코패스들은 외형적으로 일반인과 다를 바 없으며 오히려 더 매력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쉽게 용의자가 되지 않고 꾸준한 범죄가 가능하게 된다. 만약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사이코패스적 성향을 지녔을 경우 그 여부를 쉽게 알 수 없기 때문에 범행이 모두 발각 된 후에야 그 사실을 알게 된다. 사이코패스는 치료 효과가 없고 치료 후에 재범률이 더욱 늘어난다고 한다. 심지어 그들은 자신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배우기보다는 타인을 좀 더 잘 조종하는 법을 배우고 출소 후 더 강도 높은 범죄를 저지른다. 또한 그들은 죄의식과 양심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인성교육 등을 통한 교화가 쉽지 않고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럼 이런 사이코패스를 어떻게 찾아내고 어떻게 처벌 해야할 것인가?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도 사이코패스의 정확한 정의도 내리지 않았고, 그로인해 사이코패스에 관한 법 규정도 애매한 실정이다. 특히나 교화 가능성이 없기에 일반인들에게 사이코패스라는 존재들은 무서운 존재로 인식되어 ‘죽여버리자’ ‘무섭다’란 여론이 일어나고 있다. 사이코패스가 사회악이라고 해서 그들을 무조건 사형시켜야 할 것인가? 그것은 극단적인 논리라고 생각된다. 오히려 그들을 따로 관리하고 그들의 성향을 파악하여 그 근본 원인과 해결책을 찾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 한다. 일찍이, 외국에서는 사이코패스에 대한 연구를 하기 시작했고, 이들의 심리상태에 관한 서적, 연구자료, 영상물 등이 만들어지면서 사이코패스에 대한 중요도가 커졌고, 이로 인해 이들을 치료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왔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범법 정신질환자 등을 격리 수용하여 사회불안 요인을 제거하고, 효율적인 치료 및 사회적응훈련을 실시하여 정상인으로서 사회에 복귀시키고자 설립한 기관은 공주치료감호소 한 군데 뿐이다. 이들은 분명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보통의 범법자들과 같이 수용되어 교화 받고 있는 실정이며 그로인해 전혀 교화되지 않고 더욱 악화된 사이코패스로 인해 범죄 발생의 위험성은 더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들은 양심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그들을 죽인다고 해서 죄값을 치러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그들을 처벌하는데 있어서는 일단 좀더 장소적인 면을 구비해야 할 것이며, 그들만의 장소를 만들어서 형벌을 부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n) (DSM-IV). Washington, DC: APA.
Berrios, G.E. (1993). European views on personality disorders: a conceptual history. Comprehensive Psychiatry, 34(1), 14-30.
Cleckley, H. (1976). The Mask of Sanity: An Attempt to Clarify Some Issues About the So Called Psychopathic Personality, 5th edition. St Louis: Mosby (1st edition, 1941)
추천자료
유영철 연쇄살인 사건
연쇄살인범 유영철의 심리 분석
유영철 살인사건
시계태엽오렌지 영화 서평
사형제도의 존속과 폐지에 대해[A+레포트]
영화 추격자를 보고
B군 성격장애
묻지마범죄 무동기범죄의 원인과 대책
최근 전 세계적으로 반사회적 인격장애(anti-social)로 인한 범죄, 자살, 히키코모리, 학교내...
범죄,범죄에대한인식강화,범죄에대한인식의필요성,범죄종류,범죄수치,범죄통계,성범죄
반성폭력 - 성폭력없는 현장활동을 위하여(성폭력의 예방 방법 및 성폭력의 다양한 해결 방법...
존속살해(尊屬殺害) - 존속살해의 개념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드라마, 영화의 등장인물 및 역사적 실존 인물, 사건사고 등에서 나타난 이상행동 및 심리장...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부모의 영향에 대해 토의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