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문
1. 한국의 식문화
2. 우리나라 식문화 특성과 문제점
3. 한국 식문화의 특성과 문제점에 따른 해결방안 및 세계화 전략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문
1. 한국의 식문화
2. 우리나라 식문화 특성과 문제점
3. 한국 식문화의 특성과 문제점에 따른 해결방안 및 세계화 전략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라의 세계화가 이제 초창기라 그런 것 같다고 이해하고 싶다. 하지만 서울 시내에 있는 특급호텔 에 한식당이 하나밖에 없다는 사실이 가장 안타가운일이다. 외국인이 국내에 와서 민박이나 모텔에서 지내지는 않을 것이다. 즉 호텔에서 숙박을 이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호텔 내에서는 한식을 판매하지 않고 있고, 양식위주로 판매하고 있다. 외국인입장에서는 멀리 비행기 타고 와서 호텔에 묵으면서 자국의 음식을 먹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88올림픽, 2002년 월드컵, 이번 올림픽에서의 성과 등으로 인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고 우리나라에 오는 외국인이 많다. 하지만 정작 한국에 와서는 한국의 음식을 재대로 접할 기회가 없다. 해외에 한식을 널리 알리려는 생각보다는 우선 우리 국내에서 할 수 있는 일 부터 찾아서 하는 것 이 좋을 것 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한식은 표준 계량화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음식은 손맛이 중요하다. 나물을 할 때 도 그 손놀림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 제대로 된 한식을 알리고 싶다면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오는 것이 제대로 된 한식을 느낄 수 있다.
참고문헌
고진철 (2000) : 한국외식산업의 중국시장 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 한식상품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행란(농촌진흥청 한식세계화연구단 전통한식과장), 2009, 한식세계화’ 아이디어를 찾아서
나홍선, 2008, 규격화·표준화 등 현대화 및 홍보방안 모색해야
민동원 (2003) : 한국음식의 상품화국제화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장승진, 농림부 식품산업과장, 2009, 우리 외식상품의 세계화를 위한 정책방향
참고문헌
고진철 (2000) : 한국외식산업의 중국시장 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 한식상품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행란(농촌진흥청 한식세계화연구단 전통한식과장), 2009, 한식세계화’ 아이디어를 찾아서
나홍선, 2008, 규격화·표준화 등 현대화 및 홍보방안 모색해야
민동원 (2003) : 한국음식의 상품화국제화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장승진, 농림부 식품산업과장, 2009, 우리 외식상품의 세계화를 위한 정책방향
추천자료
CJ 햇반 마케팅 성공사례
중, 남아메리카의 음식문화
일본의 음식문화
세계의 식생활과 문화를 읽고
한국의 발효 문화
(식생활과문화 B형)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 음식문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
한, 중, 일 음식문화의 비교 및 분석
이탈리아의 음식문화
러시아의 음식문화
크라제버거 마케팅전략분석및 경영성공요인분석 나의견해
우리나라 학교 급식의 현황과 영양교사(제도)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고서를 작성.
벨기에 음식 : 벨기에[Belgium]음식문화의 이해(와플, 쵸코릿, 감자튀김, 맥주)
[음식과 세계문화] 6주차 동남아시아의 음식문화
[음식과 세계문화] 13주차 북아메리카의 음식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