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2.2.1. 성문법
2.2.2. 불문법
3.결 론
4.참고문헌
2. 본 론
2.2.1. 성문법
2.2.2. 불문법
3.결 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力을 인정하는 것이 원칙이다.
2.2.2. 判 例 法
判例法(judge-made law)은 法院의 判例를 통해서 형성되며 성문법화 되지 않은 規範을 듯한다. 判例法은 法院의 판결 그 자체가 判例法이 되는 것이 아니라, 재판의 동일한 취지의 판결이 반복됨으로써 判例를 법의 연원으로서 인정하는 경우에 성립되는 불문법이다.
2.2.3. 條 理
條理라 함은 사물의 본질적 法則이나 사물의 道理를 말하며, 사람의 理性에 의하여 생각되는 규범이다. 易으로 말하면 일반 社會人이 보통 인정한다고 생각되는 객관적인 原理 또는 法則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社會通念, 社會的 妥當, 信義誠實, 社會秩序 및 公序良俗, 衡平正義, 理性法에 있어서의 體系的 調和, 法의 一般原理 등의 이름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條理의 법원성에 관하여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法實證主義思想이 지배하던 시대에는 이를 부정하려는 경향이 강하였으나, 그 후 自然法思想이 대두됨에 따라 條理를 하나의 法源으로 인정하게 되었다.
3.결론
1.성문법의 장단점
성문법은 불문법에 비해 법에 의미와 내용이 명확하여 그것을 구체적으로 해석, 적용 및 시행하는데 비교적 적합하고 법의 통일,정비로 법적 질서의 안정화에 도움이 되는 장점을 지닌 반면 법이 문서화됨으로써 법의 硬化를 가져 오고 이로 인하여 유동적인 사회실정에 적응하기 어렵다는 점과 입법과정이 기술화됨으로써 법에 대한 이해가 곤란하며, 法愛信人과의 현실적인 괴리감이 커질 수 있다는 단점이 지적될 수 있다.
2.불문법의 장단점
불문법은 문자라는 형식으로 법이 고정되지 않음으로 해서 변천하는 사회현실에 대응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한국가의 법을 통일적으로 정비하기 어려우며, 또한 그로 인해 법의 安定性이라고 하는 측면에서 문제를 제기할 수 있으며, 법의 存在가 명확하다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법적 효력을 갖지 못하는 관행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불문법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고 본다.
4. 참 고 문 헌
1. 법학통론 / 1992 / 장 경 학 著 / 법문사
2. 일반법학개론 / 1992 / 허 영 민 著 / 전영사
3. 법학개론 / 1994 / 홍 성 찬 著 / 전영사
4. 신법학원론 / 1988 / 육 종 수 著 / 전영사
목 차
1. 서론 --------------------------------------------------- 2
2. 본론 --------------------------------------------------- 2
2.2.1. 성문법 ----------------------------------------------------------------- 2
2.2.2. 불문법 ----------------------------------------------------------------- 4
3.결론 --------------------------------------------------- 6
4.참고문헌 --------------------------------------------------- 7
2.2.2. 判 例 法
判例法(judge-made law)은 法院의 判例를 통해서 형성되며 성문법화 되지 않은 規範을 듯한다. 判例法은 法院의 판결 그 자체가 判例法이 되는 것이 아니라, 재판의 동일한 취지의 판결이 반복됨으로써 判例를 법의 연원으로서 인정하는 경우에 성립되는 불문법이다.
2.2.3. 條 理
條理라 함은 사물의 본질적 法則이나 사물의 道理를 말하며, 사람의 理性에 의하여 생각되는 규범이다. 易으로 말하면 일반 社會人이 보통 인정한다고 생각되는 객관적인 原理 또는 法則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社會通念, 社會的 妥當, 信義誠實, 社會秩序 및 公序良俗, 衡平正義, 理性法에 있어서의 體系的 調和, 法의 一般原理 등의 이름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條理의 법원성에 관하여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法實證主義思想이 지배하던 시대에는 이를 부정하려는 경향이 강하였으나, 그 후 自然法思想이 대두됨에 따라 條理를 하나의 法源으로 인정하게 되었다.
3.결론
1.성문법의 장단점
성문법은 불문법에 비해 법에 의미와 내용이 명확하여 그것을 구체적으로 해석, 적용 및 시행하는데 비교적 적합하고 법의 통일,정비로 법적 질서의 안정화에 도움이 되는 장점을 지닌 반면 법이 문서화됨으로써 법의 硬化를 가져 오고 이로 인하여 유동적인 사회실정에 적응하기 어렵다는 점과 입법과정이 기술화됨으로써 법에 대한 이해가 곤란하며, 法愛信人과의 현실적인 괴리감이 커질 수 있다는 단점이 지적될 수 있다.
2.불문법의 장단점
불문법은 문자라는 형식으로 법이 고정되지 않음으로 해서 변천하는 사회현실에 대응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한국가의 법을 통일적으로 정비하기 어려우며, 또한 그로 인해 법의 安定性이라고 하는 측면에서 문제를 제기할 수 있으며, 법의 存在가 명확하다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법적 효력을 갖지 못하는 관행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불문법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고 본다.
4. 참 고 문 헌
1. 법학통론 / 1992 / 장 경 학 著 / 법문사
2. 일반법학개론 / 1992 / 허 영 민 著 / 전영사
3. 법학개론 / 1994 / 홍 성 찬 著 / 전영사
4. 신법학원론 / 1988 / 육 종 수 著 / 전영사
목 차
1. 서론 --------------------------------------------------- 2
2. 본론 --------------------------------------------------- 2
2.2.1. 성문법 ----------------------------------------------------------------- 2
2.2.2. 불문법 ----------------------------------------------------------------- 4
3.결론 --------------------------------------------------- 6
4.참고문헌 --------------------------------------------------- 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