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맑스의 소외론을 사례를 들어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칼 맑스의 소외론을 사례를 들어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루어지고 있다. 공산주의 사회에서보다 오히려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외극복의 가능성이 개방되어 있고 또 시도될 수도 있다. 공산주의 사회는 이데올로기와 경직된 관료체제로 인해 소외극복의 길이 도리어 닫혀있다. 노동의 소외는 사유재산의 철폐만으로 극복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전 국면에서 인간의 자기소외가 해명되고 극복의 길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마르크스 소외론의 개념과 발생배경,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점으로 인해 소외가 발생하며 이러한 인간소외는 사유재산을 철폐하고 사회를 공산화시킴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마르크스의 주장은 학문적 성실성과 과학성, 그리고 사회윤리적 용기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의의를 갖기도 하지만, 부분적이고 편협되었으며 현실성이 결여된다는 한계도 갖고 있다. 오늘날 사회체제의 이념적 정당성의 근원을 마르크스주의 사회변동 이론에서 찾아 온 소련과 동유럽 사회주의 체제는 거의 붕괴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마르크스의 방법론이나 이론 체계가 무용지물이 되었으니 폐기함이 마땅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경솔한 태도임에는 분명하다. 우리는 그것에 대한 참된 의미에 있어서 ‘과학적 분석과 비판’을 통해 그것이 지니고 있는 긍정적 요소와 부정적 요소를 정확히 가르고, 우리 사회의 바람직한 미래를 열어 나가는 데 참고할 만한 요소는 지혜롭게 참고하고, 버려야 할 요소는 과감히 버리는 전향적인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마르크스의 인간관과 인간소외론, 이태건, 한국국민윤리학회, 국민윤리연구, 2000
오늘날에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현실 속에서 소외를 겪고 있다. 또한 누구나 소외를 경험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세상이 너무나 복잡해 졌기 때문이며 복잡한 세상과 혼란한 일상 속에서 상대방을 진정으로 배려할 수 있는 시간과 여유, 방법을 잃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이러한 소외는 마르크스처럼 극단적인 방법이 아닌, 서로에 대한 신뢰와 사랑, 작은 배려를 통해서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자료
1) 마르크스의 인간관과 인간소외론, 이태건, 한국국민윤리학회, 국민윤리연구, 2000
2) 마르크스의 소외론과 그 비판, 안형관, 한국국민윤리학회, 국민윤리연구, 1984
3) 매혹적인 오류(칼 마르크스의 사상과 그것이 가져온 것), 클라우스 호르눙, 문우사
4) 마르크시즘과 윤리학, 유진 카멘카, 새밭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3.10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81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