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비만
본문내용
운동 및 규칙적인 생활
비만한 사람에서 규칙적인 운동의 효과로 생리적 효과와 정신적 효과가 있다.
생리적 효과로는 에너지 소비량 증가, 식욕 감소, 체지방 감소, 근육량 유지 또는 증가, 기능적 능력 증가, 혈장 인슐린치 감소, 안정시 및 운동시 심박수 감소, 일회 심박출량 증가, 유연성 증가, 운동 협응성 개선 등이 있다.
또한 정신적 효과로는 피로 감소, 자가 만족도 및 수용도 증가, 사회적 대인관계 개선, 자신감 및 확신 증가 등이 있다.
C. 식사요법
자신의 의지가 가장 많이 필요한 방법이다.
열량제한을 하는 동안 근육조직의 과다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적당한 단백질 섭취가 필요하다.
지방은 고 열량원이므로 전체 지방 섭취량을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질은 전체 열량의 50-60% 정도가 권장되며 단백질 절약, 케톤증 및 심한 수분손실 예방 을 위해서는 1일 최소 100g이상의 당질섭취가 요구된다.
식이섬유질은 하루 20-25g 이상 섭취하도록 권장하는데, 이는 식사의 열량밀도를 낮추고, 위배출을 지연시켜 공복감을 줄여주며, 변의 용적을 증가시켜 열량 제한시 식사량의 감소로 인한 변비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하루 1,200 kcal이하의 식사를 하는 경우, 비타민과 무기질의 하루 권장량을 충족시키기 어려우므로 별도로 보충해주는 것이 좋다.
감량식사를 하더라도 어육류, 저지방 유제품, 채소 및 과일류가 다양하게 포함되도록 하는데 이는 체중감량만을 위해 비합리적인 식사를 하는 경우 칼슘, 인, 철분 등을 비롯한 여러가지 무기질 섭취에 불균형이 초래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1일 1L이상 혹은 1kcal당 1ml 이상의 수분 섭취가 권장되고 있다.
알코올 자체로 1g당 7kcal의 고열량에 기름진 안주의 섭취량을 높일 수 있어 금기다.
체중조절을 위한 올바른 식사습관을 갖는다. 하루 3끼 식사는 거르지 않고 식사시간은 규칙적으로 하며 식사는 천천히 꼭꼭 씹어서 먹는다. 기름기가 적은 음식을 위주로 섭취하고 음식은 맵거나 짜지 않게 먹는다. 인스턴트 음식, 패스트푸드보다는 자연음식, 집에서 조리한 음식을 선택하고 후식, 음료 등의 단 음식은 주의한다. 야식은 절대 금지이고 수분은 충분히 섭취한다.
D. 약물 치료
현재 사용 중인 약물요법은 음식섭취를 적게 하는 것, 섭취된 음식이 흡수되지 않게 하는 것, 흡수된 열량을 소모시키는 것 등 3단계에 작용한다.
음식 섭취를 적게 하는 약
-시메티딘(cimetidine) : 위산분비를 억제시켜 배고픔을 저하시킴으로서 식욕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현재 많이 처방되고 있다.
-위장팽만제(bulk forming agent) : 포만감을 일으켜 식욕을 억제시킨다.
섭취된 음식의 체내 흡수를 차단하는 약
-오를리스타트(orlistat, 제니칼) : 췌장 및 위의 리파제(lipase,지방분해효소)를 억제하여 섭취한 지방의 분해를 억제한다.
흡수된 열량을 소모시키는 약
-에페드린과 잔틴 : 에페드린과 카페인 등의 잔틴 유도체는 대사를 항진시킨다.
Ⅲ. 결론 (느낀 점)
비만에 대해 조사하면서 상당한 지식을 얻게 되었다. 비만이 단지 외관상으로 살이 찌는 것이 아닌 체내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이며 나 또한 과체중이라는 사실을 알고 비만증 치료와 예방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또한 비만이 여러 질병을 함께 유발하고 사망률을 높이는 것은 알았지만 그 심각성을 잘 몰랐었다. 옛날 ‘비만인 사람’하면 서양 사람만을 떠올렸는데 이젠 서양만이 아닌 아시아에서도 비만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와 대책이 필요한 걸 느꼈다. 우리나라도 이젠 비만증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스스로의 인식을 제고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이 되었다. 약물 치료보다는 규칙적인 운동과 올바른 식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고 비만에 대한 잘못된 지식을 다 버리고 새로이 정확한 지식을 습득해야 된다는 생각을 했다. 정부적 차원에서도 비만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될 것이다. 체형이 말랐다고 해서 비만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는 것도 알았다. 세계적으로 이제 비만은 그냥 하나의 증상으로 보아야 될 것이 아닌 질병으로써 인식해야 됨을 깊이 새기고 그에 대한 대책과 예방을 해야 될 것이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영양과 건강」, 김일성 저, 서울 : 신광문화사 : 2005
「(한방자연요법) 비만증」, 권율 저, 서울 : 매일건강신문사 : 2002
「임상 비만 관리학」홍성균 외 저,
「비만 다스리기」, 김영호 저, 서울 : 서림문화사 : 1999
「비만학」, 와든 토마스 저, 서울 : 대한의학서적 : 2005
http://www.ons.or.kr/
http://kin.naver.com/knowhow/entry.php?d1id=9&dir_id=9&eid=FFrdD5kx4+eRwH/OYFezcrS9jg1zFWzH
http://blog.naver.com/niniai?Redirect=Log&logNo=80017121597
http://stewardess.inhatc.ac.kr/data/philoint/culture/weight-control.htm
http://cyplaza.cyworld.nate.com/bbs/bbs_view.asp?BoardCode=105&subBoardCode=11&ItemNum=20061004133012324452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7&dir_id=704&eid=dBPAWJSIbnGVwJGsVdgnWLc4S/V8OHuI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7&dir_id=711&eid=2vrOa10aQhkVKjZpFldMTnkZ8NVBsiff
http://blog.naver.com/parkrenato?Redirect=Log&logNo=130000007993
http://blog.naver.com/larceniji?Redirect=Log&logNo=2437070
http://blog.naver.com/jhyhope?Redirect=Log&logNo=60002392507
비만한 사람에서 규칙적인 운동의 효과로 생리적 효과와 정신적 효과가 있다.
생리적 효과로는 에너지 소비량 증가, 식욕 감소, 체지방 감소, 근육량 유지 또는 증가, 기능적 능력 증가, 혈장 인슐린치 감소, 안정시 및 운동시 심박수 감소, 일회 심박출량 증가, 유연성 증가, 운동 협응성 개선 등이 있다.
또한 정신적 효과로는 피로 감소, 자가 만족도 및 수용도 증가, 사회적 대인관계 개선, 자신감 및 확신 증가 등이 있다.
C. 식사요법
자신의 의지가 가장 많이 필요한 방법이다.
열량제한을 하는 동안 근육조직의 과다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적당한 단백질 섭취가 필요하다.
지방은 고 열량원이므로 전체 지방 섭취량을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질은 전체 열량의 50-60% 정도가 권장되며 단백질 절약, 케톤증 및 심한 수분손실 예방 을 위해서는 1일 최소 100g이상의 당질섭취가 요구된다.
식이섬유질은 하루 20-25g 이상 섭취하도록 권장하는데, 이는 식사의 열량밀도를 낮추고, 위배출을 지연시켜 공복감을 줄여주며, 변의 용적을 증가시켜 열량 제한시 식사량의 감소로 인한 변비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하루 1,200 kcal이하의 식사를 하는 경우, 비타민과 무기질의 하루 권장량을 충족시키기 어려우므로 별도로 보충해주는 것이 좋다.
감량식사를 하더라도 어육류, 저지방 유제품, 채소 및 과일류가 다양하게 포함되도록 하는데 이는 체중감량만을 위해 비합리적인 식사를 하는 경우 칼슘, 인, 철분 등을 비롯한 여러가지 무기질 섭취에 불균형이 초래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1일 1L이상 혹은 1kcal당 1ml 이상의 수분 섭취가 권장되고 있다.
알코올 자체로 1g당 7kcal의 고열량에 기름진 안주의 섭취량을 높일 수 있어 금기다.
체중조절을 위한 올바른 식사습관을 갖는다. 하루 3끼 식사는 거르지 않고 식사시간은 규칙적으로 하며 식사는 천천히 꼭꼭 씹어서 먹는다. 기름기가 적은 음식을 위주로 섭취하고 음식은 맵거나 짜지 않게 먹는다. 인스턴트 음식, 패스트푸드보다는 자연음식, 집에서 조리한 음식을 선택하고 후식, 음료 등의 단 음식은 주의한다. 야식은 절대 금지이고 수분은 충분히 섭취한다.
D. 약물 치료
현재 사용 중인 약물요법은 음식섭취를 적게 하는 것, 섭취된 음식이 흡수되지 않게 하는 것, 흡수된 열량을 소모시키는 것 등 3단계에 작용한다.
음식 섭취를 적게 하는 약
-시메티딘(cimetidine) : 위산분비를 억제시켜 배고픔을 저하시킴으로서 식욕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현재 많이 처방되고 있다.
-위장팽만제(bulk forming agent) : 포만감을 일으켜 식욕을 억제시킨다.
섭취된 음식의 체내 흡수를 차단하는 약
-오를리스타트(orlistat, 제니칼) : 췌장 및 위의 리파제(lipase,지방분해효소)를 억제하여 섭취한 지방의 분해를 억제한다.
흡수된 열량을 소모시키는 약
-에페드린과 잔틴 : 에페드린과 카페인 등의 잔틴 유도체는 대사를 항진시킨다.
Ⅲ. 결론 (느낀 점)
비만에 대해 조사하면서 상당한 지식을 얻게 되었다. 비만이 단지 외관상으로 살이 찌는 것이 아닌 체내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이며 나 또한 과체중이라는 사실을 알고 비만증 치료와 예방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또한 비만이 여러 질병을 함께 유발하고 사망률을 높이는 것은 알았지만 그 심각성을 잘 몰랐었다. 옛날 ‘비만인 사람’하면 서양 사람만을 떠올렸는데 이젠 서양만이 아닌 아시아에서도 비만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와 대책이 필요한 걸 느꼈다. 우리나라도 이젠 비만증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스스로의 인식을 제고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이 되었다. 약물 치료보다는 규칙적인 운동과 올바른 식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고 비만에 대한 잘못된 지식을 다 버리고 새로이 정확한 지식을 습득해야 된다는 생각을 했다. 정부적 차원에서도 비만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될 것이다. 체형이 말랐다고 해서 비만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는 것도 알았다. 세계적으로 이제 비만은 그냥 하나의 증상으로 보아야 될 것이 아닌 질병으로써 인식해야 됨을 깊이 새기고 그에 대한 대책과 예방을 해야 될 것이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영양과 건강」, 김일성 저, 서울 : 신광문화사 : 2005
「(한방자연요법) 비만증」, 권율 저, 서울 : 매일건강신문사 : 2002
「임상 비만 관리학」홍성균 외 저,
「비만 다스리기」, 김영호 저, 서울 : 서림문화사 : 1999
「비만학」, 와든 토마스 저, 서울 : 대한의학서적 : 2005
http://www.ons.or.kr/
http://kin.naver.com/knowhow/entry.php?d1id=9&dir_id=9&eid=FFrdD5kx4+eRwH/OYFezcrS9jg1zFWzH
http://blog.naver.com/niniai?Redirect=Log&logNo=80017121597
http://stewardess.inhatc.ac.kr/data/philoint/culture/weight-control.htm
http://cyplaza.cyworld.nate.com/bbs/bbs_view.asp?BoardCode=105&subBoardCode=11&ItemNum=20061004133012324452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7&dir_id=704&eid=dBPAWJSIbnGVwJGsVdgnWLc4S/V8OHuI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7&dir_id=711&eid=2vrOa10aQhkVKjZpFldMTnkZ8NVBsiff
http://blog.naver.com/parkrenato?Redirect=Log&logNo=130000007993
http://blog.naver.com/larceniji?Redirect=Log&logNo=2437070
http://blog.naver.com/jhyhope?Redirect=Log&logNo=60002392507
추천자료
정신의학적 관점에서 비만의 문헌적 고찰
비만 단백질
[생활대]-비만진단과 체중조절(다이어트)
[비만][지방][다이어트][운동]비만의 정의와 원인, 종류 및 치료(비만의 정의, 비만의 원인, ...
복부비만의 형태와 치료법
[비만][운동][다이어트]비만의 정의, 비만의 원인, 비만의 위험인자와 위험도, 비만의 진단 ...
비만의 합병증,영향,성인병과의 상관관계, 치료방법, 운동요법.
아동비만의 원인과 증상 (아동비만의 원인과 증상, 문제점과 아동비만의 해결방안)
비만 유전 - 비만과 그와 관련된 유전자에 대해서
비만에 대하여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비만과 우울증의 관계☆ 가설설정과 연구결과보고 (문제제기, 가설, 용...
[비만과 건강] 비만, 비만의 판정, 비만의 원인, 비만의 문제점, 비만과 운동, 비만과 영양.pptx
비만(비만교실, 비만이란, 비만의 문제, 표준체중) 발표, PPT, 파워포인트
비만 및 섭식장애(비만의정의, 비만의진단, 비만의원인, 비만치료지침, 섭식장애정의, 섭식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