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김구 소개
2. 이승만 소개
3. 김구의 공적과 과오
4. 이승만의 공적과 과오
5. 김구와 이승만의 행적비교
6. 김구와 이승만의 행적비교
7. 김구와 이승만 비교 및 평가
2. 이승만 소개
3. 김구의 공적과 과오
4. 이승만의 공적과 과오
5. 김구와 이승만의 행적비교
6. 김구와 이승만의 행적비교
7. 김구와 이승만 비교 및 평가
본문내용
축출할 것이라고 하여 일본군 참전을 취소시켰다. 한편 서울이 점령되었을 무렵, 이승만은 일본에 임시 망명정부를 수립할 계획도 고려하고 있었다.
54년 3월 27일에는 국내에 유통 중인 일제상품 몰수를 지시했고, 55년 6월 20일에는 일본제품 특혜수입 금지령을 내렸다.
대아시아 관계
대한민국임시정부를 후원한 대만과는 우호관계를 유지하였습니다. 남베트남의 고 딘 디엠과도 우호관계를 수립하였고, 고 딘 디엠 방한 시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친히 수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인도의 네루와는 사이가 안 좋았는데, 네루는 이승만에게 부정적이서 1949년 대한민국 정부의 승인을 반대하는 입장에 서기도 했다. 그러나 정부의 대표단인 조병옥의 설득으로 반대에서 기권으로 돌려놓게 되었다.
7. 김구와 이승만 비교 및 평가
이승만(외교론자)과 김구(행동주의자)의 비교와 관계
이승만과 김구 모두 구한말에 과거에 응시해 낙방한 경험을 갖고 있었습니다. 낙방 후 이승만은 개신교, 김구는 동학과 인연을 맺었으며, 이승만은 친미국 노선으로 김구는 친중국 노선으로 갔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는 이승만의 과도한 친미적 행태에 대한 후대의 비판을 희석시키려는 시도라고 생각됩니다. 미국은 비교적 다원체제였던 만큼 이승만과 미국의 갈등은 미국의 어느 한 부분과의 갈등이었을 뿐, 큰 흐름은 친미노선을 선택한 이승만에게 유리하였기에 이승만은 초대 대통령이 되었으며 향후 12년간 통치하게 됩니다.
김구선생은 마지막까지 북한과의 협상으로 통일된 정부를 세우려 했고 이승만 대통령은 현실적으로 북한과의 협상이 안 될 걸로 믿고 단독정부를 세우려 했습니다. 해방된 후 우리 민족의 당면 과제는 통일된 자주독립 국가의 수립이었습니다. 이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연합국이 제시한 안에 대하여 이승만은 동조하며 협조했던 반면 김구는 반대하며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했습니다. 결국 이승만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에 선출되었고 대한민국 출범 후에 김구는 뜻을 이루지 못한 채 안두희에게 암살당합니다.
일본이 태평양전쟁에서 패하자 미군과 소련군이 연합군으로 한국에 남아있던 일본군의 무장을 해제하려는 목적으로 38선으로 진주하여 남북으로 갈리게 됩니다. 이때부터 소련은 자기입맛에 맞는 사람인 김일성을 내세워 전체 한국의 지도자가 되게 하려하고 미국은 역시 이승만을 내세웁니다. 이때 미국에 살며 세계정세를 잘 아는 이승만은 공산주의자들의 행태를 보니 남북통일정부가 세워지기는 힘들다고 생각해서 남한만의 단독정부수립을 생각하고 김구선생은 아무리 그래도 통일된 정부를 세워야 한다는 의견을 내세우고 남북협상까지 하려고 평양에 갔지만, 북의 김일성은 자기네가 유리한 방향에서 정부를 세우려고 해서 협상이 지지부진하게 됩니다. 유엔에서는 선거를 감시할 유엔인사를 북에 보내려고 했으나 북에서 거부합니다. 그래서 유엔결의에 따라 선거가 가능한지역인 남한만의 정부가 서게 된 것입니다. 이승만의 단독 정부론과 김구의 통일 정부론은 두 분의 애국심에서 나온 것이기는 하나 국제정세를 잘 아는 이승만의 예견이 맞았다고 생각 합니다.
54년 3월 27일에는 국내에 유통 중인 일제상품 몰수를 지시했고, 55년 6월 20일에는 일본제품 특혜수입 금지령을 내렸다.
대아시아 관계
대한민국임시정부를 후원한 대만과는 우호관계를 유지하였습니다. 남베트남의 고 딘 디엠과도 우호관계를 수립하였고, 고 딘 디엠 방한 시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친히 수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인도의 네루와는 사이가 안 좋았는데, 네루는 이승만에게 부정적이서 1949년 대한민국 정부의 승인을 반대하는 입장에 서기도 했다. 그러나 정부의 대표단인 조병옥의 설득으로 반대에서 기권으로 돌려놓게 되었다.
7. 김구와 이승만 비교 및 평가
이승만(외교론자)과 김구(행동주의자)의 비교와 관계
이승만과 김구 모두 구한말에 과거에 응시해 낙방한 경험을 갖고 있었습니다. 낙방 후 이승만은 개신교, 김구는 동학과 인연을 맺었으며, 이승만은 친미국 노선으로 김구는 친중국 노선으로 갔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는 이승만의 과도한 친미적 행태에 대한 후대의 비판을 희석시키려는 시도라고 생각됩니다. 미국은 비교적 다원체제였던 만큼 이승만과 미국의 갈등은 미국의 어느 한 부분과의 갈등이었을 뿐, 큰 흐름은 친미노선을 선택한 이승만에게 유리하였기에 이승만은 초대 대통령이 되었으며 향후 12년간 통치하게 됩니다.
김구선생은 마지막까지 북한과의 협상으로 통일된 정부를 세우려 했고 이승만 대통령은 현실적으로 북한과의 협상이 안 될 걸로 믿고 단독정부를 세우려 했습니다. 해방된 후 우리 민족의 당면 과제는 통일된 자주독립 국가의 수립이었습니다. 이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연합국이 제시한 안에 대하여 이승만은 동조하며 협조했던 반면 김구는 반대하며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했습니다. 결국 이승만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에 선출되었고 대한민국 출범 후에 김구는 뜻을 이루지 못한 채 안두희에게 암살당합니다.
일본이 태평양전쟁에서 패하자 미군과 소련군이 연합군으로 한국에 남아있던 일본군의 무장을 해제하려는 목적으로 38선으로 진주하여 남북으로 갈리게 됩니다. 이때부터 소련은 자기입맛에 맞는 사람인 김일성을 내세워 전체 한국의 지도자가 되게 하려하고 미국은 역시 이승만을 내세웁니다. 이때 미국에 살며 세계정세를 잘 아는 이승만은 공산주의자들의 행태를 보니 남북통일정부가 세워지기는 힘들다고 생각해서 남한만의 단독정부수립을 생각하고 김구선생은 아무리 그래도 통일된 정부를 세워야 한다는 의견을 내세우고 남북협상까지 하려고 평양에 갔지만, 북의 김일성은 자기네가 유리한 방향에서 정부를 세우려고 해서 협상이 지지부진하게 됩니다. 유엔에서는 선거를 감시할 유엔인사를 북에 보내려고 했으나 북에서 거부합니다. 그래서 유엔결의에 따라 선거가 가능한지역인 남한만의 정부가 서게 된 것입니다. 이승만의 단독 정부론과 김구의 통일 정부론은 두 분의 애국심에서 나온 것이기는 하나 국제정세를 잘 아는 이승만의 예견이 맞았다고 생각 합니다.
추천자료
한국의 정치부패 원인과 제도적 방지 대책
나이키 경영전략 (국제경영 다국적기업 기업경영 생산관리
방송용어
헌정제도
우리나라 선물환제도
지역분할구도의 극복 - 국민의 정부
성차별실태와해결방안
[마케팅] NIKE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공기업의 민영화
1)수학-19까지의 수(약안)
[사회복지행정론]일반행정과 사회복지행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이에 대한 나...
[정보보호기술][전자상거래][전자지불시스템][전자화폐][전자신용카드]정보보호기술과 전자상...
[조직문화] 나이키(Nike) 기업문화 - 나이키의 조직문화 분석과 특징 및 경영철학, 경영전략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