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변론(轉變論)
2. 인중유과론(因中有果論)
3. 실재론적 인식론(實在論的 認識論)
4. 부정론적 인식론(NETI ATMAN)
5. 신인 양본주의(神人 兩本主義)
2. 인중유과론(因中有果論)
3. 실재론적 인식론(實在論的 認識論)
4. 부정론적 인식론(NETI ATMAN)
5. 신인 양본주의(神人 兩本主義)
본문내용
지혜를 획득해야 하며 신본주의 신은 창조, 구원, 지배의 신이 아닌 자기내면의 자재신(이스와라:ISVARA) 즉, 정신의 본질(푸루사)를 신격화 한 것이다. 따라서 유신론적이면서 무신론이고 무신론적이면서 유신론이다.
여기에서 신은 브라만을 뜻하고, 인은 아트만(진아)을 뜻하고 있다. 우주와 자연과 신과 전체 등이 가지고 있는 성질과 원리, 법칙과 질서 등이 소우주인 人(자아)안에 들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신본주의에서의 신탁과 대별되는 철학으로 창조와 구원과 지배의 신이 아닌, 자기 내면의 자재신(ISVARA)인 정신의 본질을 신격화한 것이다.
요가에서는 진리가 신이며 모든 종교에는 요가가 들어있으나 요가가 종교에 예속되지는 않는다. 그렇듯이 이 사상을 사람 속에 들어있는 신성을 중시하는 사상이다.
여기에서 신은 브라만을 뜻하고, 인은 아트만(진아)을 뜻하고 있다. 우주와 자연과 신과 전체 등이 가지고 있는 성질과 원리, 법칙과 질서 등이 소우주인 人(자아)안에 들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신본주의에서의 신탁과 대별되는 철학으로 창조와 구원과 지배의 신이 아닌, 자기 내면의 자재신(ISVARA)인 정신의 본질을 신격화한 것이다.
요가에서는 진리가 신이며 모든 종교에는 요가가 들어있으나 요가가 종교에 예속되지는 않는다. 그렇듯이 이 사상을 사람 속에 들어있는 신성을 중시하는 사상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