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락학설(經絡學說)
2. 경락학설의 기원
3. 경락이란 무엇인가
4. 경락학설에 대해서
2. 경락학설의 기원
3. 경락이란 무엇인가
4. 경락학설에 대해서
본문내용
에 연하여 설하(舌下)에 산포되었다. 그 支脈은 다시 胃에서 기시하여 별도로 흉격으로 올라가 심장으로 주입되며 수소음맥과 교접된다.
⑤ 수소음심경
수소음맥은 심중에서 기시하여 심계에 속하고, 횡격막 아래로 내려가서 소장에 연락되었다.
그 支脈은 심계로부터 인후를 끼고 상행하여 목계(目系)에 연계되고, 그 직맥은 다시 심계를 따라 폐로 상행하여 겨드랑 밑으로 나가서 아래로 상비내측(上臂內側)의 후렴(後廉)을 따라 수태음과 수궐음심포맥의 後方, 소해혈로 하행하여 비내측의 영도혈에 이르고, 다시 수장내측(手掌內側)의 소부혈으로 내려가서 소지(小指)의 내측을 따라 소충혈에 이르러 수태양맥과 교접한다.
⑥ 수태양소장경
수태양맥은 소지 소택혈에서 기시하여, 수(手)의 후계혈을 따라 측부로 올라가서 예골(銳骨)을 지나, 직상하여 비골의 하렴(下廉)을 따라 팔꿈치의 내측 양골의 사이에 있는 소해혈로 나가고, 상부로 올라가 상박의 외측 후렴을 따라 어깨로 상행, 견갑을 순행하고 견상에서 교회하여 결분으로 들어가서 심장에 연락되고, 인후를 돌아 흉격으로 내려가서 胃를 경과하여 소장에 속하였다.
支脈은 결분에서 경부(頸部)를 관통하여 협으로 올라가서 눈의 바깥쪽으로 갔다가 다시 이중(耳中)으로 들어간다.
또 一支脈은 뺨에서 갈려서 코에 이르고, 눈의 내제(內 )로 갔다가 다시 관골부( 骨部)로 사락(斜絡)하여 족태양맥과 교접한다.
⑦ 족태양방광경
족태양맥은 정명혈에서 기시하여 액부(腋部)로 상행하여 머리 꼭대기의 백회혈에 교접되고, 그 지맥은 꼭대기에서부터 귀의 상각부위에 이르고, 그 직맥은 머리 꼭대기에서 들어가 뇌를 락(絡)하고, 돌아 나와 항부로 하행하여 견박내(肩膊內)를 돌아 척주(脊柱)를 끼고 허리(腰中)로 하행하여 엉덩이( 部)를 돌아 콩팥(腎)을 絡하고 방광에 속한다.
한 지맥은 허리(腰中)에서 시발하여 아래로 둔부를 관통하여 오금(膝 中)으로 들어간다. 또 한 지맥은 좌우견박골에서 견갑을 관통하여 척내로 환도혈를 경과하여 넓적다리( )의 외측후렴을 순행하여 하행해서 오금(膝 中)에서 전술한 지맥과 합하고, 장딴지( 內)로 관하하여 가깥쪽 복숭아뼈(外 後)로 나가서 경골혈(京骨穴)을 돌아 새끼발가락의 외측단에 이르러 족소음맥으로 교접한다.
⑧ 족소음신경
족소음맥은 새끼발가락의 하부에서 기시하여 용천혈으로 사주(斜注)하여 연곡혈로 나가서 태계혈을 돌아서 별도로 대종혈로 들어가서, 장딴지의 내측으로 올라가 오금의 陰谷穴로 나와, 넓적다리의 후렴으로 상행하여 척주(脊柱)를 관통하여 콩팥(腎)에 屬하고, 방광에 연락한다.
그 직맥은 신(腎)에서 기시하여 상부로 흉격을 관통하여 폐로 들어갔다가 후롱(喉 )을 돌아 설본을 끼고 나간다. 또 한 지맥은 폐에서 나가 심에 연락되고 흉중으로 들어가 수궐음심포맥과 교접된다.
⑨ 수궐음심포경
수궐음맥은 흉중에서 기시하여 심포에 속하고 격막으로 하행하여 삼초를 연락한다. 그 지맥은 흉부를 돌아서 협부로 나가 액하 삼촌부위에서 상행하여 액와에 이르러 노내( 內)로 순행하여, 수태음·수소음의 양맥 사이를 통하여 곡택혈로 들어가고, 전비(前臂)로 하행하여, 전비의 대릉혈로 내려가 노궁혈으로 들어가서 중지를 따라 그 중충혈으로 나간다.
그 지맥은 손바닥에서 第四指 내측을 순행하여 그 끝으로 나가서 수소양맥과 교접한다.
⑩ 수소양삼초경
수소양맥은 관충혈에서 기시하여 第四指와 五指사이로 上行하여 手의 양지혈을 따라서 팔의 外側 양골의 지구혈로 상행하여 천정혈를 관통하고, 의 외측을 따라 견부로 상행하여 족소양맥과 교회한 후, 결분으로 들어가서 하행하여 양유간(兩乳間)의 전중부에 분포되고, 심포와 연락되며, 상행하여 격막을 통과해서 흉부로부터 복부에 이르러 삼초에 속한다.
그 지맥은 전중에서 상행하여 결분으로 나와서 다시 상행하여 목을 지나 耳後로 연락되고, 직상하여 耳上角에서 굴절되어 뺨을 돌아서 眼 下部에 이른다.
또 한 지맥은 耳後에서 귀로 들어갔다가 다시 耳前으로 나와서 객주인혈의 전방을 지나 뺨에서 교차되어 눈 바깥꼬리(眼外 )에 이르러 족소양맥과 교접된다.
⑪ 족소양담경
족소양맥은 눈 바깥꼬리(目銳 )에서 기시하여 頭角으로 상행하였다가 귀 뒤로 하행하여 목을 따라서 수소양맥의 전방으로 주행하여 어깨(肩上)에 이르러 교차되어 다시 수소양맥의 후방으로 나와 결분으로 들어간다. 그 지맥은 耳後에서 귀로 들어갔다가 耳前으로 나가서 눈 바깥꼬리(目銳 )에 이르러 대영혈로 하행하여 수소양맥과 합하여 눈동자(眼 )의 하부 협거혈 상부에 이르러 다시 목으로 하행하여 앞의 지맥과 결분에서 합하여 흉중으로 들어가 격막을 관통하려 간에 연락되고 담에 속하며 옆구리안(脇裏)을 따라 소복량측의 기충혈로 나와서 성기주위(陰毛際)를 돌아 환도로 들어간다. 그 직맥은 결분에서 겨드랑이로 하행하여 흉중을 순행해서 옆구리를 통과 앞의 지맥과 합하여 근 외측을 따라 슬의 외렴으로 나와서 외보골의 전방으로 하행하여 절골의 끝(陽輔穴)에 이르러 바깥 복숭아뼈의 구허혈에서 발등을 순행하고 궁음혈으로 나간다. 또한 한 지맥은 발등(足 上)에서 엄지발가락으로 들어가 大指 끝으로 나갔다가 다시 돌아 손톱(爪甲)을 관통하고 족궐음맥에 교접된다.
⑫ 족궐음간경
족궐음맥은 엄지발가락의 대돈혈에서 기시하여 상부로 발등의 중봉혈을 따라서 안쪽 복숭아뼈 8촌부위로 올라가 족태음맥의 뒤로 나가서 오금의 곡천혈로 상행하여 성기주변으로 들어가서 음기를 순환하여 아랫배로 들어가서 胃를 끼고 肝에 속하며 담으로 연락하여 격막을 뚫고 올라가 협륵에 분포되고 후롱의 뒤 순행하여 뺨(額部)으로 들어가서 눈주위(目系)에 連하고 이마로 올라가서 독맥과 함께 정상에서 교회한다. 그 지맥은 눈주위(目系)에서 뺨안(頰內)으로 하행하여 입술(脣內)을 순환한다. 다른 한 지맥은 간에서 격막을 관통하여 폐중으로 주입(注入)되어 수태음폐경과 교합된다.
이러한 경락유주의 실체에 대한 실험적 접근은 매우 다양한 실헙법이 도입되고 있다. 신경추적자를 이용하여 경락의 형태학적접근, 전기생리학적인 실험에 의해 경락의 기능적 현상의 추적, 뇌파를 이용하여 경락의 현상에 대한 이해 등등 경락의 실체를 찾고자 많은 시도들을 행하고 있다. 99
⑤ 수소음심경
수소음맥은 심중에서 기시하여 심계에 속하고, 횡격막 아래로 내려가서 소장에 연락되었다.
그 支脈은 심계로부터 인후를 끼고 상행하여 목계(目系)에 연계되고, 그 직맥은 다시 심계를 따라 폐로 상행하여 겨드랑 밑으로 나가서 아래로 상비내측(上臂內側)의 후렴(後廉)을 따라 수태음과 수궐음심포맥의 後方, 소해혈로 하행하여 비내측의 영도혈에 이르고, 다시 수장내측(手掌內側)의 소부혈으로 내려가서 소지(小指)의 내측을 따라 소충혈에 이르러 수태양맥과 교접한다.
⑥ 수태양소장경
수태양맥은 소지 소택혈에서 기시하여, 수(手)의 후계혈을 따라 측부로 올라가서 예골(銳骨)을 지나, 직상하여 비골의 하렴(下廉)을 따라 팔꿈치의 내측 양골의 사이에 있는 소해혈로 나가고, 상부로 올라가 상박의 외측 후렴을 따라 어깨로 상행, 견갑을 순행하고 견상에서 교회하여 결분으로 들어가서 심장에 연락되고, 인후를 돌아 흉격으로 내려가서 胃를 경과하여 소장에 속하였다.
支脈은 결분에서 경부(頸部)를 관통하여 협으로 올라가서 눈의 바깥쪽으로 갔다가 다시 이중(耳中)으로 들어간다.
또 一支脈은 뺨에서 갈려서 코에 이르고, 눈의 내제(內 )로 갔다가 다시 관골부( 骨部)로 사락(斜絡)하여 족태양맥과 교접한다.
⑦ 족태양방광경
족태양맥은 정명혈에서 기시하여 액부(腋部)로 상행하여 머리 꼭대기의 백회혈에 교접되고, 그 지맥은 꼭대기에서부터 귀의 상각부위에 이르고, 그 직맥은 머리 꼭대기에서 들어가 뇌를 락(絡)하고, 돌아 나와 항부로 하행하여 견박내(肩膊內)를 돌아 척주(脊柱)를 끼고 허리(腰中)로 하행하여 엉덩이( 部)를 돌아 콩팥(腎)을 絡하고 방광에 속한다.
한 지맥은 허리(腰中)에서 시발하여 아래로 둔부를 관통하여 오금(膝 中)으로 들어간다. 또 한 지맥은 좌우견박골에서 견갑을 관통하여 척내로 환도혈를 경과하여 넓적다리( )의 외측후렴을 순행하여 하행해서 오금(膝 中)에서 전술한 지맥과 합하고, 장딴지( 內)로 관하하여 가깥쪽 복숭아뼈(外 後)로 나가서 경골혈(京骨穴)을 돌아 새끼발가락의 외측단에 이르러 족소음맥으로 교접한다.
⑧ 족소음신경
족소음맥은 새끼발가락의 하부에서 기시하여 용천혈으로 사주(斜注)하여 연곡혈로 나가서 태계혈을 돌아서 별도로 대종혈로 들어가서, 장딴지의 내측으로 올라가 오금의 陰谷穴로 나와, 넓적다리의 후렴으로 상행하여 척주(脊柱)를 관통하여 콩팥(腎)에 屬하고, 방광에 연락한다.
그 직맥은 신(腎)에서 기시하여 상부로 흉격을 관통하여 폐로 들어갔다가 후롱(喉 )을 돌아 설본을 끼고 나간다. 또 한 지맥은 폐에서 나가 심에 연락되고 흉중으로 들어가 수궐음심포맥과 교접된다.
⑨ 수궐음심포경
수궐음맥은 흉중에서 기시하여 심포에 속하고 격막으로 하행하여 삼초를 연락한다. 그 지맥은 흉부를 돌아서 협부로 나가 액하 삼촌부위에서 상행하여 액와에 이르러 노내( 內)로 순행하여, 수태음·수소음의 양맥 사이를 통하여 곡택혈로 들어가고, 전비(前臂)로 하행하여, 전비의 대릉혈로 내려가 노궁혈으로 들어가서 중지를 따라 그 중충혈으로 나간다.
그 지맥은 손바닥에서 第四指 내측을 순행하여 그 끝으로 나가서 수소양맥과 교접한다.
⑩ 수소양삼초경
수소양맥은 관충혈에서 기시하여 第四指와 五指사이로 上行하여 手의 양지혈을 따라서 팔의 外側 양골의 지구혈로 상행하여 천정혈를 관통하고, 의 외측을 따라 견부로 상행하여 족소양맥과 교회한 후, 결분으로 들어가서 하행하여 양유간(兩乳間)의 전중부에 분포되고, 심포와 연락되며, 상행하여 격막을 통과해서 흉부로부터 복부에 이르러 삼초에 속한다.
그 지맥은 전중에서 상행하여 결분으로 나와서 다시 상행하여 목을 지나 耳後로 연락되고, 직상하여 耳上角에서 굴절되어 뺨을 돌아서 眼 下部에 이른다.
또 한 지맥은 耳後에서 귀로 들어갔다가 다시 耳前으로 나와서 객주인혈의 전방을 지나 뺨에서 교차되어 눈 바깥꼬리(眼外 )에 이르러 족소양맥과 교접된다.
⑪ 족소양담경
족소양맥은 눈 바깥꼬리(目銳 )에서 기시하여 頭角으로 상행하였다가 귀 뒤로 하행하여 목을 따라서 수소양맥의 전방으로 주행하여 어깨(肩上)에 이르러 교차되어 다시 수소양맥의 후방으로 나와 결분으로 들어간다. 그 지맥은 耳後에서 귀로 들어갔다가 耳前으로 나가서 눈 바깥꼬리(目銳 )에 이르러 대영혈로 하행하여 수소양맥과 합하여 눈동자(眼 )의 하부 협거혈 상부에 이르러 다시 목으로 하행하여 앞의 지맥과 결분에서 합하여 흉중으로 들어가 격막을 관통하려 간에 연락되고 담에 속하며 옆구리안(脇裏)을 따라 소복량측의 기충혈로 나와서 성기주위(陰毛際)를 돌아 환도로 들어간다. 그 직맥은 결분에서 겨드랑이로 하행하여 흉중을 순행해서 옆구리를 통과 앞의 지맥과 합하여 근 외측을 따라 슬의 외렴으로 나와서 외보골의 전방으로 하행하여 절골의 끝(陽輔穴)에 이르러 바깥 복숭아뼈의 구허혈에서 발등을 순행하고 궁음혈으로 나간다. 또한 한 지맥은 발등(足 上)에서 엄지발가락으로 들어가 大指 끝으로 나갔다가 다시 돌아 손톱(爪甲)을 관통하고 족궐음맥에 교접된다.
⑫ 족궐음간경
족궐음맥은 엄지발가락의 대돈혈에서 기시하여 상부로 발등의 중봉혈을 따라서 안쪽 복숭아뼈 8촌부위로 올라가 족태음맥의 뒤로 나가서 오금의 곡천혈로 상행하여 성기주변으로 들어가서 음기를 순환하여 아랫배로 들어가서 胃를 끼고 肝에 속하며 담으로 연락하여 격막을 뚫고 올라가 협륵에 분포되고 후롱의 뒤 순행하여 뺨(額部)으로 들어가서 눈주위(目系)에 連하고 이마로 올라가서 독맥과 함께 정상에서 교회한다. 그 지맥은 눈주위(目系)에서 뺨안(頰內)으로 하행하여 입술(脣內)을 순환한다. 다른 한 지맥은 간에서 격막을 관통하여 폐중으로 주입(注入)되어 수태음폐경과 교합된다.
이러한 경락유주의 실체에 대한 실험적 접근은 매우 다양한 실헙법이 도입되고 있다. 신경추적자를 이용하여 경락의 형태학적접근, 전기생리학적인 실험에 의해 경락의 기능적 현상의 추적, 뇌파를 이용하여 경락의 현상에 대한 이해 등등 경락의 실체를 찾고자 많은 시도들을 행하고 있다. 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