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족과 사회복지의 관계
2. 가족복지의 개념
3. 가족복지의 서비스 영역
4. 가족복지의 대상영역을 정리
참고문헌
2. 가족복지의 개념
3. 가족복지의 서비스 영역
4. 가족복지의 대상영역을 정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능 등 종합적인 기능을 두루 갖춘 센터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4) 고용촉진정책
빈곤가족과 관련된 고용촉진정책에 속하는 대표적 프로그램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상의자활사업과 여성부 산하 여성인력개발센타에서 저소득 빈곤가정의 주부와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고용촉진훈련과 여성가장훈련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① 자활사업
자활사업은 크게 취업지원과 직업능력 향상을 통한 자활공동체 창업 지원, 그리고 비취업자에 대한 일자리 창출과 제공 등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저소득 생활보호대상 가구 중 취업대상이거나 취업자에게는 직업적응훈련 및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고령자나 여성가구주 등의 비취업대상자들을 위한 일거리 창출을 위해 간병도우미사업, 음식물 재활용사업, 집수리도우미사업, 청소사업, 자원재활용사업은 표준화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② 여성인력개발센터의 고용촉진 프로그램
여성부 산하 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저소득 빈곤가정의 주부와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고용촉진훈련과 여성가장훈련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고용촉진훈련에는 인터넷 활용능력 등 사무능력 향상 프로그램, 간병인 양성 프로그램, 조리사 산모 돕는 이 양성 등이고, 여성가장훈련프로그램으로는 컴퓨터 전문가, 급식조리사, 가정유아관리사 등이 있다.
③ 실직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임금근로자가 실직하였을 경우 일정기간 동안 실직자 및 그 가족의 생계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업급여가 제공된다. 실업급여는 수급자가 이직 전 직장에서 지급 받던 평균임금의 50%가 지급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실업급여의 산정방식에 가족의 수가 고려되지 않고 있어서 가족복지정책에 포함시키기 어렵다. 이에 비해 독일은 실업수당을 산정할 때 가족의 상황을 고려하고 있는데, 이는 가족을 위한 고용 유지에 대한 모범사례라 할 수 있다.
④ 모성보호
실업수당을 비롯한 근로자 고용정책이 가족에게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모성보호제도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회보험제도상에도 몇 가지 개선이 필요하다.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가 취업을 원할 경우 양육과 취업을 보장하기 위한 모성보호정책은 가족생활과 직장생활을 병립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제도라고 볼 수 있으나 이 제도는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99
참고문헌
조흥식(1996). “가족정책 관련 공공행정”. 한국가족정책의 이해 . 학지사
최경석 외 (2001). 한국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4) 고용촉진정책
빈곤가족과 관련된 고용촉진정책에 속하는 대표적 프로그램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상의자활사업과 여성부 산하 여성인력개발센타에서 저소득 빈곤가정의 주부와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고용촉진훈련과 여성가장훈련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① 자활사업
자활사업은 크게 취업지원과 직업능력 향상을 통한 자활공동체 창업 지원, 그리고 비취업자에 대한 일자리 창출과 제공 등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저소득 생활보호대상 가구 중 취업대상이거나 취업자에게는 직업적응훈련 및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고령자나 여성가구주 등의 비취업대상자들을 위한 일거리 창출을 위해 간병도우미사업, 음식물 재활용사업, 집수리도우미사업, 청소사업, 자원재활용사업은 표준화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② 여성인력개발센터의 고용촉진 프로그램
여성부 산하 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저소득 빈곤가정의 주부와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고용촉진훈련과 여성가장훈련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고용촉진훈련에는 인터넷 활용능력 등 사무능력 향상 프로그램, 간병인 양성 프로그램, 조리사 산모 돕는 이 양성 등이고, 여성가장훈련프로그램으로는 컴퓨터 전문가, 급식조리사, 가정유아관리사 등이 있다.
③ 실직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임금근로자가 실직하였을 경우 일정기간 동안 실직자 및 그 가족의 생계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업급여가 제공된다. 실업급여는 수급자가 이직 전 직장에서 지급 받던 평균임금의 50%가 지급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실업급여의 산정방식에 가족의 수가 고려되지 않고 있어서 가족복지정책에 포함시키기 어렵다. 이에 비해 독일은 실업수당을 산정할 때 가족의 상황을 고려하고 있는데, 이는 가족을 위한 고용 유지에 대한 모범사례라 할 수 있다.
④ 모성보호
실업수당을 비롯한 근로자 고용정책이 가족에게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모성보호제도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회보험제도상에도 몇 가지 개선이 필요하다.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가 취업을 원할 경우 양육과 취업을 보장하기 위한 모성보호정책은 가족생활과 직장생활을 병립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제도라고 볼 수 있으나 이 제도는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99
참고문헌
조흥식(1996). “가족정책 관련 공공행정”. 한국가족정책의 이해 . 학지사
최경석 외 (2001). 한국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