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감각예비검사(각성,주의,지남력,인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기전이 작용하여 우리 의식에 떠오르게 된다는 가설.(retention; 보유, consolidation; 경화, 통합)
단기기억(short-term memory;STM)
단기기억은 수분에서 수 시간 지속된다.
지각된 정보는 자극이 제거되더라도 곧 상기 할 수 있다. 이시기의 기억을 단기기억이라고 한다. 단기기억은 다양한 변형을 받아 고정되기도 하지만 불안정하여 시간이 경과하거나 두부의 외상 또는 충격에 의해 사라지기도 한다. 단기기억은 해마, 전두엽등이 관련되어 있다.
검사: 관련이 없는 사물의 짧은 목록의 단어를 가지고 환자에게 제시하는 것 그리고 환자에게 보여주고 다시 짧은 시간 후에 즉시 그 단어를 반복하라고 요구한다.
장기기억(long-term memory)
오랫동안 머리속에 간직되며 어려 변형을 통해 확고해지고 두부의외상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사라지지 않는 성질을 말함. 대뇌 측두엽과 관련이 있다.
태어난 날과 장소, 형제의 수, 결혼한 날, 어떤 학교를 다녔는지, 역사적 사건 등의 정보를 물어봄으로써 평가 될 수 있다.
검사: 환자에게 사건 eh는 과거로부터의 사람(너는 어디에서 태어났나? 너는 어디에 학교를 다녔니? 너는 어디에서 일하니?) 을 회상시킴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환자의 일반적인 지식도 평가
대통령이 누구냐?
2차 세계대전 동안 대통령은 누구니?
기억의 회상
혀끝현상, 활첨현상(tip of the tongue phenomena): 정보를 회상시키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은 정보가 그들 입안에서 맴돌기도 한다.
정상적인 기억력
정상적인 기억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5분 후에 5가지 목록을 기억해 낼 수 있어야 하고
적어도 30분 후에 2가지 종류를 기억해 내야 한다.
기억과 물리치료
기억장애 환자는 많은 종류의 정보를 기억할 수 없다.
물리치료 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이전 치료시간에 수행한 내용을 이어서 하지 못하거나 치료를 통해 배운 내용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것이다.
3) 기억에 관여하는 대뇌구조
측두엽: 청각-음악
후두엽: 시각-시각기억
대뇌구조들이 기억에 관여하는 2단계구조
①특정 내용의 기억조각들은 그 내용이 필요로 한 곳에 저장되어 ②다른 새로운 정보가 입수되면 이를 재빨리 연합할 수 있어야 한다.
예) 사랑하는 엄마의 기억 중 엄마의 향수는 냄새를 담당하는 대뇌에 엄마의 부드러운 손의 감촉은 체성감각 영역에 다정한 목소리는 측두엽에 저장 될 것이다.
그러면 이들 조각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 되는가?
해마(hoppocampus), 편도체(amygdala), 시상과 시상하부의 특정 영역, 기저전뇌(vasal forebrain) 및 복내측 전전두엽.
전전두엽: 현재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대뇌의 어딘가에 저장되어 있는 장기기억을 꺼내오는 데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한 가지 물체는 분산되어 저장)
해마: 학습과 공간감각을 기억하는 회로를 감독하는 역할.
편도체: 기억장치의 문지기
대뇌피질의 체성감각 영역에 감각이 인지되면 피질의 신경세포는 병렬로 해마와 편도체에 흥분을 전달하고 이 영역은 간뇌, 기저전뇌, 전전두엽과 연결된다. 기저전뇌는 다시 대뇌피질의 감각영역으로 자극을 보내어 회로를 완성한다.
해마(hippocampus, 측두엽)와 기억
해마에 병변이 생기면 단기기억이 장기기억으로 저장되지 못한다. 즉, 단기기억의 어려움이 있다.
환자는 완전히 정상적인 회화를 계속할 수 있지만 화제가 변하면 갑자기 그 전의 이야기의 줄거리를 잊어버리고 만다.
4) 기억력의 평가
인식기억검사-Recognition Memory Test(RMT; Warrington, 1984)
언어적 인식기억 검사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50개의 단어를 3초마다 한 단어씩 환자에게 보여준다. 이때 환자가 단어에 집중할 수 있도록 각 단어마다 좋아하는지를 물어본다.
그런 다음 50쌍의 일상적인 단어를 환자에게 다시 보여주는데 이 때 각 쌍마다 한 단어 중 앞에서 보았던 단어를 지적해야 한다.
시각적 인식기억 검사
남성의 얼굴 사진을 이용한 시각적 기억검사도 같은 순서를 따른다.
4) 기억장애의 검사와 임상적 양상
단어나 언어와 관련된 내용을 잘 기억하지 못하지만, 그림이나 시각적인 물체에 관한 기억력은 상당히 남아 있다.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검사방법
1)Recognition Memory Test(RMT; Warrington, 1984)
2)치료예약시간을 한 번은 말로 알려 주고(언어방법) 그 다음은 약속된 시간이 그려진 그림을 보여주어(시각방법) 어떤 방법에 약속시간을 제대로 맞추는지를 보아 기억력 종류에 대한 효과의 차이를 쉽게 알 수 있다.
시각실인증(visual agnosia)
사물을 인식 하는 데는 문제가 없지만 사용법과 같은 사물에 대한 지식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임상: 의자차의 브레이크를 어디에 사용하는 지를 인식하지 못해 의자차 조작이 불가능하므로 치료계획을 수립하기가 매우 어렵다.)
안면실인증(prosopagnosia)
사람의 얼굴을 잘 인식하지 못한다.
지리적 기억장애(topographical memory function)
병원내의 길이나 자신의 집으로 가는 길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5) 기억의 효율성
회상과 인식 기억법
환자의 기억을 돕는 신호나 단서로 작용할 수 있다
검사 시 단서나 신호 없이 앞에서 본 단어를 회상하는 것보다 이와 같은 인식검사에서 더 많은 단어를 기억한다.
연상기억법(paired-associate memory)
여러 쌍의 단어를 환자에게 보여주고 난 다음 다시 각 쌍에서 첫 번째 단어만을 보여주고, 이전에 보여 주었던 단어 중에서 이 단어와 가장 연관성이 많은 것을 여기에 맞추게 하는 것이다.(홍차-컵)
임상적의의
치료 시 환자의 기억능력을 평가할 때 신호나 단서를 환자가 어느 정도 수용하는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치료사의 질문에 따라 의자차에서 침대로 안전하게 옮겨가는 순서를 완벽하게 나열할 수 있지만 이것은 단지 음성기억력만을 평가할 따름이다, 집에서 스스로 안정하게 옮겨가는 동작을 수행하려면 어떤 단서 없이도 수행 가능한 회상수행 기억력이 필요하다.
2. 시각 예민도
말초영역의 시각검사
  • 가격8,4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11.29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25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