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근로기준법 과 근로계약
1. 근로기준법
1) 정 의
2) 7대 원칙
3) 주요내용
4) 적용 사업장
5) 미 적용 사업장
2. 근로계약서
1) 정의 및 작성내용
2) 취업규칙
3) 유의사항
4) 근로시간
1. 근로기준법
1) 정 의
2) 7대 원칙
3) 주요내용
4) 적용 사업장
5) 미 적용 사업장
2. 근로계약서
1) 정의 및 작성내용
2) 취업규칙
3) 유의사항
4) 근로시간
본문내용
근로기준법 과 근로계약
1. 근로기준법
╋━━━━━━━━━━─────────
1) 정의
경제적·사회적으로 약자인 근로자들의 실질적 지위를 보호, 개선하기
위하여 근로조건의 최저 기준을 정한 법
❖ 공포 : 1953년 5월 10일 (시행은 공포 후 90일부터 )
❖ 구성
┌─────────────
│ 제1장 총칙
│ 제2장 근로계약
│ 제3장 임금
│ 제4장 근로시간과 휴식
│ 제5장 여자와 소년
│ 제6장 안전과 보건
│ 제7장 기능습득
│ 제8장 재해보상
│ 제9장 취업규칙
│ 제10장 기숙사
│ 제11장 근로감독관
│ 제12장 벌칙
└─────────────
1. 근로기준법
╋━━━━━━━━━━─────────
1) 정의
❖ 근로자 와 사용자 계약 관계 (근로계약)
1. 근로자 ~ 노동 제공
사용자 ~ 일정한 임금 제공
2. 노동시간
3. 인사 사항
4. 해고 사항
◆ 동등한 지위에서 서로 협의해 결정하는 것이 원칙
◆ 근로기준법에서 정하는 근로조건은 최저기준
◆ 근로기준법보다 노사가 체결한 근로조건이 더 좋은 경우에는
근로기준법을 이유로 노동조건을 낮출 수는 없음
◆ 근로기준법에 규정된 것보다 낮은 수준의 근로계약 내용은 법적 무효
(근로기준법 제20조)
1. 근로기준법
╋━━━━━━━━━━─────────
2) 7대 원칙
1. 최저 근로조건 보장 원칙 (근로기준법 제 3조)
2. 근로조건 대등결정 및 근로조건 준수 원칙
3. 강제근로의 금지 원칙 (근로기준법 제 7조)
4. 폭행의 금지 원칙 (근로기준법 제 8조)
5. 중간 착취 배제 원칙 (근로기준법 제 9조)
6. 차별 대우 금지 원칙 (근로기준법 제 6조)
7. 공민권 행사의 보장 원칙 (근로기준법 제 10조)
1. 근로기준법
╋━━━━━━━━━━─────────
1) 정의
경제적·사회적으로 약자인 근로자들의 실질적 지위를 보호, 개선하기
위하여 근로조건의 최저 기준을 정한 법
❖ 공포 : 1953년 5월 10일 (시행은 공포 후 90일부터 )
❖ 구성
┌─────────────
│ 제1장 총칙
│ 제2장 근로계약
│ 제3장 임금
│ 제4장 근로시간과 휴식
│ 제5장 여자와 소년
│ 제6장 안전과 보건
│ 제7장 기능습득
│ 제8장 재해보상
│ 제9장 취업규칙
│ 제10장 기숙사
│ 제11장 근로감독관
│ 제12장 벌칙
└─────────────
1. 근로기준법
╋━━━━━━━━━━─────────
1) 정의
❖ 근로자 와 사용자 계약 관계 (근로계약)
1. 근로자 ~ 노동 제공
사용자 ~ 일정한 임금 제공
2. 노동시간
3. 인사 사항
4. 해고 사항
◆ 동등한 지위에서 서로 협의해 결정하는 것이 원칙
◆ 근로기준법에서 정하는 근로조건은 최저기준
◆ 근로기준법보다 노사가 체결한 근로조건이 더 좋은 경우에는
근로기준법을 이유로 노동조건을 낮출 수는 없음
◆ 근로기준법에 규정된 것보다 낮은 수준의 근로계약 내용은 법적 무효
(근로기준법 제20조)
1. 근로기준법
╋━━━━━━━━━━─────────
2) 7대 원칙
1. 최저 근로조건 보장 원칙 (근로기준법 제 3조)
2. 근로조건 대등결정 및 근로조건 준수 원칙
3. 강제근로의 금지 원칙 (근로기준법 제 7조)
4. 폭행의 금지 원칙 (근로기준법 제 8조)
5. 중간 착취 배제 원칙 (근로기준법 제 9조)
6. 차별 대우 금지 원칙 (근로기준법 제 6조)
7. 공민권 행사의 보장 원칙 (근로기준법 제 10조)
추천자료
근로기준법상의 퇴직금제도
건설일용직근로자의 법적지위
근로자성 판단의 법적인 문제
근로기준법상 임금의 가산율에 대한 법률문제
파견근로제도의 개념
근로기준법 정리(인사노무 업그레이드)
[비정규직노동자][비정규직근로자][비정규직조직화][비정규직]비정규직노동자(비정규직근로자...
근로자와 사용자의 권리 의무에 대한 법적 검토
특수고용과 고용형태, 특수고용과 근로자의 개념, 특수고용노동자의 근로자성 판결 근거와 판...
외국인근로자 고용실태와 고용체류지원 활성화 방안
[법적 검토, 근로자공급사업]근로자공급사업, 주가연계증권의 법적 검토, 부동산투자신탁제도...
[노사관계론 4공통] 자신이 현재 근무하고 있거나 경험했던 ‘근로조건‘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
근로빈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