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Vroom의 기대이론
1. 개요
2. 기본 전제
3. 기대이론의 5가지 변수
III. Porter와 Lawler의 기대이론
1. 기본관점
2. 동기과정
IV. 기대이론의 특징
1. 보상의 강조
2. 기대되는 행동 강조
V. 기대이론의 평가
II. Vroom의 기대이론
1. 개요
2. 기본 전제
3. 기대이론의 5가지 변수
III. Porter와 Lawler의 기대이론
1. 기본관점
2. 동기과정
IV. 기대이론의 특징
1. 보상의 강조
2. 기대되는 행동 강조
V. 기대이론의 평가
본문내용
받은 보상이 정당 하다고 생각하는 수준 이상이면 개인은 만족할 것이고 그렇지 못하면 불만일 것이다.
IV. 기대이론의 특징
1. 보상의 강조
직원을 동기부여 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들이 원하는 것을 주어야 한다.
보상이 종업원들에게 얼마나 매력적인지를 알아야만 하며 나아가서 종업원이 긍정적인 가 치를 부여하는 것을 보상으로 지급해야 한다.
2. 기대되는 행동 강조
특정 보상을 얻기 위해서는 종업원 자신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또는 자신이 무엇을 기 준으로 평가받게 될 것인지를 분명히 알아야만 효율적인 동기부여가 가능하다. 기대에 초점 을 맞추고 있다. 종업원의 동기부여 수준은 사실여부나 합리성 여부와 관계없이 성과, 보상, 목표만족도에 대한 기대에 의해 결정된다.
V. 기대이론의 평가
기대이론이 전통적 동기이론을 보완하여 설명하는 데 커다란 기여를 한 것은 사실이지만, 앞 장에서 살펴본 성장이론을 설명하는 데는 별로 기여하지 못했다. 물론 Porter와 Lawler의 기대이론에서는 내재적 동기유발의 개념을 수용하고 있지만, 성장이론의 전제가 되는 인간의 내재적 동기유발이 기대이론에서 제시하는 교환적외재적 동기유발과 상충되어진다고 하겠다.
IV. 기대이론의 특징
1. 보상의 강조
직원을 동기부여 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들이 원하는 것을 주어야 한다.
보상이 종업원들에게 얼마나 매력적인지를 알아야만 하며 나아가서 종업원이 긍정적인 가 치를 부여하는 것을 보상으로 지급해야 한다.
2. 기대되는 행동 강조
특정 보상을 얻기 위해서는 종업원 자신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또는 자신이 무엇을 기 준으로 평가받게 될 것인지를 분명히 알아야만 효율적인 동기부여가 가능하다. 기대에 초점 을 맞추고 있다. 종업원의 동기부여 수준은 사실여부나 합리성 여부와 관계없이 성과, 보상, 목표만족도에 대한 기대에 의해 결정된다.
V. 기대이론의 평가
기대이론이 전통적 동기이론을 보완하여 설명하는 데 커다란 기여를 한 것은 사실이지만, 앞 장에서 살펴본 성장이론을 설명하는 데는 별로 기여하지 못했다. 물론 Porter와 Lawler의 기대이론에서는 내재적 동기유발의 개념을 수용하고 있지만, 성장이론의 전제가 되는 인간의 내재적 동기유발이 기대이론에서 제시하는 교환적외재적 동기유발과 상충되어진다고 하겠다.
추천자료
브루너 발견수업(발견학습모형)의 의미와 특성, 브루너 발견수업(발견학습모형)의 이론적 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성숙이론과 구성주의 이론의 배경, 기본전제, 대표적 이론가의 주...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D형] 행동발달에 대한 인본주의 입장과 매슬로(A. Maslow)이론의 특징...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구성주의이론과 문화맥락주의이론의 배경기본전제(영유아프로그램...
[인간행동과사회환경 A형]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Logers)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E형]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Rogers)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장단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E형]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Rogers)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C형]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