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1. 태백산맥, 그리고 지역의 특성
2. 태백 산간 지역의 민가
3. 여칸집, 그리고 봉당
4. 결론
2. 태백 산간 지역의 민가
3. 여칸집, 그리고 봉당
4. 결론
본문내용
태백 산간 지역의 민가, 여칸집과 봉당 중심으로
태백산맥의 지형적 특성
╋━━━━━━━━━━────────
-태백산맥?
길이 600km. 해발고도 800~1,000m.
동해안을 따라 낙동강 하구의 다대포 부근까지 이르는 산맥으로 한국에서 가장 긴 남북주향의 산맥.
≪ 지 도 ≫
태백산맥의 지형적 특성
╋━━━━━━━━━━────────
-자연환경의 특성
산세가 험하고, 계곡이 깊어 일조시간이 짧으며 겨울이 길다. 겨울철에는 강설량이 많아 때때로 교통이 두절되기도 하고 며칠씩 고립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지리적으로는 경북내륙 산악지역에 속해있고 기후적으로는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동위도의 다른 지역에 비해 기온도 낮고, 한서의 차가 비교적 심한 지역. 경작할 수 있는 토지가 부족하고 암반이나 돌이 많이 섞인 암쇄토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토양이 척박.
≪ 지 도 ≫
이러한 풍토적인 배경은 어쩔 수 없이 그들의 생업 형태와 주거 형태까지
규정하게 했다.
태백 산간 지역의 민가
태백 산간 지역의 민가
╋━━━━━━━━━━────────
<특징>
대체로 부속채가 발달되지 못하고,
모든 주거 공간이 몸체에 집중되는
평면형.
즉, 민가의 기본적인 부속 공간이 몸체에 통합되는 경향.
태백산맥의 지형적 특성
╋━━━━━━━━━━────────
-태백산맥?
길이 600km. 해발고도 800~1,000m.
동해안을 따라 낙동강 하구의 다대포 부근까지 이르는 산맥으로 한국에서 가장 긴 남북주향의 산맥.
≪ 지 도 ≫
태백산맥의 지형적 특성
╋━━━━━━━━━━────────
-자연환경의 특성
산세가 험하고, 계곡이 깊어 일조시간이 짧으며 겨울이 길다. 겨울철에는 강설량이 많아 때때로 교통이 두절되기도 하고 며칠씩 고립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지리적으로는 경북내륙 산악지역에 속해있고 기후적으로는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동위도의 다른 지역에 비해 기온도 낮고, 한서의 차가 비교적 심한 지역. 경작할 수 있는 토지가 부족하고 암반이나 돌이 많이 섞인 암쇄토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토양이 척박.
≪ 지 도 ≫
이러한 풍토적인 배경은 어쩔 수 없이 그들의 생업 형태와 주거 형태까지
규정하게 했다.
태백 산간 지역의 민가
태백 산간 지역의 민가
╋━━━━━━━━━━────────
<특징>
대체로 부속채가 발달되지 못하고,
모든 주거 공간이 몸체에 집중되는
평면형.
즉, 민가의 기본적인 부속 공간이 몸체에 통합되는 경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