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백 산간 지역의 민가, 여칸집과 봉당 중심으로
태백산맥의 지형적 특성
╋━━━━━━━━━━────────
-태백산맥?
길이 600km. 해발고도 800~1,000m.
동해안을 따라 낙동강 하구의 다대포 부근까지 이르는 산맥으
|
- 페이지 3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1.2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태백 산지에서 약 80여 년 전 개척민의 정착과 함께 전파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우데기는 이들 울릉도 민가에 딸린 독특한 방설, 방우, 방풍 설비이다. 지붕의 안쪽에 여러 개의 기둥을 집 주위에 세우고 새(억새)로 이엉을 엮어 출입구를 제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3.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역 구분
① 강유역-낙동강, 섬진강 부근, 김해, 안동, 구미 등
② 산간지역-태백산맥지역, 개마고원 지역
③ 해안과 섬-동해, 서해, 남해, 울릉 도, 제주도, 독도 등
이 세 가지 범주 중 학생들이 한 가 지를 선택하여 학습정보를 수집하고 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3.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가는 평면구성을 기준으로 양통집 또는 겹집, 외통집으로 나눌 수 있다.
- 양통집은 18세기를 지나 19세기로 가면서 크게 줄어들었다.
채광이 좋고 외부와의 연결이 쉬운 외통집으로 대체되기 시작함.
- 양통집 또는 겹집의 경우 산간지역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겹집은 대들보 아래 방을 두 줄로 배치한 유형으로 관북지방, 태백산지, 소백 산지의 양 사면 등 주로 산간지역에 분포하며 제주도, 변산반도에도 약간 나타난다
홑집은 대들보 아래 방이 한 줄로 배치된 가옥을 말하며, 주로 서부와 남부 지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0.07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