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서론
-본론
1.원인
①학습자의 동기적 측면
②가정적 측면
③교사-학생 측면
④사회적 측면
2.이미 알고 있는 사실
①학습자의 동기적 측면
②가정적 측면
③교사-학생 측면
④사회적 측면
3.구체적 방법
①학습자의 동기적 측면
②가정적 측면
③교사-학생 측면
④사회적 측면
-결론
-본론
1.원인
①학습자의 동기적 측면
②가정적 측면
③교사-학생 측면
④사회적 측면
2.이미 알고 있는 사실
①학습자의 동기적 측면
②가정적 측면
③교사-학생 측면
④사회적 측면
3.구체적 방법
①학습자의 동기적 측면
②가정적 측면
③교사-학생 측면
④사회적 측면
-결론
본문내용
자유, 진보, 해방, 보편성을 지배계급의 폭력 수단으로 매도하고 해체를 주장하게 된다.
3.구체적 계획
공교육 비판론에서 제시하는 대안들은 한국교육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는가? 먼저, 낭만주의의 소규모학교, 개방교실, 자유학교는 학교체제의 변화를, 일리치와라이머의 ‘학습을 위한 조직망’ 구성은 학교체제의 폐지를 주장하는 것이다. 한국교육 현실에서 모든 학교제도가 자유학교로, 개방교실로, 또는 ‘학습조직망’으로 대체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현실성이 부족하지만 공교육시스템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거대규모의 학교, 입시위주의 획일화된 교육 속에서 만연된 학교교육의 위기를 풀 수 있는 해법 중의 하나는 보다 자유롭고 학생들의 개성이 인정되는, 그러면서도 인간적인 정이 있는 학교로의 변화일 것이다. 오늘날 소규모 학교와 자유학교는 학교교육에서 소외된 학생이나 개성이 강한 학생들을 위한 대안학교 형태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학교를 공교육시스템 내에서 부분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좋은 대안점이 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한국교육은 대안학교나 홈스쿨링이 공교육체제 내에 수용되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결론
우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현상을 토대로 이론적 내용들을 뒷받침하여 조사하고 그에 따라 해결책을 연구해보았다. 교실, 학교붕괴의 원인에는 다양한 사회적 요소, 환경적 요소가 있었고 각각의 주체와 이해관계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보았다.
첫째, 교실, 학교붕괴의 원인으로 학습자의 동기부족을 들고 동기유발을 위해 교사가 할 수 있는 교수방법 등을 알아보았다. 먼저 수업 전에는 사전에 동기유발과 관련된 다양한 심리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내재적 동기를 본인이 표면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한다. 또한 수업 시에는 교사가 전체를 주도하지 말고 학습자로 하여금 참여를 유도시키고 성취감을 높이도록 다양한 수업형식을 이용한다. 특히 수업 시에는 외재적 동기 유발을 통해 학습에 관심이 없고 산만한 학생들의 주위를 이끌도록 한다. 수업 후에는 관심도가 낮아지지 않도록 긍정적인 평가를 하도록 한다.
둘째, 가정적 측면에서는 가정교육의 부재가 교실, 학교 붕괴의 직, 간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 교사의 가정환경 파악, 관리 등을 통해 해결 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한 방법으로는 가정환경이 바람직하고 가정교육의 원활함을 위해 부모들에게 가정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또한 MMTIC와 같은 학습자의 심리 유형을 알 수 있는 심리 검사를 이용하여 부모들에게 자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교사는 이러한 심리검사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 개개인의 심리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교수 방법이나 생활 태도 지도에 이용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심리검사는 단지 현재의 학습자의 상태만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성장 발달을 돕는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
셋째, 교사-학생 측면에서 교사의 학생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과 교사와 학생들 간의 괴리감으로 인한 단절을 원인으로 꼽고 이에 따라 먼저 학생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인드맵을 통해 직접적인 상담을 통해 말하기 어려운 학생들의 심리상태를 파악하고 행동유형 진단 프로그램인 DISC 심리검사를 이용하여 이를 토대로 학생들을 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성주의에 입각한 교수방법을 통해 학생들이 단순한 수업의 수용자가 아닌 주체 자가 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구성주의에 입각한 교수방법은 학생 동기적 측면에서 학생의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제시했던 교수방법과 연결되어지는 점이다.
넷째, 오늘날의 교실, 학교붕괴는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교육정책과 맞물려 일어났다. 또한 사회가 발전하고 개방화 됨에 따라 학생들은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그를 통해 세상을 인지하고 자신들의 문화를 만들어 나간다. 이에 따라 다양한 매체의 영향력이 그 어느때 보다 크다. 특히 자주 변화하는 교육정책에 학생들이 공교육을 불신하고 사교육을 맹신하는 현상을 촉진시키고 결국 학교안의 지식은 아무 쓸모 없는 것이라고 여기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에 우리는 획일적 주입식의 교육 보다는 대안 교육을 마련하여 소규모학교와 자유 학교를 통해 학습자의 다양해진 개성, 학습관을 반영하여 좀더 효율적인 학교생활을 이루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보았다.
지금까지 우리는 교실, 학교 붕괴의 원인과 그에 따른 이론을 공부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인식하고는 있었지만 또 사회적 문제일 정도로 심각함도 알고 있었으나 남의 일인 듯 별다르게 생각해 보지 않았던 문제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 조원들은 막연하게만 알고 있던 구체적인 현실 상황에 대해 한 걸음 더 자세히 알 수 있었고 나름대로 서로 각각의 원인을 들고 자신들이 교사였을 상황을 생각하며 좀 더 효과적인 방안을 생각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과제를 끝내면서도 아쉽고 뭔가 부족한 마음이 드는 것은 다양한 원인을 거시안 적으로 접근하여 하나하나 해결해나가느라 더욱 자세하게 접근하지 못한 문제가 있는 탓 일것이다. 그러나 우리 조원들은 이번 연구로 교실, 학급붕괴 해결의 열쇠는 교사에게 있다는 생각이다. 학습자를 교육하고 학급을 운영하는 사람으로 교사에 따라 학생의 동기유발 정도도 달라질 수 있고 가정환경, 교육이 달라질 수도 있다. 물론 교육 제도적으로 혹은 사회적으로 그러한 분위기를 밑받침해야 하겠지만 교사는 누구보다 학습자를 생각하고 끊임없이 연구해야 한다.
참고 문헌
정종진 저. 학교 학습과 동기
김정휘 외. (교육심리학). 원미사. 2002
한인영 외. (학교와 사회복지). 학문사. 1997
황윤한(1996). 교수·학습 방법의 패러다임적 전환 모색: 객관주의 육에서 구성주의 교육으로. 한국교육(한국교육개발원
김천기 ‘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
http://www.kyungnam.ac.kr/wjkim/subject/essay/교실붕괴.hwp
http://cyber.kangnam.ac.kr/kangnamuniv/pdf/kang0034.PDF
http://www.happyjacob.net/
http://www.idisc.co.kr/
3.구체적 계획
공교육 비판론에서 제시하는 대안들은 한국교육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는가? 먼저, 낭만주의의 소규모학교, 개방교실, 자유학교는 학교체제의 변화를, 일리치와라이머의 ‘학습을 위한 조직망’ 구성은 학교체제의 폐지를 주장하는 것이다. 한국교육 현실에서 모든 학교제도가 자유학교로, 개방교실로, 또는 ‘학습조직망’으로 대체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현실성이 부족하지만 공교육시스템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거대규모의 학교, 입시위주의 획일화된 교육 속에서 만연된 학교교육의 위기를 풀 수 있는 해법 중의 하나는 보다 자유롭고 학생들의 개성이 인정되는, 그러면서도 인간적인 정이 있는 학교로의 변화일 것이다. 오늘날 소규모 학교와 자유학교는 학교교육에서 소외된 학생이나 개성이 강한 학생들을 위한 대안학교 형태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학교를 공교육시스템 내에서 부분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좋은 대안점이 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한국교육은 대안학교나 홈스쿨링이 공교육체제 내에 수용되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결론
우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현상을 토대로 이론적 내용들을 뒷받침하여 조사하고 그에 따라 해결책을 연구해보았다. 교실, 학교붕괴의 원인에는 다양한 사회적 요소, 환경적 요소가 있었고 각각의 주체와 이해관계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보았다.
첫째, 교실, 학교붕괴의 원인으로 학습자의 동기부족을 들고 동기유발을 위해 교사가 할 수 있는 교수방법 등을 알아보았다. 먼저 수업 전에는 사전에 동기유발과 관련된 다양한 심리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내재적 동기를 본인이 표면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한다. 또한 수업 시에는 교사가 전체를 주도하지 말고 학습자로 하여금 참여를 유도시키고 성취감을 높이도록 다양한 수업형식을 이용한다. 특히 수업 시에는 외재적 동기 유발을 통해 학습에 관심이 없고 산만한 학생들의 주위를 이끌도록 한다. 수업 후에는 관심도가 낮아지지 않도록 긍정적인 평가를 하도록 한다.
둘째, 가정적 측면에서는 가정교육의 부재가 교실, 학교 붕괴의 직, 간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 교사의 가정환경 파악, 관리 등을 통해 해결 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한 방법으로는 가정환경이 바람직하고 가정교육의 원활함을 위해 부모들에게 가정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또한 MMTIC와 같은 학습자의 심리 유형을 알 수 있는 심리 검사를 이용하여 부모들에게 자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교사는 이러한 심리검사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 개개인의 심리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교수 방법이나 생활 태도 지도에 이용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심리검사는 단지 현재의 학습자의 상태만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성장 발달을 돕는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
셋째, 교사-학생 측면에서 교사의 학생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과 교사와 학생들 간의 괴리감으로 인한 단절을 원인으로 꼽고 이에 따라 먼저 학생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인드맵을 통해 직접적인 상담을 통해 말하기 어려운 학생들의 심리상태를 파악하고 행동유형 진단 프로그램인 DISC 심리검사를 이용하여 이를 토대로 학생들을 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성주의에 입각한 교수방법을 통해 학생들이 단순한 수업의 수용자가 아닌 주체 자가 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구성주의에 입각한 교수방법은 학생 동기적 측면에서 학생의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제시했던 교수방법과 연결되어지는 점이다.
넷째, 오늘날의 교실, 학교붕괴는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교육정책과 맞물려 일어났다. 또한 사회가 발전하고 개방화 됨에 따라 학생들은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그를 통해 세상을 인지하고 자신들의 문화를 만들어 나간다. 이에 따라 다양한 매체의 영향력이 그 어느때 보다 크다. 특히 자주 변화하는 교육정책에 학생들이 공교육을 불신하고 사교육을 맹신하는 현상을 촉진시키고 결국 학교안의 지식은 아무 쓸모 없는 것이라고 여기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에 우리는 획일적 주입식의 교육 보다는 대안 교육을 마련하여 소규모학교와 자유 학교를 통해 학습자의 다양해진 개성, 학습관을 반영하여 좀더 효율적인 학교생활을 이루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보았다.
지금까지 우리는 교실, 학교 붕괴의 원인과 그에 따른 이론을 공부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인식하고는 있었지만 또 사회적 문제일 정도로 심각함도 알고 있었으나 남의 일인 듯 별다르게 생각해 보지 않았던 문제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 조원들은 막연하게만 알고 있던 구체적인 현실 상황에 대해 한 걸음 더 자세히 알 수 있었고 나름대로 서로 각각의 원인을 들고 자신들이 교사였을 상황을 생각하며 좀 더 효과적인 방안을 생각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과제를 끝내면서도 아쉽고 뭔가 부족한 마음이 드는 것은 다양한 원인을 거시안 적으로 접근하여 하나하나 해결해나가느라 더욱 자세하게 접근하지 못한 문제가 있는 탓 일것이다. 그러나 우리 조원들은 이번 연구로 교실, 학급붕괴 해결의 열쇠는 교사에게 있다는 생각이다. 학습자를 교육하고 학급을 운영하는 사람으로 교사에 따라 학생의 동기유발 정도도 달라질 수 있고 가정환경, 교육이 달라질 수도 있다. 물론 교육 제도적으로 혹은 사회적으로 그러한 분위기를 밑받침해야 하겠지만 교사는 누구보다 학습자를 생각하고 끊임없이 연구해야 한다.
참고 문헌
정종진 저. 학교 학습과 동기
김정휘 외. (교육심리학). 원미사. 2002
한인영 외. (학교와 사회복지). 학문사. 1997
황윤한(1996). 교수·학습 방법의 패러다임적 전환 모색: 객관주의 육에서 구성주의 교육으로. 한국교육(한국교육개발원
김천기 ‘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
http://www.kyungnam.ac.kr/wjkim/subject/essay/교실붕괴.hwp
http://cyber.kangnam.ac.kr/kangnamuniv/pdf/kang0034.PDF
http://www.happyjacob.net/
http://www.idisc.co.kr/
추천자료
공교육붕괴와 사회적파장과 그 대안점에 관하여
학급붕괴
교권붕괴 문제 및 해결방안
[교실수업개선]교실수업개선의 개념, 교실수업개선의 기반, 교실수업개선 ICT활용교육, 교실...
[교실수업개선,장학활동,놀이활동]교실수업개선의 정의, 교실수업개선의 조건, 교실수업개선...
[교실수업]교실수업의 목표, 교실수업의 방법, 교실수업의 영어교육, 교실수업의 인터넷활용...
[교실환경,학급환경,교육,수업,학습]교실환경(학급환경)의 심리이론과 교실환경(학급환경)의 ...
[교실수업개선][교실수업]교실수업개선의 목적, 교실수업개선의 조건과 교실수업개선을 위한 ...
교과교실(교과교실제, 교과교육실) 유형, 교과교실(교과교실제, 교과교육실) 필요성, 교과교...
[교실수업개선][교실수업][교실][학급]교실수업개선의 의미, 교실수업개선의 필요성, 생각을 ...
교실수업개선의 정의, 교실수업개선의 필요성, 교실수업개선을 위한 수준별보충학습과 장학활...
교과교실(교과교육실, 교과교실제) 종류, 교과교실(교과교육실, 교과교실제) 특성, 교과교실(...
[발명공작교실]발명공작교실의 정의, 발명공작교실의 성격, 발명공작교실의 현황, 발명공작교...
최근 공교육 붕괴에 대한 우려를 많이 하는데 사회교육학이론(기능이론, 갈등이론, 해석학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