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구운몽
Ⅰ. 접근 시각
Ⅱ. 소설공간으로서 연화도장과 꿈속세계
1. 이념적 이상 공간 연화도장
2. 낭만적 이상 공간 세속세계
III. 단초(端初)적인 허구적 영웅 양소유
IV. 낭만적 애정갈등을 매개로 한 다층적 여성상
1. 진채봉
2. 계섬월
3. 가춘운
4. 정경패, 이소화
5. 적경홍, 백능파, 심요연
Ⅴ. 조선 후기 소설사의 흐름에서 본 <구운몽>의 위상
Ⅰ. 접근 시각
Ⅱ. 소설공간으로서 연화도장과 꿈속세계
1. 이념적 이상 공간 연화도장
2. 낭만적 이상 공간 세속세계
III. 단초(端初)적인 허구적 영웅 양소유
IV. 낭만적 애정갈등을 매개로 한 다층적 여성상
1. 진채봉
2. 계섬월
3. 가춘운
4. 정경패, 이소화
5. 적경홍, 백능파, 심요연
Ⅴ. 조선 후기 소설사의 흐름에서 본 <구운몽>의 위상
본문내용
>로 전형화 하는 한편, 남성주인공의 낭만적인 입공담과 애정담은 전대의 사실적인 애정소설 모티프와 결합하여 <구운몽>으로 형상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사씨남정기>는 규방소설적 갈등의 핵심에 해당하는 처첩간의 문제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사실성 및 구성의 통일성을 획득할 수 있었던 한편, <구운몽>은 남성주인공의 수난 및 입공담의 낭만적인 구성 방식을 취하여 전대의 비극적 애정소설의 구조를 낭만적인 형태로 탈바꿈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보았을 때 <구운몽>은 17세기 초중반의 단초적인 소설사의 흐름을 확장하여, 보다 광범위한 소설 향유층에 의해 소설이 향유되는 18세기 이후의 소설사적 흐름을 여는 분수령적 작품이라 평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17세기의 사실적 한문 애정소설과 민중적 영웅소설, 그리고 부녀층의 흐름을 흡수하여 허구적 영웅소설, 민중적 애정소설 등으로 나타나는 18세기 이후 소설사 흐름의 강줄기들을 형성시킨 커다란 호수와도 같은 작품이라 생각된다.
또한 <구운몽>은 사대부 부녀자들이 단권짜리 저속한 소설인 ‘전책’이나 읽고 있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고 여긴 김만중이 격상된 소설을 만들어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격상된 소설은 길이가 더 길고 품격이 높다고 하여 ‘녹책’으로 일컬어졌는데, <구운몽>은 전책이 녹책을 나아가는 길을 연 것이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2005
전책 - 단권짜리 소설. 인물의 생애를 다룸.
녹책 - 여러 권으로 늘어남. 분량이 늘어나고 다루는 사건이 복잡해짐.
주인공과 다른 여러 인물의 관련이 다각화 됨. (우아한 문체, 세밀한 묘사)
<사씨남정기>는 규방소설적 갈등의 핵심에 해당하는 처첩간의 문제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사실성 및 구성의 통일성을 획득할 수 있었던 한편, <구운몽>은 남성주인공의 수난 및 입공담의 낭만적인 구성 방식을 취하여 전대의 비극적 애정소설의 구조를 낭만적인 형태로 탈바꿈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보았을 때 <구운몽>은 17세기 초중반의 단초적인 소설사의 흐름을 확장하여, 보다 광범위한 소설 향유층에 의해 소설이 향유되는 18세기 이후의 소설사적 흐름을 여는 분수령적 작품이라 평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17세기의 사실적 한문 애정소설과 민중적 영웅소설, 그리고 부녀층의 흐름을 흡수하여 허구적 영웅소설, 민중적 애정소설 등으로 나타나는 18세기 이후 소설사 흐름의 강줄기들을 형성시킨 커다란 호수와도 같은 작품이라 생각된다.
또한 <구운몽>은 사대부 부녀자들이 단권짜리 저속한 소설인 ‘전책’이나 읽고 있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고 여긴 김만중이 격상된 소설을 만들어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격상된 소설은 길이가 더 길고 품격이 높다고 하여 ‘녹책’으로 일컬어졌는데, <구운몽>은 전책이 녹책을 나아가는 길을 연 것이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2005
전책 - 단권짜리 소설. 인물의 생애를 다룸.
녹책 - 여러 권으로 늘어남. 분량이 늘어나고 다루는 사건이 복잡해짐.
주인공과 다른 여러 인물의 관련이 다각화 됨. (우아한 문체, 세밀한 묘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