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몽 (九雲夢)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운몽 (九雲夢)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구운몽



Ⅰ. 접근 시각

Ⅱ. 소설공간으로서 연화도장과 꿈속세계
 1. 이념적 이상 공간 연화도장
 2. 낭만적 이상 공간 세속세계

III. 단초(端初)적인 허구적 영웅 양소유

IV. 낭만적 애정갈등을 매개로 한 다층적 여성상
 1. 진채봉
 2. 계섬월
 3. 가춘운
 4. 정경패, 이소화
 5. 적경홍, 백능파, 심요연

Ⅴ. 조선 후기 소설사의 흐름에서 본 <구운몽>의 위상

본문내용

>로 전형화 하는 한편, 남성주인공의 낭만적인 입공담과 애정담은 전대의 사실적인 애정소설 모티프와 결합하여 <구운몽>으로 형상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사씨남정기>는 규방소설적 갈등의 핵심에 해당하는 처첩간의 문제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사실성 및 구성의 통일성을 획득할 수 있었던 한편, <구운몽>은 남성주인공의 수난 및 입공담의 낭만적인 구성 방식을 취하여 전대의 비극적 애정소설의 구조를 낭만적인 형태로 탈바꿈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보았을 때 <구운몽>은 17세기 초중반의 단초적인 소설사의 흐름을 확장하여, 보다 광범위한 소설 향유층에 의해 소설이 향유되는 18세기 이후의 소설사적 흐름을 여는 분수령적 작품이라 평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17세기의 사실적 한문 애정소설과 민중적 영웅소설, 그리고 부녀층의 흐름을 흡수하여 허구적 영웅소설, 민중적 애정소설 등으로 나타나는 18세기 이후 소설사 흐름의 강줄기들을 형성시킨 커다란 호수와도 같은 작품이라 생각된다.
또한 <구운몽>은 사대부 부녀자들이 단권짜리 저속한 소설인 ‘전책’이나 읽고 있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고 여긴 김만중이 격상된 소설을 만들어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격상된 소설은 길이가 더 길고 품격이 높다고 하여 ‘녹책’으로 일컬어졌는데, <구운몽>은 전책이 녹책을 나아가는 길을 연 것이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2005
전책 - 단권짜리 소설. 인물의 생애를 다룸.
녹책 - 여러 권으로 늘어남. 분량이 늘어나고 다루는 사건이 복잡해짐.
주인공과 다른 여러 인물의 관련이 다각화 됨. (우아한 문체, 세밀한 묘사)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2.17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12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