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알 수 있는 작품이다.
3) 특징
홍문관 교리로 있다가 함경도 명천으로 귀양갔을 때의 일을 읊은 가사로 귀양살이의 고통보다는 풍류를 즐긴 내용을 담고 있다. 그가 유객으로 토후의 집을 얻어 수령의 후대를 받았고 청학해 온 육십여 명과 더불어 음풍명월로 소일하는 가운데 애인 군산월을 만나 호사로운 생활을 한 것은 또 다른 유배가사인 만언사의 작가가 유배지에서 온갖 고초를 겪는 것과 좋은 대조를 이루고 있다. <북천가>와 더불어 유배가사의 쌍벽을 이루고 있는 안조환의 <만언사>가 주로 유배생활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면서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과 그리움을 표현한 데 비해 <북천가>는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령을 받은 신세, 북관 수령의 융숭한 대접과 경치구경, 기생과의 사랑, 북관에서 유배지까지 가는 과정, 명천에 도착하자마자 방면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과정 등을 그리고 있는 유배기행가사이다. 가사 내용에도 귀양을 가게 된 사정에 대해서도 별로 해명하지 않았으며 뉘우치는 말은 몇 마디 정도이다. 명천 본관의 ‘죄 없이 오는 귀양’이라는 말을 넣음으로 본인 역시 반성보다는 억울함에 더 비중을 두고 있는 것 같다. 좋은 구경을 하다가 이름난 기생을 만나 마음껏 즐긴 행적을 늘어놓아 흥미거리를 찾는 독자에게 상당한 인기를 끌었으며 경상도 안동 일대의 규방가사로 수용되어 애정소설의 구실을 하기도 했다. 이는 <북천가>에 대한 규방의 향유와 관심은 가문에 대한 긍지, 남성의 세게에 대한 호기심, 구리고 기생과의 사랑 이야기에 대한 흥미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3) 특징
홍문관 교리로 있다가 함경도 명천으로 귀양갔을 때의 일을 읊은 가사로 귀양살이의 고통보다는 풍류를 즐긴 내용을 담고 있다. 그가 유객으로 토후의 집을 얻어 수령의 후대를 받았고 청학해 온 육십여 명과 더불어 음풍명월로 소일하는 가운데 애인 군산월을 만나 호사로운 생활을 한 것은 또 다른 유배가사인 만언사의 작가가 유배지에서 온갖 고초를 겪는 것과 좋은 대조를 이루고 있다. <북천가>와 더불어 유배가사의 쌍벽을 이루고 있는 안조환의 <만언사>가 주로 유배생활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면서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과 그리움을 표현한 데 비해 <북천가>는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령을 받은 신세, 북관 수령의 융숭한 대접과 경치구경, 기생과의 사랑, 북관에서 유배지까지 가는 과정, 명천에 도착하자마자 방면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과정 등을 그리고 있는 유배기행가사이다. 가사 내용에도 귀양을 가게 된 사정에 대해서도 별로 해명하지 않았으며 뉘우치는 말은 몇 마디 정도이다. 명천 본관의 ‘죄 없이 오는 귀양’이라는 말을 넣음으로 본인 역시 반성보다는 억울함에 더 비중을 두고 있는 것 같다. 좋은 구경을 하다가 이름난 기생을 만나 마음껏 즐긴 행적을 늘어놓아 흥미거리를 찾는 독자에게 상당한 인기를 끌었으며 경상도 안동 일대의 규방가사로 수용되어 애정소설의 구실을 하기도 했다. 이는 <북천가>에 대한 규방의 향유와 관심은 가문에 대한 긍지, 남성의 세게에 대한 호기심, 구리고 기생과의 사랑 이야기에 대한 흥미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