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온돌, 우리[한국인]에게 미친 영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 온돌, 우리[한국인]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기

온돌, 한국 주거문화의 모든 것

한국인의 삶을 결정한 온돌

온돌의 재평가

본문내용

■ 들어가기
▲ 바뀌지 않는 난방 방식, 온돌
지난 50여 년 동안 우리의 주택 양식은 크게 바뀌었습니다. 초가집이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바뀌고 화장실이 수세식으로 바뀌고 부엌도 서서 일할 수 있는 입식 구조로 바뀌었다. 장작으로 불을 피우던 아궁이도 석유나 가스를 사용하는 보일러로 바뀌었다. 그런데 이 엄청난 변화 속에서도 우리의 집 안에는 바뀌지 않은 것이 한 가지 있다. 방바닥을 데워 방 안을 덥히는 난방 방식, 온돌이 그 주인공이다.
온돌은 고구려 사람들이 처음 만들었다. 고구려는 삼국 가운데 가장 북쪽에 있던 터라 겨울이 몹시 춥고 길었다. 그런데 고구려의 온돌은 지금의 온돌과는 모양과 많이 달라 지금의 온돌은 방바닥 전체에 구들이 깔려 있지만, 고구려 사람들은 방 한쪽 벽에 일자 모양으로 구들을 깔거나 벽을 따라가면 ‘ㄱ’자 모양으로 구들을 깔았다. 그리고 집안이나 집밖에 마련된 아궁이에 불을 피워 구들을 데우고 그 위에 누워 잠을 잤다. 그 뒤 온돌은 남쪽 지방으로 전해져 고려 시대를 거치면서 우리 나라 전역으로 퍼져 나가게 되었다. 그러면서 구들을 까는 넓이도 차츰 넓어져서, 조선 후기가 되자 방바닥 전체에 구들을 깐 온돌방이 나타나게 되었다.

키워드

건축,   온돌,   우리,   한국인
  • 가격2,8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3.03.12
  • 저작시기2013.2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8333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