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와 진행을 진단.
▲ 동맥경화, 급성심근경색, 뇌경색, 당뇨병이나 신증후군
▼ 신장장애, 뇌혈전, 폐결핵, 갑상선 기능 항진증
T-
bill
0.68
0.1~1.0
㎎/㎗
▲ 후천성 황달, 간전성 황달, 포합 빌리루빈의 배설장애
▼ 용혈성 빈혈
(3) 면역혈청
CRP
38.92
<0.375mg/dl
CRP검사는 염증성 질환, 조직의 손상, 감염등을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HBsAg/Ab
(+)/<0.10
<1.0 mlU/mL = NEGATIVE
>1.0 mlU/mL = POSITIVE
B형 간염을 일으키는 HBV는 세 가지의 항원 형태가 알려져 있다. 이 중 surface Ag인 s Ag은 다른 항원에 비해 양이 많고, 가장 먼저 검출되는 항원으로 알려져 있다. 이 항원의 양성은 현재와 과거에 감염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성의 경우에는 다른 검사에 비해 명확하지 않으며 단독 검사로 보인자를 검색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HBV는 DNA virus로 때때로 간암으로 발전을 시킬 수도 있는데 그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 HBV의 검사는 초기 발견 뿐만 아니라 치료에 의한 경과를 추이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주사처방
1. Cetriaxone 0.59/vial
▶ 350mg sig IV q 12hr
- 폐렴, 기관지염 등 호흡기계 감염증
- 이비인후과 감염증
- 신장 및 요로감염증, 임질 등 생식기 감염증
- 패혈증
- 수술 전후 감염예방
- 골 및 관절 감염증
- 피부, 상처 및 연조직감염증
- 복막염, 담낭염, 담관염 등 위장관감염증
- 면역기능저하 환자의 감염증
- 수막염
2.Trizele 500mg/vial
▶ 100mg sig IV q 8hr
1. 유효균종
혐기성균 : 박테로이드(특히 박테로이드 프라질리스), 푸소박테륨, 유박테륨, 클로스트리듐, 혐기성 스트렙토콕쿠스
2. 적응증
1) 혐기성균 감염증 : 패혈증 및 균혈증, 뇌농양, 괴저성 폐렴, 골수염, 산욕기 패혈증, 골반농양, 골반 연조직염, 수술 후 창상감염증
2) 혐기성균(특히 박테로이드, 혐기성 스트렙토콕쿠스)에 의한 수술 후 감염의 예방
투약처방/
효능
1. Codenal Syrup/ ml(삼아)
기침, 가래
2. MUCOSOL 8mg/Tab(부광)
급ㆍ만성기관지염, 폐결핵,
진폐증, 수술 후 기관지 확장증
3. Plokon 30mg/T(영진)
소양성 피부질환(습진ㆍ피부염, 피부소양증, 소아스트로플루스, 약진, 중독진, 다형성 삼출성 홍반), 두드러기, 알레르기성 비염, 코감기로 인한 재채기ㆍ콧물ㆍ기침
Meptin 25mcg/tab
다음 질환의 기도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 증상의 완화 :
기관지천식, 급,만성기관지염, 폐기종, 천식성기관지염
Varidase tab (SK)
다음 질환 및 증상의 염증성 부종의 완화 : 수술 및 외상후, 부비동염, 혈전정맥염
2. 호흡기 질환에 수반하는 담객출 곤란
Coughsti syr/ml(한미)
만성 염증성 기관지 질환의 증상 개선, 기침을 동반한 호흡기의 급성 염증 완화
Brufen 4ml
류마티양 관절염, 연소성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요통, 월경곤란증, 수술후 동통
Nebulizer
Ventoline Respiratory soln 0.6%
중증의 급성천식(천식지속상태의 치료), 통상요법으로 효과가 없는 만성기관지 경련의 처치
④ 기능적 건강양상
입원동기 및 현재증상
처음엔 고열과 구토로 인해 응급실로 이동, AGE와 pneumonia 진단 받고 입원
현재 증상은 의료인과 의료행위에 대한 두려움,
금식으로 인한 지친 상태
수술 후 배출되지 않는 가래로 인한 호흡 시 칼칼한 소리
평소 앓던 아토피가 심해진 상태
과거에 입원한 경험
2011. 08 pneumonia nepatitis
2009. Lt scrotal swelling 이 있어 herniorrhaphy OP
가정에서 복용하는 약
이유
없음
기간
없음
부작용 유무
없음
⑤ 간호진단
건 강
주관적
“애기 목에서 가래소리가 나요”
객관적
기침, 가래 있음
숨 쉴 때 콸콸한 숨소리
간호진단
기관지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간호목표
기관지분비물 양을 감소시킨다.
간호계획
1. 가습한 환경을 제공한다.
2. Chest pressure을 실시한다.
3. 물을 많이 마시도록 교육한다.
4. 등을 두드려주도록 교육한다.
5. 기침하여 객담을 배출하도록 한다.
간호수행
1. 등을 자주 두드려줌
2. V/S시 호흡측정
3. Nebulizer 호흡기치료
4. 기침과 호흡법 교육 & 격려
5. 아침 저녁으로 suction
건 강
주관적
“수술하고 나서 다음날까지 금식을 해야 한대요”
객관적
금식 중
간호진단
금식과 구토와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간호목표
수분섭취량이 배설량보다 적다
간호계획
1. 비경구적 수액을 처방대로 공급하고 모니터한다.
2. 수분섭취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상자의 기호음료를 제공한다.
3. 음료를 대상자의 손이 닿을 만한 곳에 놓고 마시도록 격려한다.
4. 섭취와 배설을 정확하게 기록한다.
간호수행
1. 수분섭취를 권장하는 교육함
2. 섭취와 배설을 정확하게 기록하도록 교육한다.
3. 처방된 약을 투약하고 효과를 모니터한다.
건 강
주관적
“어제부터 열이 계속 났었어요”
객관적
V/S T 38℃ 측정
간호진단
염증진행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체온이 정상범위 내에 있다.
간호계획
1. 활력증후를 측정한다.
2.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한다.
3. 시원하게 해준다.
4.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5. 처방된 수액을 주입한다.
이론적 근거 : 탈수로 인하여 상실된 수분을 보충하고 충분한 순환혈액량을 유지하기 위해
간호수행
1. 30분 마다 활력증후를 체크함.
2. 열이 잘 떨어지지않을 경우p.r.n해열제를투약함.
3.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아줌.
4. 하루의 물의 양을 체크함.
5. 처방된 수액을 주입함.
* 참고문헌
① 성인간호학(하) 2011 전시자 외 9인 현문사 서울
② 아동간호학 , 김영혜 외, 현문사
③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김강미자 외 11인 현문사
④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 동맥경화, 급성심근경색, 뇌경색, 당뇨병이나 신증후군
▼ 신장장애, 뇌혈전, 폐결핵, 갑상선 기능 항진증
T-
bill
0.68
0.1~1.0
㎎/㎗
▲ 후천성 황달, 간전성 황달, 포합 빌리루빈의 배설장애
▼ 용혈성 빈혈
(3) 면역혈청
CRP
38.92
<0.375mg/dl
CRP검사는 염증성 질환, 조직의 손상, 감염등을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HBsAg/Ab
(+)/<0.10
<1.0 mlU/mL = NEGATIVE
>1.0 mlU/mL = POSITIVE
B형 간염을 일으키는 HBV는 세 가지의 항원 형태가 알려져 있다. 이 중 surface Ag인 s Ag은 다른 항원에 비해 양이 많고, 가장 먼저 검출되는 항원으로 알려져 있다. 이 항원의 양성은 현재와 과거에 감염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성의 경우에는 다른 검사에 비해 명확하지 않으며 단독 검사로 보인자를 검색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HBV는 DNA virus로 때때로 간암으로 발전을 시킬 수도 있는데 그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 HBV의 검사는 초기 발견 뿐만 아니라 치료에 의한 경과를 추이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주사처방
1. Cetriaxone 0.59/vial
▶ 350mg sig IV q 12hr
- 폐렴, 기관지염 등 호흡기계 감염증
- 이비인후과 감염증
- 신장 및 요로감염증, 임질 등 생식기 감염증
- 패혈증
- 수술 전후 감염예방
- 골 및 관절 감염증
- 피부, 상처 및 연조직감염증
- 복막염, 담낭염, 담관염 등 위장관감염증
- 면역기능저하 환자의 감염증
- 수막염
2.Trizele 500mg/vial
▶ 100mg sig IV q 8hr
1. 유효균종
혐기성균 : 박테로이드(특히 박테로이드 프라질리스), 푸소박테륨, 유박테륨, 클로스트리듐, 혐기성 스트렙토콕쿠스
2. 적응증
1) 혐기성균 감염증 : 패혈증 및 균혈증, 뇌농양, 괴저성 폐렴, 골수염, 산욕기 패혈증, 골반농양, 골반 연조직염, 수술 후 창상감염증
2) 혐기성균(특히 박테로이드, 혐기성 스트렙토콕쿠스)에 의한 수술 후 감염의 예방
투약처방/
효능
1. Codenal Syrup/ ml(삼아)
기침, 가래
2. MUCOSOL 8mg/Tab(부광)
급ㆍ만성기관지염, 폐결핵,
진폐증, 수술 후 기관지 확장증
3. Plokon 30mg/T(영진)
소양성 피부질환(습진ㆍ피부염, 피부소양증, 소아스트로플루스, 약진, 중독진, 다형성 삼출성 홍반), 두드러기, 알레르기성 비염, 코감기로 인한 재채기ㆍ콧물ㆍ기침
Meptin 25mcg/tab
다음 질환의 기도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 증상의 완화 :
기관지천식, 급,만성기관지염, 폐기종, 천식성기관지염
Varidase tab (SK)
다음 질환 및 증상의 염증성 부종의 완화 : 수술 및 외상후, 부비동염, 혈전정맥염
2. 호흡기 질환에 수반하는 담객출 곤란
Coughsti syr/ml(한미)
만성 염증성 기관지 질환의 증상 개선, 기침을 동반한 호흡기의 급성 염증 완화
Brufen 4ml
류마티양 관절염, 연소성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요통, 월경곤란증, 수술후 동통
Nebulizer
Ventoline Respiratory soln 0.6%
중증의 급성천식(천식지속상태의 치료), 통상요법으로 효과가 없는 만성기관지 경련의 처치
④ 기능적 건강양상
입원동기 및 현재증상
처음엔 고열과 구토로 인해 응급실로 이동, AGE와 pneumonia 진단 받고 입원
현재 증상은 의료인과 의료행위에 대한 두려움,
금식으로 인한 지친 상태
수술 후 배출되지 않는 가래로 인한 호흡 시 칼칼한 소리
평소 앓던 아토피가 심해진 상태
과거에 입원한 경험
2011. 08 pneumonia nepatitis
2009. Lt scrotal swelling 이 있어 herniorrhaphy OP
가정에서 복용하는 약
이유
없음
기간
없음
부작용 유무
없음
⑤ 간호진단
건 강
주관적
“애기 목에서 가래소리가 나요”
객관적
기침, 가래 있음
숨 쉴 때 콸콸한 숨소리
간호진단
기관지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간호목표
기관지분비물 양을 감소시킨다.
간호계획
1. 가습한 환경을 제공한다.
2. Chest pressure을 실시한다.
3. 물을 많이 마시도록 교육한다.
4. 등을 두드려주도록 교육한다.
5. 기침하여 객담을 배출하도록 한다.
간호수행
1. 등을 자주 두드려줌
2. V/S시 호흡측정
3. Nebulizer 호흡기치료
4. 기침과 호흡법 교육 & 격려
5. 아침 저녁으로 suction
건 강
주관적
“수술하고 나서 다음날까지 금식을 해야 한대요”
객관적
금식 중
간호진단
금식과 구토와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간호목표
수분섭취량이 배설량보다 적다
간호계획
1. 비경구적 수액을 처방대로 공급하고 모니터한다.
2. 수분섭취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상자의 기호음료를 제공한다.
3. 음료를 대상자의 손이 닿을 만한 곳에 놓고 마시도록 격려한다.
4. 섭취와 배설을 정확하게 기록한다.
간호수행
1. 수분섭취를 권장하는 교육함
2. 섭취와 배설을 정확하게 기록하도록 교육한다.
3. 처방된 약을 투약하고 효과를 모니터한다.
건 강
주관적
“어제부터 열이 계속 났었어요”
객관적
V/S T 38℃ 측정
간호진단
염증진행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체온이 정상범위 내에 있다.
간호계획
1. 활력증후를 측정한다.
2.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한다.
3. 시원하게 해준다.
4.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5. 처방된 수액을 주입한다.
이론적 근거 : 탈수로 인하여 상실된 수분을 보충하고 충분한 순환혈액량을 유지하기 위해
간호수행
1. 30분 마다 활력증후를 체크함.
2. 열이 잘 떨어지지않을 경우p.r.n해열제를투약함.
3.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아줌.
4. 하루의 물의 양을 체크함.
5. 처방된 수액을 주입함.
* 참고문헌
① 성인간호학(하) 2011 전시자 외 9인 현문사 서울
② 아동간호학 , 김영혜 외, 현문사
③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김강미자 외 11인 현문사
④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추천자료
폐렴케이스스터디
[간경변증환자][위암수술환자][만성신부전환자][정상분만환자][천식환자]간경변증환자 케이스...
Case study ( Acute pancreatitis ) 급성 췌장염
케이스 스터디-심근경색
케이스-Acute pancreatitis-22쪽
[케이스스터디][세기관지염][만성신부전]세기관지염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만성신부전 케...
모세기관지염케이스
[성인 내과케이스] 백혈병 (leukemia)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폐렴케이스 Pneumonia case study - 폐렴케이스스터디 폐렴사례관리 폐렴간호과정...
아동간호학) Bronchial Asthma(기관지 천식) 케이스 스터디, 기관지 천식 케이스, 천식 케이...
Bronchial Asthma 기관지 천식 케이스 A+ (기관지 천식 케이스, 기관지 천식 간호과정, 기관...
성인 당뇨 케이스, 당뇨 족부병증, 당뇨발, 절단 케이스 ~
[동서협진과 CASE] Drowsy mentality를 주소로하는 급성기 뇌경색 환자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