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청년인 자녀가 부모에게 바라고 필요한 것이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기통제감의 발달과 어떻게 관련되었는지 특정 이론과 사례를 근거로 논하시오.
1.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기통제감의 발달
1)자아개념
2)자아존중감
3)자기효능감
4)자기통제
2. 사례
- 아동상담사의 글입니다.
1.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기통제감의 발달
1)자아개념
2)자아존중감
3)자기효능감
4)자기통제
2. 사례
- 아동상담사의 글입니다.
본문내용
따뜻한 관심과 사랑, 그리고 함께 즐거움을 나누는 것입니다. 그리고 아이들이 부모에게 바라는 이러한 관심과 즐거움은 부모라면 당연히 자식들에게 제공해야 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것들을 제공하지도 않으면서 아이에게 이래라, 저래라 하는 것은 월급도 주지 않은 채 부려먹는 나쁜 사장님과 다를바가 없습니다. 이런 사장 밑에서 일하는 직원은 태업을 하고 파업을 하고 회사를 나가게 됩니다.
필자는 문제 행동을 일삼는 아이들을 어떻게 바로 잡아야 하느냐는 질문을 받을 때마다 먼저 아이에게 따뜻한 관심을 보이고 즐거운 시간을 충분히 가져보라고 합니다. 당장 부모 말을 잘 듣는 아이로 만들고 싶은 부모의 입장에서는 그러한 해결책이 답답하기 그지 없겠지만 아이를 훈육하고 벌을 주는 방법을 열심히 가르쳐봤자 아이와의 관계가 좋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제부터는 아이를 야단치기 전에 ‘나는 아이에게 어떤 부모인가?’, ‘우리 아이는 어떤 엄마를 원할까? ’, ‘내가 아이에게 바라는 것이 있듯 아이 또한 엄마에게 바라는 것이 있을텐데 그것이 뭘까?’ 라고 생각해 보십시오. 최소한 아이에게 짜증을 내며 야단치는 실수는 막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필자는 문제 행동을 일삼는 아이들을 어떻게 바로 잡아야 하느냐는 질문을 받을 때마다 먼저 아이에게 따뜻한 관심을 보이고 즐거운 시간을 충분히 가져보라고 합니다. 당장 부모 말을 잘 듣는 아이로 만들고 싶은 부모의 입장에서는 그러한 해결책이 답답하기 그지 없겠지만 아이를 훈육하고 벌을 주는 방법을 열심히 가르쳐봤자 아이와의 관계가 좋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제부터는 아이를 야단치기 전에 ‘나는 아이에게 어떤 부모인가?’, ‘우리 아이는 어떤 엄마를 원할까? ’, ‘내가 아이에게 바라는 것이 있듯 아이 또한 엄마에게 바라는 것이 있을텐데 그것이 뭘까?’ 라고 생각해 보십시오. 최소한 아이에게 짜증을 내며 야단치는 실수는 막을 수 있을 것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