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분석

1. 작품 해제

2. 작품 분석
 2. 1. 구조적 특징과 리듬
 2. 2. 의미
 2. 3. 생명의 원천으로서의 땅

3. 맺음말

본문내용

통해, 땅을 찾아야 한다는 당위론적인 의지 또는 열망 때문에 낙관적 전망에 빠지지 않는다.
3. 맺음말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생동하는 봄의 기쁨과 삶의 터전인 어머니 대지를 잃은 비애를 잘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이런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첫 연에서는 의도적인 휴지를 이용하여 독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고, 마지막 연에서도 역시 의도적인 휴지를 사용하여 시에 묘사된 ‘봄’의 정경을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면서 읽게 한다.
시적 화자는 ‘봄’을 맞는 것은 기쁜 일이지만 그 ‘봄’을 ‘빼앗긴’ 들에서 맞이하기에 비애와 분노를 경험한다. 이런 정서는 리듬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아름다운 봄의 정경을 묘사한 제2연에서부터 제10연까지는 모두 3행으로 배열하고 있다. 행은 갈수록 길어지면서 급박한 리듬감을 주는데, 이를 통해 ‘봄’을 맞는 기쁨과 땅을 빼앗긴 울분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한편, 이 작품은 ‘가르마 같은’, ‘삼단 같은’, ‘아씨같이’ 등의 직유적 표현을 사용하여 ‘봄’을 맞은 자연의 모양과 속성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땅의 여성적 특징도 ‘살찐 젖가슴 같은’이라는 직유적 표현을 통해 드러낸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3.26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1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